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중국경제를 죽이는가 - 경제대국 중국을 가로막는 거대한 벽
랑셴핑 지음, 이지은 옮김 / 다산북스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석 연휴를 이용해 중국에 다녀왔다. 관광도시인 청도를 다녀왔기 때문에 중국의 아주 일부를 본 것이긴 하지만, 중국에 대한 시야는 넓힐 수 있었다. 음식과 생활 수준, 자연환경과 상점에서 파는 상품을 통해 문화를 접했다. 중국에 항상 지배당해온 한반도 이지만, 최근 까지는 중국보다 우위에서 나름 선전하는 한국을 보며 운이 좋음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다. 관광이 위주였기 때문에 빈민가나 낙후한 지역을 가보지는 못했으나, 가이드를 해주시는 분의 설명이나 책에서 본 내용들로 짐작해 봤다. 혁신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지만 갈수록 빈부격차가 커지고 있어 폭발할지도 모르는 중국의 폭풍전야를 보고 온 것 같아 여러 생각이 오갔다. 중국에 대한 긍정적인 도서가 주류였던게 얼마 되지 않았던 거 같은데, 전망이 갈 수록 안 좋아진다. 이번에 읽은 < 누가 중국경제를 죽이는가 >(다산북스, 2012)는 최고조에 이른 중국 비판서로 보인다. 저자가 중국인이지만 굉장히 자국 비하적으로 씌여져 놀라움을 감출 수 없었다. 너무도 노골적으로 다루고 있어 타국의 시야로 보고 있는 나로서는 과연 이 내용을 읽어도 되는지에 대해 의심이 들었다.
[문화적 측면에서 목격되는 중국인의 저속한 특징은 앞에서 언급했듯 크게 경박함, 요행심, 경직된 사고라는 세 가지 현상으로 구체화된다. 그 결과 중국 기업은 현실을 외면한 채 그저 요행만을 바라며 비이성적인 인수합병을 통해 몸집 부풀리기에만 급급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경직된 사고 때문에 문화 저주에 걸린 중국인은 지난 100년 동안 별반 달라진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7p
서문에서부터 요행과 경직된 사고에 사로잡한 중국인이라는 화두로 미개한 문화를 가진 국가로 비하하고 있다. 모방 상품과 공산당의 통제에 사로잡힌 내용은 익히알고 있으나, 건설을 비롯해 IT 분야에서도 세계적인 수준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생각하는 나로서는 이토록 심하게 말하는 저자를 이해할 수 없었다. 중국의 기술은 결코 경박하고 편히가려고만 한다고 보기 어렵다. 그 옛날 찬란한 문화를 만든 중국을 보면 그렇고, G2를 넘어 세계 1위 국가로 발돋움 하려는 움직임은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저자는 경제 전문가이며, 중국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인물이므로 그의 말을 의심하긴 어려우나 너무 반대편에서만 말하는 그를 책을 읽는 내내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현상에 대해 문제시 하면 모르겠지만, 본질까지 타박하는 건 상당한 자신감이 있거나 매우 심도있는 조사를 한 거라 생각된다. 중국 문화를 설명하며, 국내 문화를 소개하는 부분이 있는데, 칭찬이 일색이라 관심이 갔다.
[한국 문화를 만만하게 생각하면 안 된다. <대장금>, 『식객』이 한국 문화의 전부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한 국가의 기업이 발전하려면 먼저 든든한 창의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창의력은 문화 예술 부문에서 가장 먼저 나타나기 때문에, 한 국가의 문화 예술을 관찰해보면 해당 국가의 기업 성장 가능성을 점쳐볼 수 있다.] 58~59p
과년에 자동차 수출액이 한 편의 영화 수입 금액과 동일하다면 막말을 했던 지도자가 있었다. 투자나 대책도 없으면서 의견만 제시했던게 꽤 오래전인 것 같은데, 최근에 하나 둘 소수의 노력들이 빛을 발하는 듯 하다. 국내 영화도 해외에서 꾸준히 인정을 받고 있으며, 음악 분야에서도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게다가 애니메이션 분야에서도 『뽀로로』 이후, 여러 캐릭터들이 경쟁력 있는 콘텐츠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핵심 기술은 아직 의존성이 높긴 하지만, 파생 기술과 콘텐츠에서는 정말 다양하고 창의적인 산출물들이 쏟아지고 있다. 경영 논리에 의해 사장되는 것까지 합치면 문화의 분수령이라고 해도 될 만큼 신선하고 재미있는 것들이 많다. 전문가가 아닌 나로서는 쉽게 판단하기 망설여지지만 과거의 습작들과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는 고품질 콘텐츠들이 눈을 즐겁게 하는 건 확실하다. 저자는 중국에 한류 열풍을 일으킨 대표작들을 언급했지만,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주시하며 한국을 관찰하고 있는 듯 하다.
일본에 적대적 감정이 너무도 커져, 한국으로 유입되는 중국 관광객들은 한국 문화를 소비하고, 영향을 받는 대표 국가가 되었다. 사료에도 있듯이, 역사 시대에도 한반도의 문화를 전했던 조상들처럼 중국에 문화를 전파하는 문화 수출국가로 입지를 굳히고 있는 것이다. 경제학자이지만, 다양한 문화 산물을 분석해 중국인의 성향을 분석하고 걸림돌이 되는 기질을 서술한 저자는 경제학적인 관점을 뛰어넘어 본질을 보고 있다.
[영화에서 표범 타이렁과 팬더 포는 이와 같이 중국을 상징한다. 타이렁과 포가 쿵푸를 배우는 과정, 그리고 자신의 실력을 드러내기 위해 선보이는 스킬은 중국에 대한 서양의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쿵푸 팬더>는 중국인에 대한 서양인의 시각을 고스란히 담아낸 축소판이라고 하겠다.] 237p
<쿵푸팬더>는 애니매이션 시리즈로 매우 인기있고 개인적으로도 재미있게 본 작품인데, 부정적인 시각에서 중국인의 한계점을 드러낸 캐릭터들을 분석한다. 저자의 주장이 뚜렷하여 수긍해야할 대목이지만 애니매이션을 너무 분석적 관점에서 본 것에 대해서는 유감이다. 산업발전과 경제 흐름은 주체인 사람들의 철학과 문화에서 나온다. 그래서 경제 자체를 보기 보다는 문화적 관점에서 냉철하게 분석했다. 중국은 워낙 광할하고 각 지역이 달라 총괄해 말하기 어렵지만, 저자의 설명으로 큰 줄기는 잡았다. 중국에 대한 비판으로 내용이 부담스럽긴 하지만, 객관적 아니, 오히려 부정적 시각에서 재조명한 저자의 태도가 돋보인다. 중국에 대한 어떠한 치우침 없이 있는 그대로 내용을 흡수해 문화와 경제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싶다면 도전해 볼만한 책이다.

 

www.weceo.or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