-
-
릴라 릴라 - Lila, Lila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스포일러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고편을 봤을 때부터 마음에 담아두었던 영화. 10월 2일인가가 개봉이었지, 하고 표시해두었는데 그 전에 시사회에 당첨되어 보러 갔다. 독일 영화를 제대로 본 것은 이번이 처음인 것 같다.
줄거리 :
다비드는 일하는 가게의 단골손님인 마리를 좋아한다. 그러나 마리의 관심은 온통 문학에 쏠려있다. 다비드는 마리와 친해지고 싶어서 얼마 전 구입한 협탁 서랍 안에 있던 원고를 타이핑해서 자신의 소설이라 속이고 마리에게 읽힌다. 그걸 계기로 둘은 사귀게 된다. 그걸로 끝난 줄 알았지만 마리는 그 원고를 몰래 출판사에 보내고, 결국 출판까지 하게 된다. 다비드의 책은 유래없는 히트를 쳐 다비드는 단숨에 인기작가가 된다. 그러나 다비드 앞에 소설의 진짜 작가라며 재키가 나타나고, 재키는 다비드의 매니저를 자청하며 사고를 치고다닌다. 그로 인해 다비드와 마리 사이는 점점 멀어지는데.......
다비드의 고민은 이거다. "사람들은 나를 왜 좋아할까?" 마리의 사랑에 의구심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다비드는 사람들의 호감에도 의구심을 가진다. 왜냐면 사람들이 열광하도록 만든 소설 <릴라, 릴라>는 사실 다비드의 소설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도 다비드는 꽤 잘 해낸다. 낭독은 엉망이고 인터뷰도 엉망이고 도망치고 싶은 마음도 들지만. 그의 세계는 완전히 바뀌었다. 재키가 나타나자, 순식간에 그 세계는 시한폭탄이 된다. 다비드는 마리가 떠날까 전전긍긍한다.
마리는 마리대로 고민이 많다. 마리는 다비드의 소설을 사랑하고, 그래서 다비드를 좋아하게 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그녀의 이름은 '마리'가 아닌 '다비드의 애인'이 되어간다. 그리고 다비드는 점점 거짓말을 한다(둘의 시작이 다비드의 거짓말이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상당한 아이러니다). 다비드의 다음 소설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게 자신이 가장 마지막이라는 걸 안 마리는 둘의 관계에 의구심을 가지고 힘들어한다.
여기서 가장 즐거워보이는 것은 재키이다. 그는 소설의 작가라고 하면서도 소설의 권리는 주장하지 않는다. 그리고 다비드보다 더 적극적으로 다비드를 홍보하고 나선다. 상당한 민폐 캐릭터인데도 아주 밉지는 않고, 심지어 가끔 귀여워보이기까지 한다는 게 놀랍다.
어쨌든 분명한 것은 이 삼각관계가 오래 갈 수 없다는 것이고, 그래서 영화가 진행되면 될 수록 조마조마했다. 대체 이 거대한 거짓말이 어떻게 마무리될 것인가? 내 감상을 말하자면, 영화의 마무리는 상당히 잘 된 것 같다. 남의 소설을 가지고 작가 노릇을 할 때는 어색하기만 했던 다비드도, 자신의 소설을 가지고는 유머러스하게, 꽤 잘 해낸다. 마리가 돌아오는 부분은 중간에 뭔가 빠진 듯한 느낌이 들기도 했지만- 나는 다비드가 쓴 이야기가 마리가 의구심을 가졌던 부분을 해결해 주었다고 생각한(하기로 했)다.
예고편을 보고서 <릴라, 릴라>에게 가진 느낌은 가벼운 로맨틱 코메디에 가까웠다. 아마 할리우드라면 이 이야기를 다양하고 우스운 에피소드와 발랄한 음악과 엮어 가볍게 조리해냈을 것이다. 하지만 <릴라, 릴라>는 로맨틱 코메디이지만 상당히 무겁다. 음악도 꽤 묵직하고 우아해서 마치 클래식이나 재즈를 듣는 듯 하다. 존재감이 확고한 음악이 장면과 어우러져서, 꽤 독특한 느낌을 주었다.
이 영화가 꽤 묵직한 이유는, 관계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기 때문이다. "저 사람이 왜 나를 좋아할까?"하는 의문은 살면서 한 번쯤 가져봤음직하다. 영화 내내 다비드는 그런 의문과 당혹에 휩싸여 있다. 그는 거짓말을 잘 하는 성격이 아니고, 자신의 것이 아닌 성공을 소화하기 버거워한다. 차라리 소설이 실패했다면 그는 아주 가뿐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지금처럼 고민을 심각하게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나는 이 영화의 중심에 있는 것은 다비드와 마리의 사랑이나 다비드의 성공이 아니라, 다비드의 의구심이라고 생각한다. "왜 나를 좋아할까?" 다비드가 마리에게 진실을 말하는 것을 두려워하면서도 때때로 진실을 말하고 싶은 충동에 사로잡히는 것은, 가짜가 아닌 진짜 자신을 마리가 봐 주기를 바라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그래서 마지막 장면에서 다비드가 읽어준 '다비드의 소설'의 구절이 더 가슴에 와 닿았던 것 같다.
이렇게 쓰니 <릴라, 릴라>가 굉장히 심각해서 내내 미간을 찌푸리고 보게 되는 영화 같은데, 사실 이 영화는 로맨틱 코메디가 맞다. 다비드가 마리를 사랑하며 시작되고, 마리가 진짜 다비드를 받아들이면서 끝난다. 그리고 코메디도 맞다. 다비드가 처한 상황은 가끔 웃음을 터트리게 만든다. 단지 보통의 코메디처럼 빵 터지는 게 아니라 킥킥에 가까운 웃음이 터져서 그렇지.
영화를 보며 나라색이라는 것이 진짜 있구나 싶었다. 이 이야기가 다른 나라에서 만들어졌다면 줄거리는 같아도 느낌은 상당히 달랐을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책을 읽을 자유>에서 소개한 책 [번역 이론]에서 각 나라별 문체의 속도에 대한 이야기가 생각났다. "독일인들은 장중하고, 엄숙하고 둔중한 모든 것, 느리고 지루한 온갖 종류의 문체를 풍부하고 다양하게 발달시켰지만, 부포나 사티로스는 그들의 감각에 잘 맞지 않고 낯설다는 것이다. 즉 익살스러우며 해학적인 세계는 그들에게 이질적이며, 따라서 독일어로는 아리스토파네스나 페트로니우스를 번역하기가 힘들다는 게 니체의 주장이다.(책을 읽을 자유, 158p에서 인용)"
두 시간 동안 매우 즐거웠다. 배우들도 귀염성 있는 얼굴이고(특히 재키 아저씨), 이야기가 천천히 진행되는 방식이 마음에 들었다. 소설이 원작이라고 하는데, 소설도 읽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