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게 고통일 때, 쇼펜하우어 - 욕망과 권태 사이에서 당신을 구할 철학 수업 서가명강 시리즈 18
박찬국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미 몇 권 접한 바 있는 서가명강 시리즈 중 하나로 저자의 책은 '에리히 프롬' 이후 두 번째로 읽게 되었는데 발매 시기로 보면 이 책이 더 먼저 나왔다.

이번에는 흔히 '염세주의 철학'으로 잘 알려진 쇼펜하우어의 철학을 소개하고 있다.

이전에 읽은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해설서가 나에게는 다소 어려운 느낌이었던 터라 그의 사상을 쉽게 다시 정리하고 싶은 마음에 읽어보게 되었다.

(e북으로 읽었는데 해당 콘텐츠에 페이지가 적혀 있지 않아서 발췌문에 페이지를 표기하지 못했다.)

쇼펜하우어의 철학은 우리 인생이 고통이라는 고찰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그 고통의 시작점은 우리가 가진 욕망이다.

새삼스러운 말이지만 욕망에는 끝이 없고, 욕망의 충족으로 얻는 행복은 찰나에 사라진다는 것이 핵심이다.

그리고 모든 욕구가 신속하게 충족된다고 해도 인간은 필연적으로 권태감을 느끼게 되기 때문에 어찌 되었든 우리가 욕망이라는 것의 지배를 받는 한 우리의 삶은 고통일 수밖에 없다.

욕망이 신속하게 충족되는 상태가 행복이고

늦게 충족되거나 충족되지 않은 상태가 고통이다.

욕망과 충족 사이의 시간 간격이 짧을수록 고통은 최소한으로 줄어들고 행복감은 증대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욕망은 즉각적으로 채워지지 않고,

채워지기 위해서는 많은 노고와 시간이 필요하다.

아울러 욕망이 즉각적으로 충족되더라도 우리가 느끼는 행복은 극히 짧은 순간에 그친다. 행복은 욕망이 충족되자마자 사라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따라서 쇼펜하우어는 이러한 욕망에서 벗어나는 것이 진정한 삶을 살기 위한 조건이라고 본다.

쇼펜하우어는 그러한 상태에 도달하는 것을 '은총'으로 보았으며, 그 상태가 진정한 자유의 상태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삶을 '관조'하는 자세이며 이 활동의 연장선에 인간이 추구하는 각종 예술 활동들이 포함된다고 보았다.

이전에 읽었던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의 정리를 빌면, 세계를 구성하는 '의지'는 인간이 직접 경험할 수 없는 반면 그 의지가 구현된 '표상'들은 경험할 수 있다.

예술 활동은 그 표상들 속에서 '의지', 즉 사물의 참된 모습(이데아)를 찾아가는 활동이라 정의한 것이다.

모든 욕망을 부정한 사람은 겉으로 볼 때는 아무런 기쁨도 없이

결핍뿐인 삶을 사는 것처럼 보이지만, 완전한 내적인 기쁨 속에서 산다.

이러한 기쁨은 바다와 같이 고요한 부동의 평화와 안식

그리고 깊은 평정과 숭고한 명랑함이 지배하는 상태다.

이처럼 쇼펜하우어는 우리의 삶이 고통 그 자체이며, 그가 말한 진정한 자유의 상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생을 이어가기 위한 욕망에서조차도 자유로워야 하기 때문에 결국 죽음 자체도 긍정적인 것으로 본다.

바로 이 지점에서 그의 철학이 '염세주의'라는 이름표를 부여받게 되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쇼펜하우어가 '이따위 세상, 다 같이 죽어버리자'라고 주장한 것은 아니다.

자살하는 사람은 자신이 현재 느끼는 고통이 없다면 어떻게든 살고 싶어 하지만,

그 고통을 견디지 못하고 자살을 하는 것이다.

이때 그가 절망하는 것은 삶 자체가 아니라 자신이 처한 비참한 상황이다.

따라서 자살하는 자는 자신의 생명을 끊을 뿐이지,

살려는 의지 자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그는 살려는 의지를 강하게 긍정하고 있으며, 자신이 현재 처해있는 고통스러운

상황만 벗어날 수 있다면 어떻게든 살고 싶어 하는 것이다.

여하간 그의 철학에서 주장하는 궁극적인 자유의 상태는 모든 욕망에서 자유로운 상태를 의미하고 그 욕망의 큰 부분이 식욕과 성욕 등 생존에 필요한 욕망과 직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자유로워질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 정도로 정리할 수 있겠다.

저자는 쇼펜하우어가 불교에서 상당한 영향을 받았음을 언급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궁극의 자유를 뜻하는 단어가 '열반'이라는 뜻을 가진 'Nirvana'로 표현되어 있고, 각 개체의 삶과 죽음은 '온 우주의 의지'라는 시각에서 볼 때 그저 순환하는 미세한 한 부분에 지나지 않다는 시각 등이 불교의 윤회, 해탈과 상당히 닮아 있다는 것이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바로 이 지점에서 나는 쇼펜하우어의 사상이 최근에 읽은 노장사상과도 일맥상통하는 바가 있지 않나 하는 느낌을 받았다.

노장사상에서의 '도'가 우주를 구성하는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비슷한 느낌이고, 욕심을 버리고 죽음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는 등 추구하는 삶에 대한 모습도 노장사상의 그것과 상당히 유사하지 않나 싶다.

물론 쇼펜하우어는 노장사상처럼 인간이 규정한 모든 도덕적 관념을 거부하지는 않았다.

모든 인간에게 동정심이 있고, 이 동정심이야말로 기본적으로 이기적 존재인 인간이 선한 존재로 살아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보았다는 점에서 쇼펜하우어와 노장사상은 근본적인 인간관의 차이가 있다.

하지만 불교사상과 노장사상이라는 동양 철학의 큰 두 줄기와 서양의 대표적인 철학자의 사상에 유사한 부분이 이토록 많다는 점은 흥미로운 지점일 수밖에 없다.

결국 인간 사는 세상은 다 비슷비슷하고, 이 때문에 인생을 논하는 철학 역시 공통점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자명한 이유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서가명강 시리즈들이 다 그렇듯, 길지 않은 분량으로 일반 대중들이 이해하기 쉽게 정리되어 있기 때문에 철학에 익숙하지 않은 독자들이라 하더라도 이 시리즈만큼은 쉽게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쇼펜하우어의 이름은 들어봤지만 그의 철학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논하고 있는지 알고 싶은 사람들이라면 부담 없이 읽어볼 것을 권하고 싶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