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지구에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 - 인간과 동물의 관계에 대한 가장 우연하고 경이로운 지적 탐구 서가명강 시리즈 37
천명선 지음 / 21세기북스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책의 출처: 도서관 대출

일반 대중의 눈높이에 맞게 여러 학문들을 맛볼 수 있게 해주는 '서가명강' 시리즈 중 하나로 이 책에서는 '인간동물학'이라는 학문을 소개하고 있다.

인간이면 인간이고 동물이면 동물이지 인간동물학은 또 뭔가 싶었는데,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고찰하고 인류와 동물이 더불어 잘 살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한다.

우리는 동물에 의존하며 살아가고 있다.

단순히 최근의 식단에서 육류가 포함되지 않은 적이 그리 많지 않았을 것이라는 점만 보아도 그렇다.

태초부터 동물을 섭취하도록 진화한 우리는 점차 동물의 노동력도 이용하게 되었고, 동물의 노동력을 기계로 대체할 수 있게 되자 동물을 한 식구처럼 집 안에서 돌보게 되었다.

이처럼 동물과 인간의 관계는 주로 인간이 동물을 어떻게 쓰느냐, 즉 동물의 쓰임 위주로 생각해 왔다.

그렇기 때문에 저자는 동물과 인간의 관계를 한 단어로 정의하기는 어렵다고 말한다.

이처럼 인간과 동물의 관계는 매우 상황적이고 맥락적이다.

그래서 종 차이를 기반으로 인간종과 동물종을 나누어 일반적으로 설명하기가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종의 전체적인 특성 외에 어떤 한 인간과 어떤 동물 개체 간의

개별적 관계에서 드러나는 것들이 훨씬 많기 때문이다.

(pg 48)

즉 인간과 고양이의 관계를 단순히 주인과 반려동물로만 설정할 수가 없다는 말이다.

길고양이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를 뒤지는 불쾌한 동물일 수도 있고, 들고양이의 경우 멸종 위기종을 닥치는 대로 잡아 죽이는 무자비한 포식자로 비추어지기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자는 인간과 동물을 굳이 종이나 쓰임으로 구별하지 말고 같은 생명체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래야만이 동물 복지에 대한 생산적인 논의가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분절된 관계 안에서 우리는 동물을 존재 그대로 보기보다는

기능과 필요의 관점에서 보게 된다.

그런 이유로 현대 사회에서 동물의 물건화와 상품화는 가속될 수밖에 없다.

(pg 125)

과거에 비하면 동물 복지에 대한 시각이 꽤 많이 변한 것은 사실인 것 같다.

'개 패듯 한다'라는 관용구가 있을 정도로 개는 화풀이의 대명사 격이었지만 요즘 함부로 개를 때렸다가는 인터넷 여론을 뜨겁게 달구게 될 것이다.

마트에만 가도 '동물 복지'라는 단어가 붙은 축산품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그만큼 비용이 올라가기는 하지만 동물을 괴롭게 하면서 생산되는 축산품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점차 늘고 있다는 반증일 것이다.

물론 동물 복지라는 것이 인간의 먹고사는 일에 우선하기는 어렵다.

저자 역시 경제적, 사회적으로 발전된 국가일수록 동물에 대한 복지를 강화하는 움직임을 보인다고 지적한다.

개인적으로는 도시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을 그리 좋게 생각하지 않는 편인데, 그럼에도 동물 복지를 강화해야 한다는 명제 자체는 충분히 수긍할 수 있었다. (내가 생각하는 도시는 동물의 본성과 어긋나는 지점이 너무 많아 동물에게 온전히 행복한 환경이 될 수가 없다고 생각하기에 반대한다.)

동물에 대한 폭력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폭력으로 이어지기 쉽기에 동물에 대한 폭력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저자의 설명도 공감이 된다.

다만 워낙 개론적인 내용뿐이어서 어떤 방향으로 동물 복지가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저자의 구체적인 생각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이 다소 아쉬웠다.

물론 동물과 인간의 관계를 한번 돌아보게 만든다는 점에서는 일독할 가치가 충분했던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