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한 이렇게 기술 개발에 대한 맹목적인 추구가 담긴 정책 기조가 정권에 관계없이 늘 유지되고 있다는 점도 지적하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디지털 뉴딜'이나 윤석열 정부의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상은 그 단어의 차이만 존재할 뿐 기본 기조는 비슷하다는 것이다.
여기에 환경과 노동에 대한 고려는 구색 맞추기 수준에 불과하고 구체적인 정책은 모두 기술의 무한한 개발에만 집중되어 있다.
하지만 저자는 이제 돌이킬 수 없는 기후 위기와 갈수록 심화되는 빈부격차 등 노동 문제의 해결이 기술 개발 그 자체보다 훨씬 더 중요한 가치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국가 주도적인 기술 개발 러시에서 시민 정보의 무분별한 사용에 대한 우려도 꽤 중요한 비중으로 다루고 있다.
저자는 사기업이 일반 대중들을 상대로 취합하는 정보들을 사업에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게 한 데이터 3법의 제정이 그러한 현상의 주요한 분수령이 되었다고 보고 있다.
이처럼 기술의 개발과 이를 통한 경제 성장만을 목표로 달려온 것의 폐해는 적지 않다.
그래서 이제 어떻게 해야 한다는 것인가?
저자는 지금부터라도 환경 문제에 대한 '생태 감각'을 되살리고 인간의 노동 문제를 직시하는 '연대 감각'을 확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