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내 우리 단비어린이 문학
원유순 지음, 유재엽 그림 / 단비어린이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리는 친구들과 친해지고 싶은 마음이 없다.

새 아파트에 입주하며 서울에서 작은 소도시로 전학을 왔지만

곧 떠날 거라는 생각에 모든 관계에 소극적이었다.

하지만 어찌 됐든 당분간은 함께 지내야 할 친구들,

해리는 학교생활을 잘 해낼 수 있을까?

꽃담읍 꽃담초등학교!!

이름만으로도 행복한 기분이 드는 이런 예쁜 이름의

초등학교에 다시 다니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전학을 온 해리가 자주 이사를 다녀서 헤어지는

아픔이 있기에 마음을 주지않고 혼자 지내겠다는 다짐을 한다.

그러다 꽃화분을 나눠주시는 할머니를 만나 꽃화분을 받게 되고,

같은 반 친구 선재도 꽃화분을 받아온 것을 보고 이야기를 나누던 꽃클럽모임에 가입하게 된다.

꽃이 피면 꼭 소원을 빌라는할머니의 말씀에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것이 신기했고, 할머니께서 주신 꽃화분을

잃어버린 해리가 새로 산 꽃화분을 할머니께서 주신 화분으로 속였다가 들통이 나서 무안해하는 부분이 안타까웠다.

처음부터 솔직하게 말했어도 친구들은 이해했을텐데 혼자 거짓말을 해야하는 상황을 만드는 해리가 가엽기도 했다.

마침내 우리를 읽고 보니 우리딸도 초등학교 3학년때 전학을 했는데,

아이의 의사가 아닌 우리 부모의 선택으로 친구들과 헤어져서

새롭고 낯선 환경에 적응하느라 얼마나 힘들었을지 지금도 미안한 마음이 든다.

소원이 이루어질것이라는 소원꽃이라는 설정이 너무 좋았다.

아파트와 같은 경우 층간소음 문제로 늘 벽보와 안내방송을 듣고 있어서

아이들에겐 자유롭게 뛰지 못하는 권리(?)가 있다.

지켜야할 약속과 규범속에서 예민하고 소심한 성격을 양산하고 있는건 아닌지...

반면에 단독주택에서 흙을 밟고 산다면 층간소음에서 해방되고

자유로우니 훨씬 여유있는 성격을 형성하고 삶에 대해 관조적이진 않을지,

100% 정답은 아니지만 아이들이 밝고 자유롭게 뛰어놀았으면 좋겠다.

마음의 빗장을 풀고 친구들과의 오해도 풀어가며 더욱 단단해지는

해리를 보며 우리딸의 모습이 보이기도 했다.

청소년들이 '마침내 우리'를 읽고 전학을 가더라도 용기를 내고 마음을 열어

친구들에게 다가가고 전학을 온 친구도 따스하게 품어서 마침내 우리가 되면 어떨까?

행복한 청소년들이 되기를 응원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