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직필
요한 하리 지음, 이지연 옮김 / 어크로스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았으나 주관적인 감상을 적었습니다.



신종 비만 치료제(저자의 경우는 오젬픽)를 처방받고 효과를 경험해 본 저자가 현대 인류에게 비만 치료제가 필요해진 근본적인 원인을 탐구하는 책이라고 볼 수 있다.


가공식품의 문제는 당장의 개선이 어려워 보이므로, 약의 공급 방법을 조절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비만 치료제가 당뇨병, 고혈압처럼 질환을 앓고 있던 사람에게 처방되어야 하고, 심미적 목적을 위한 처방은 지양해야 하는 것 아닐까 싶었다. 아직 부작용에 대한 장기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에서 약물이 남용되는 것은 결코 옳은 해결책이 아니지 않을까. 물론 비만의 원인은 하나로 단정 지을 수 없고, 개인마다 복합적인 요인이 있기 때문에 저자가 언급한 내용에 동의하는 바다. 예를 들면, 유전적 요인, 심리적 요인, 과식의 이유나, 의지력, 우리가 요요현상이라고 일컫는 부분에 대한 언급이 그렇다.


다만, 나는 저자의 친구 라라와 의견이 조금 비슷한 쪽인데, 저자가 외모에 대한 욕구가 없었다면 그런 결정을 내리지 않았을 거란 생각을 지우지 못했다. 그건 저자의 경험에서도 볼 수 있고, 책 초반에도 ‘더 잘생겨 보이고 싶은 욕망’에 대해 저자가 언급한 바가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 책을 읽으면서 건강한 식습관의 중요성을 깨달았고, 나이가 들수록 줄어드는 근육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재차 확인했다.


저자는 어떤 부작용이 생길지 모를 위험성을 감수하는 것과, 가족력으로 인한 특정 질환에 대한 위험성 중 어떤 것에 비중을 둘지 선택하는 것은 오로지 개인의 몫이라고 밝힌다. 현재로서는 이 약이 축복인지 재앙인지의 문제는 개인의 선택에 달려 있을 뿐이다.



그 결과 만들어진 피자, 카레, 치즈케이크에는 신선한 피자나 카레, 치즈케이크의 희미한 기억만이 담겨 있을 뿐이다. 미리 가공되어 요리의 노동을 덜어주는 이들 재료는 절대로 신선할 수가 없다. 그리고 장기간 보관되는 동안 처음의 광택마저 사라진다. - P80

그러니 개인이 변화를 시도한다고 해도 비만을 유발하는 환경은 바뀌지 않는다. 환경은 오히려 예전처럼 먹으라고 우리를 압박한다. 마이클 로는 우리가 대부분 실패하는 이유는 "혼자 해결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는 문제와 씨름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 P177

의지력은 실제로 존재한다. 그러나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수많은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원인 중에 한 조각일 뿐이다. 체중 조절에 의지력이 무관하고 아무런 역할도 하지 않는다는 것은 틀린 말이다. 그러나 의지력이 전부라고 혹은 대부분이라고 말하는 것 역시 똑같이 틀린 얘기다. 크고 복잡한 그림 속에서 의지력은 가느다란 하나의 요소일 뿐이다. 이는 마치 고약한 폭풍 속 우산 한 자루와 같다. 우산이 조금은 비를 막아줄 것이다. 어쩌면 우산 한 자루로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우산은 더 큰 힘 때문에 박살나고 만다. - P178

나는 이제 신종 비만 치료제를 투약하는 모든 사람이 처음부터 이런 질문을 해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동안 과식이, 비만이 내게 해주었던 역할은 무엇인가? 거기서 내가 얻었던 긍정적인 것은 무엇인가? 무자비할 정도로 솔직하게 성찰해보아야 한다. 왜냐하면 과식을 없애고 나면 바로 그 ‘문제‘들이 어떤식으로든 다시 전개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 P24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