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공룡 도감 - 만약에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ㅣ 만약에 도감
두걸 딕슨 지음, 김해용 옮김 / 소미아이 / 2021년 6월
평점 :

6,600만 년 전 운석이 지구에 충돌하지 않고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 과연 공룡은 어떤 모습으로 진화했을지 흥미진진한 상상을 해보면서 백악기에서 진화하여 현재까지 살고있는 63종의 신기한 신공룡들을 만나볼 수 있었어요.
신공룡도감은 여섯 영역의 동물 지리구로 에티오피아구, 구북구, 신북구, 신열대구, 동양구, 오스트레일리아구, 해양. 신공룡도감 세계관 해설구성되어 멸종하지 않은 공룡이 적응해 진화하는 과정과 비교해서 살펴볼 수 있어 흥미롭네요.
각 대륙에 대한 환경과 특징에 대해 설명해 주고 지도를 통해서 황무지와 사막, 초원, 열대우림등 어떤 환경으로 구성되었는지 보기 좋게 색을 달리해서 구분지어 줘서 한눈에 잘 들어오고 이해하기도 쉬워요.
에티오피아구 지역에 따라 그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적합한 모습으로 진화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초원 지대 바깥에 비가 적게 내리는 지역은 사막으로 사막의 혹독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공룡들은 구멍을 파고 생활하기에 적합한 모습으로 변했다는 걸 알 수 있어요.


최대 동물지리구인 구북구로 북쪽 끝이 툰드라 지대이고 남쪽은 침염수림 지대가 뻗어있고 남쪽은 침엽수림 지대가 뻗어있는등 환경의 특징에 대해 잘 나타나주네요.
게스탈트 초식공룡으로 신공룡이 사는 동물 지리구와 환경에 대해 표시해주었어요.
생물 종의 이름도 학명으로 기재가 되어있고 신공룡의 식성과 루트 신공룡의 조상으로 생각되는 공룡도 함께 비교해서 어떤 진화과정을 거쳤는지 살펴볼 수 있어요.
구북구 공룡인 게스탈트의 루트는 호말로케팔레로 여왕을 제외하고는 다른 개체는 부족한 먹이를 수집하고 둥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온난한 지역 강가에 원뿔 모양의 게스탈트 둥지가 너무 신기하네요.
초가집 구조로 둥지 내부의 여러 개의 방과 방사이를 연결하는 터널이 있는데 개미집을 연상하게 만들며 개미처럼 진사회성을 발달시켰다는걸 알 수 있는데 게스탈트의 생태가 너무나 특이하고 흥미로웠어요.
조상이 테스켈로사우루스인 초식동물 발라클라브, 조상이 프테로닥틸루스인 육식공룡 시프트는 두 뒷다리로 물가를 걸어다니고 날개는 하늘을 날때는 물론 사냥할때도 사용한다는 걸 알 수 있어요. 이외에도 커틀라스투스, 구르망등 독특한 모습의 신공룡들이 상상력을 자극시켜주네요. 기존에 알고 있는 공룡들이 아닌 처음 접하는 공룡들의 놀랍고 재미있는 이야기속에 재미있게 빠져볼 수 있었어요.
대멸종 이론부터 공룡이란 무엇인지 육상 파충류의 진화와 새로운 계통수, 세계의 동물 분포, 서식지등 자세하게 설명해줘서 유익하게 볼 수 있었어요. 진화한 공룡을 상상해보며 생동감 넘치게 만나볼 수 있었던 신공룡도감이었어요.


"소미아이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