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악의 기원 - 아기를 통해 보는 인간 본성의 진실
폴 블룸 지음, 최재천 외 옮김 / 21세기북스 / 202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책의 출처: 출판사 증정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선한지, 악한지는 고대부터 철학의 가장 중요한 질문 중 하나였다.

수많은 철학자들이 각기 설득력 있는 이론과 사상들을 제시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사람들이 다 고개를 끄덕일만한 결론에는 이르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경험적으로 볼 때 두 가지 모습을 다 갖추고 태어나기 때문이기도 하며, 선악이라는 도덕적 관념이 시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실행된 수많은 심리학적 실험들 역시 서로 상반되는 결과를 보여준다.

이 책은 바로 그 질문에 답하기 위해 지금까지 과학적으로 수행된 실험 결과들을 정리하며 인간의 선악이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원문에서는 '선악의 기원'이 부제이며 원제는 'Just babies'다.

'단지 아기들일 뿐'이라는 뜻과 '공정한 아기들'이라는 뜻 모두로 해석될 수 있고 이렇게 중의적으로 해석되는 것이 저자의 의도라고 한다.

인간이 태어날 때 어떤 점들을 가지고 태어나는지를 알기 위해 아기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실험의 결과들이 이 책의 주요 내용이라 할 수 있겠다.

이 책에 따르면 굉장히 어린아이들도 일정 수준의 도덕감각을 보여준다.

아직 사회화되기 전의 아기들도 남을 도우려는 자와 남을 해하려는 자 중에서 고르라면 남을 도우려는 자를 고른다.

그것이 긍정적인 행동이라는 것을 본능적으로 안다는 것이다.

또한 한정된 자원을 특정인에게만 치중되게 배분하면 아기들도 즉각적인 분노감을 표현한다.

'공정'이라는 단어를 학습하기도 전에 이미 우리는 그런 행동이 공정하지 않다고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우리는 특정한 정도의 도덕감각을 타고난다고 볼 수 있다.

저자는 이러한 도덕 감각의 카테고리를 크게 세 분류로 나눌 수 있다고 본다.

가장 먼저 본능적으로 베풀 수 있는 범주인 가족과 친지가 있다.

이 범주를 넘어서면 '우리'라는 단어로 묶을 수 있는 '내집단'과 거기에 속하지 않는 '외집단'이 있는데 이러한 내집단과 외집단의 범위는 문화권과 시대, 개인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우리가 도덕감각을 타고나기는 하지만, 내집단을 정의하는 과정은 학습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것이다.

유치원생들은 인종에 신경 쓰지 않는다.

일부 다인종 학교에 다니는 학동기 아동들도 마찬가지다.

만약 피부색이 사회적으로 의미 있게 중요하다면

-흑인 아이들과 백인 아이들이 따로 앉는다면-아이들은 분명 알아챈다.

반면, 그렇지 않다면 알아채지 않는다.

태어나면서부터 우리는 구별을 지을 만반의 준비를 하고 삶의 여정을 시작했지만,

어떻게 구별할지 구체적으로 가르쳐 주는 것은 우리의 환경이다.

(pg 183)

결국 이 책의 핵심은 실험을 해보니 인간의 도덕감각에 대한 상반된 두 가지 시선, 즉 진화심리학에서 보는 '모든 특성은 진화를 통한 (적응적) 결과물'이라는 시각과 사회학에서 보는 '모든 것은 학습의 결과'라는 시각이 모두 일면 타당하다는 것이다.

지금의 인류 사회는 우리를 진화시켜온 자연환경과 우리가 발달시킨 문화라는 두 마리의 말이 이끄는 수레 위에 세워졌다는 의미다.

이성적 사고 능력이 발현되려면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아기의 도덕적 삶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아기에게는 성향과 정서가 있다.

그래서 고통스러워하는 사람은 달래주고, 잔인한 행위에는 분노를 느끼고,

잘못한 사람을 벌주는 사람은 편애하고 싶은 마음이 들 수 있다.

하지만 아기에게는 많은 것이 없다.

무엇보다도 공평한 도덕 원칙-한 공동체 안에서 모두에게 동등하게 적용되는

금지 사항이나 요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이런 원칙들은 법과 사법 시스템의 근간이 된다.

(pg 305)

사실 이 책에 등장하는 여러 실험들은 여타 다른 심리학 관련 서적에서도 많이 인용된 것들이라 아주 새로운 정보들이 담겨 있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정상적인 인간이 보여주는 일정 수준의 도덕감각이 어디서 시작되는지를 탐색함에 있어서 이 책보다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 주기는 어렵지 않을까 싶다.

전혀 현학적이지 않고 등장하는 사례들도 재미있어서 순식간에 읽어갈 수 있었다.

인간에 대한 진지한 탐구를 원하는 독자라면 누구에게나 추천해 줄 수 있을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