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인텔리전스 - 남들과 다른 하버드 인들의 성공지능
빌 머피 주니어 지음, 백정빈.김정혜 옮김 / 비즈니스맵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유명 방송 프로그램에서 하버드생으로만 이루어진 아카펠라팀이 장기를 뽐냈다. 예전에도 치대학생이 가수를 한다고 나와서 좋지않은 인상을 남긴적이 있는데, 이번에도 반갑지만은 않았다. 장래가 보장된 대학이나 전공 소유자가 '인기'라는 가치를 얻기 위해 다른 이들이 꿈꾸는 영역까지 빼앗는 것 같아 그들의 욕심이 지나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노력하는 모습은 좋지만 남의 것 까지 다 가지려는 태도는 나눌 줄 아는 미덕으로 채워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건 개인적인 생각일 뿐이고, 도서 <하버드 인텔리전스>(비즈니스맵, 2011)를 통해 소개된 그들은 역시 남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학력이라는 특정 시각을 염두에 두긴 했지만, 그들이 하버드 생이 아니더라도 두각을 드러냈을 것이라는 의견에는 변함이 없다.
["수 많은 사람의 생계수단을 뺏는 일을 어떻게 책임감을 갖고 수행할 것인지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다. 언젠가 기업을 경영하는 자리에 오르면 인력 채용은 막대한 책임감이 따르는 일임을 명심하고 종업원에게 지키지 못할 약속은 하지 않겠다. ...... 직원들에게 경영 실패의 희생을 강요하는 일은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36p
노동시장의 유연성이라는 말로 게약직을 고용하거나 임의대로 인력을 부당하게 해고하는 것이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 상황으로 가고 있다. 이런 환경은 경영자들에게 편의를 주기보다는 책임감을 낮추는 역효과를 낸다. 서술한 단점을 처음부터 인식하면 좋겠지만, 제도를 완전히 이해하고 사업하는 경영자는 많지 않다. 오히려 유리하게 경영하려는 이들이 많아 숫자의 논리로 사람들을 부리는 무책임한 악덕 기업주가 되기도 한다.
도서에서 주목한 하버드인들의 10가지 성공원칙은 신념에서 시작한다. 주변의 달콤한 말이다, 조류에 흔들리지 않는 확고한 의지로 부터 출반하는 것이다. 여기에 관찰력과 해결력, 넓은 시야가 아이디어를 만들어 낸다. 인맥, 도전, 위험관리로 준비한 그들은 강한 리더십으로 세계를 이끈다. 이제 끈기있는 영업으로 항상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자신을 보면서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는 것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처럼 하버드생들에게서 10가지 성공원칙을 뽑았다. 특별부록으로 핵심만 읽는 게 빠를 수 있겠지만 그들이 성공원칙을 터득하는 과정을 그린 도서 내용을 통해 재미있게 읽어 나가는 것도 도서를 즐기는 한 방법이다.


www.weceo.or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