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되는 집은 아빠가 다르다 - 대한민국 30만 부모들이 열광한 구근회의 아빠 바로세우기 프로젝트
구근회 지음 / 와이즈베리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워킹맘이 많아 아빠의 역할이 부각되었다. 이 현상에 따라 아빠 어디가”, “슈퍼맨이 돌아왔다라는 프로그램이 생긴 것이 같다. 이처럼 맞벌이가 주를 이루는 현재에 과거처럼 엄마에게 모든 육아를 맡기기에는 한계에 오지 않았나 싶다. 책은 시대에 발맞춰 아빠의 역할을 말하지만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부각된 친구 같은 아버지에서 더 나아가 아이들의 교육과 계획, 아빠만이 할 수 있는 역할까지를 소개한다.

 

이때 아이들에게 맛있게 잘 먹었습니다. 아빠, 엄마 감사합니다.”라고 반드시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한 후 식사를 시작하게 한다. 부모에게 감사할 줄 모르는 아이는 그 어떤 사람들에게도 감사할 줄 모르는 아이가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이렇게 매사에 감사를 느끼며 표현하는 것이 인간의 도리이며 인성교육의 뿌리임을 잊지 말고 아이에게 알려주는 것이 좋다. (23)

 

평소 식사를 차려주신 부모님께 감사하고 쌀을 생산한 농부에게 감사할 줄 알아야 밥이 거저 생기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된다. 그래야 부모님의 수고를 조금이나마 알게 되고 어른을 어려워하고 감사할 줄 아는 아이가 된다. 저자는 이처럼 밥상머리 교육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밥상에 다 같이 모이는 식사는 가족 시간을 갖기에 좋은 때이기 때문이다.

 

이제 아빠는 자존감을 키우는 건전한 자아상의 3가지 구성요소를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만들어 주문처럼 아이에게 응용하기만 하면 된다.

 

아빠, 엄마는 내가 우리 아들()로 태어나줘서 얼마나 행복한지 몰라소속감

아빠 생각에 너는 이 세상에 꼭 필요한 유일하면서도 아주 특별한 사람이란다.” 가치감

아빠 생각에는 네가 열심히 노력한다면 너는 네 목표를 꼭 이룰 수 있을 거야.” 자신감

(115)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소속감, 가치감, 자신감을 높여주어야 한다. 그보다 먼저는 아빠 자신이 자존감이 낮은 것이 아닌지 체크해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부모는 자식의 거울이기 때문에 아빠의 자존감이 낮으면 아이의 자존감도 저절로 낮게 되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말을 듣고 자랐는가? 우리는 어떤 말을 듣고 자랐는지 생각해보게 된다. 과거의 내 부모님은 어떠했는가. 나는 부모님처럼 행동하는가, 나는 위와 같이 말하는가. “그것밖에 못해!”라는 부정적인 언어로 아이의 한계를 부모가 만들어 내고 있는 건 아닌지 생각해 볼 일이다. 이처럼 평소 생각과 행동이 언어로 표현되기에 무심코 던진 말에 아이들은 상처를 많이 받는다. 그것만 바꿔도 당신의 아이는 달라질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렇다. 아이들은 쉼 없이 무너지고 약속을 어긴다. 또 어기는 게 당연한 것인지도 모른다. 어디 아이들뿐이랴? 어른들도 한없이 무너지고 약속을 어기지 않는가? 그래서 서로에게 힘과 용기 그리고 위로를 해주어야 한다. 부모도 아이도 함께 서로 위로하며 격려해줘야만 사랑과 행복이 넘치는 가족이 될 수 있다. 그 물꼬를 트는 게 바로 아빠가 할 역할이다. (263)

 

작가에게는 3명의 아들이 있다. 아들들이 계획을 정해 실현하고 하려고 할 때 홀로 목표를 정하는 것이 아닌 아빠도 함께 동참해 아빠는 술 담배 끊기, 중국어 공부, 아들은 영어듣기처럼 함께 각자의 목표를 정해서 하는 것이 아이에게 동기 부여하기도 좋고 혼자보다 둘이 같이 힘낼 수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아이들은 쉽게 힘들어 한다. 그러니 30분씩 하는 것으로 시작해보라고 권한다. 매일 매일 30분이 모이면 5일이면 150, 2시간 30분이 된다. 시간을 늘어나가는 것도 좋지만 짧은 시간 집중하는 것도 좋다. 무엇보다 집중력이 발휘되도록 아이들에게 환경을 만들어주라고 한다. 이를 볼 때, 아이들에게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요구한 것은 아닌지, 반대로 너무 다 해주려고 해서 아이를 떠받들고 사는 건 아닌지 생각해보게 된다. 공부환경을 위해 아이의 휴대폰을 따로 보관하고 텔레비전을 없애면 좀 더 집중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환경은 부모가 만드는 것이다. 그런데 환경도 만들지 않고 화만 내고 있는 건 아닌지 반성할 필요가 있다.

 

아직 부모의 입장이 아닌지라 처음에는 이 책이 조금은 지루하게 느껴질 것이고 나와 맞지 않을 것이라 예상했었다. 그러나 읽으면 읽을수록 쉽고 빠르게 읽히고 부모의 역할이 얼마나 아이에게 중요한가 생각해보게 된다! 무엇보다 잔소리가 없던 우리 부모님이 잔소리 하고 싶은 자신과 얼마나 싸우셨는지 알게 되는 귀중한 시간이 되었다! 글 중간 중간에 보이는 경험담과 함께 글 말머리에 육아에 지친 아내를 위해, 무늬만 아버지에서 진정한 아빠로 태어날 수밖에 없었다는 작가의 고백이, 이 책을 더욱더 빛나게 해주는 것 같다. 아이의 사춘기로 고민한다면, 자기 주도적이지 않은 아이가 고민이라면, 아이와 소통하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보길 추천하고 싶다.

 

아빠가 10퍼센트 바뀌면 아이는 100퍼센트 바뀐다는 것을 명심하며 오늘부터 작은 것부터라도 바꿔나가는 아빠가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155)

 

 

 

*** 간서치는 위의 책의 출판사인 와이즈베리 서평단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