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적으로 분위기가 어두운 작품이었다.
당연히 우리 조상들이 고생한 이야기니 유쾌하게 읽히지는 않겠지만, 저자 특유의 차가운 서술이 이 작품의 분위기를 더욱 독특하게 만들어주는 느낌이다.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에게는 일말의 해피엔딩도 존재하지 않았다.
세상에 저항해 보려고도 하지만 큰 물줄기에 휩쓸려가는 자갈돌처럼 개인의 움직임은 큰 의미를 갖기 어려웠다.
남의 나라 내전에 참가해 목숨을 잃기도 하고 마약 중독자가 되기도 하며 작은 권세를 누리려다 반란에 진압되어 처형되기도 한다.
저자는 이들을 멀찍이 관찰하는 느낌으로 이야기를 풀어간다.
특별한 슬픔도, 애정도 묻어있지 않은 담담한 문체로 꼭 필요한 서술만을 남겨 둔 느낌이다.
그러면서도 긴장감은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 유지되는데 그 때문에 짧지 않은 작품인데도 꽤 짧은 호흡으로 모두 읽을 수 있었다.
물론 구체적인 인물이나 사건은 픽션이지만 멕시코로 이주한 조선인 노예들의 삶은 실제 역사다.
태어날 시대를 자신이 고를 수 있는 것이 아니기에 그들 역시 시대의 희생양일 수밖에 없다.
그들이 먼 미래에 전 세계인들이 조선말로 된 노래와 영화에 열광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면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그들의 고단한 삶에도 무언가의 의미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었을까.
비록 픽션에 한 발을 담가 둔 소설 속의 인물들이지만 한순간의 작은 희망조차도 갖지 못하고 허망하게 사라져간 그들의 삶이 무척이나 처량하게 느껴졌다.
그로부터 100년이라는 적지 않은 시간이 흘렀지만 그들의 삶은 잊혀서는 안 될 것이다.
개인적으로 역사소설 자체를 굉장히 오랜만에 접했는데, 역시 저자의 명성에 걸맞게 재미 면에서도 훌륭했고 읽은 후 여운도 오래 남았다.
조상들의 아픈 역사를 담고 있기에 현재를 살아가는 한국인이라면 누가 읽더라도 비슷한 감상을 느낄 수 있지 않을까 싶은 작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