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와 함께 춤을 - 시기, 질투, 분노는 어떻게 삶의 거름이 되는가
크리스타 K. 토마슨 지음, 한재호 옮김 / 흐름출판 / 202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네이버 책과 콩나무 카페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언제나 긍정적인 감정으로 살아가면 좋겠다고 생각은 할 수 있겠지만 살다 보면 부정적 감정을 배제하고 살기가 매우 어렵다.

부정적인 감정은 그 자체로 매우 소모적이기에 감정 자체를 최소화하거나 애써 긍정적인 감정으로 바꾸려 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게 마련이고 그러한 책도 시중에 많이 나와 있다.

하지만 이 책은 그러한 시각에 도전하면서 부정적 감정 역시 우리의 삶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임을 주장하고 있다.

저자가 주목하는 부정적 감정에는 분노, 시기와 질투, 앙심과 경멸 등의 감정이 있다.

저자는 이 감정들을 과거의 철학자들은 어떻게 생각했는지를 먼저 정리한다.

대체로 두 가지 접근법으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부정적인 감정이 인간을 악하게 만들기 때문에 최대한 배제해야 한다는 입장(감정 절제형 성인)이고 다른 하나는 부정적인 감정이 사회적이나 개인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할 때도 있으므로 적절하게 상황에 따라 긍정할 수도 있다는 입장(감정 수양형 성인)이다.

놀랍게도 저자는 두 가지의 접근법 모두 틀렸다고 주장한다.

먼저 저자는 우리가 감정을 동등하게 바라보지 않는 것에 이의를 제기한다.

부정적인 감정은 조금만 생겨도 과하다고 생각하고 긍정적인 감정은 그 감정에 휘둘리고 있어도 과하다는 생각을 잘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는 왜 기쁨이나 연민에 젖어 있는 사람은 전혀 의심하지 않을까?

즐거운 사람은 그저 행복하고 안정적인 사람이라고 생각되는가?

하지만 이것 또한 이중 잣대의 결과다.

즐거운 사람의 긍정성이 현실에 대한 부정에서 비롯된 거라면?

(pg 93)

부정적인 감정 역시 긍정적인 감정과 마찬가지로 발현되는 이유가 있다.

그것이 생물학적인 진화의 결과이든 사회적 동물로 살아가야 하는 우리의 태생적 조건 때문이든 간에 어찌 됐든 부정적 감정이 우리를 찾아오는 것을 막을 수도, 막아야 할 이유도 없다는 것이다.

자신의 감정을 잘 다스렸던 사람들을 우리는 '성인'이라 부르며 칭송했지만 사실 모든 인류가 성인이 되고자 노력할 수는 없다.

저자는 오히려 성인의 삶이란 곧 인간으로서의 삶을 일정 부분 포기해야만 달성 가능한 상태이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라고 주장한다.

그렇다고 이러한 부정적인 감정을 자기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으라는 뻔한 조언을 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그러한 접근법 역시 부정적인 감정이 긍정적인 감정보다 열등하다는 논리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저자는 이러한 입장에도 단호히 반대한다.

그럼 어쩌라는 걸까?

저자는 그저 부정적인 감정 역시 나의 일부라는 것을 받아들이라고 말한다.

손이 못생기게 태어났다고 해서 손을 잘라버리면 삶이 불편하게 되듯이 부정적인 감정 역시 싫다고 삶에서 거세해 버린다면 온전한 인간의 삶을 살 수 없다고 보는 것이다.

부정적 감정을 느끼는 자아 역시 나 자신의 일부이므로 그런 감정을 느끼는 자신을 온전히 사랑하며 살라고 말한다.

잘 살면 그만이다. 나쁜 감정은 좋은 삶을 방해하지 않는다.

나쁜 감정은 당신에게 문제가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가 아니다.

이것들은 정확히 자기가 해야 할 일을 하는 것뿐이다.

즉 당신이 자신의 삶에 애착을 가지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면 두려운 마음이 들더라도 그대로 내버려 두어라.

(pg 265)

사실 이 책의 핵심 메시지는 단순한 편이다.

하지만 그 핵심에 도달하는 과정이 꽤나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겠다.

과거 철학자들의 주장과 그 주장에 담긴 함의, 그리고 그 주장에 반대하는 저자의 이유가 나열되는데 솔직히 모든 논리에 쉽게 동의가 되는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철학 교양서가 줄 수 있는 지적인 사고실험의 재미는 꽤 탁월한 편이었다.

책에서 꽤 많은 사례를 들고 있으므로 읽으면서 각자가 자신이 허용할 수 있는 부정적 감정의 선은 어디쯤일지를 가늠해 보면 재미난 시간이 되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