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어를 즐겁게 - 우리말의 어원과 유래를 찾아서
박호순 지음 / 비엠케이(BMK) / 2021년 3월
평점 :

박호순 선생님이 집필한 우리말의 어원과 유래를 찾아서 '국어를 즐겁게'는 우리말의 어원과 유래를 따라가 보면서 우리말의 관심과 흥미를 높여주면서 올바른 우리말 사용은 물론 우리말과 좀 더 가까워질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겠어요.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우리말이 잘못알고 있는 부분도 많은데 우리말의 어원과 유래를 통해서 국어 공부에도 많은 도움이 되겠어요.

국어를 즐겁게는 언어, 민속, 역사, 식물과 지명, 교훈 총5장 으로 구성되어 아름다운 우리말과 우리의 역사와 우리의 민속에 대해 만나보면서 저자의 우리말에 대한 애정과 관심이 얼마나 큰지 느끼게 되네요. 얼굴에 담겨있는 의미에 대해 알아보며 겉으로 보여지는 얼굴도 중요하지만 살아가면서 바뀌는 얼굴은 본인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에 너무 공감하게 되는것 같아요. 나는 스스로 만족할 만한 얼굴인지 생각해 보게 되네요.
'쪽팔리다'와 '자존심 상하다'
쪽팔리다는 속어로 '체면이 깍이다'로 풀이되는데 예를 들어 많은 사람들 앞에 나서기 싫을 때등 광범위하게 쓰인다는 걸 알 수 있어요.
'쪽팔리다'는 '쪽'과 '팔리다'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로 '쪽은 얼굴에 대한 속어'라는걸 알 수 있어요. 요즘은 다양한 속어들이 정말 많이 쓰이는데 바른 우리말 사용을 통해서 언어순화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속담이 만들어진 과정의 유추도 재미있게 만나볼 수 있는데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는 우리에게도 친숙한데 재미있는 이야기를 통해서 살펴볼 수 있는데 말도 안 되는 엉뚱한 소리를 할 때 '귀신 씻나락 까먹는 소리를 한다'라고 핀잔을 주는 소리로 씻나락의 의미도 이번에 제대로 알게 되었네요. '벼씨'가 아닌 '볍씨'로 표기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자세히 설명해주네요.
개법에 도토리란 속담도 그 어원에 대해 재미있게 알아보면서 속담도 어원에 대해 알아보면 좀 더 재미있게 접근해서 공부해 볼 수 있을것 같아요. 투호의 방법과 과정 의미에 대해 알아보며 투호의 예법에 대해 알 수 있는데 투호놀이가 격식을 갖춘 놀이라는게 흥미로웠고 현재는 모두들 즐길 수 있는 투호놀이로 투호의 유래와 의미에 대해 알고 놀이할 수 있어 더 재미있을것 같아요.
이외에도 고구려. 백제, 신라의 명칭은 어떻게 지어진 것인지, 짐과 과인의 의미, 식물과 지명의 유래,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요인 아리랑의 어원과 유래도 흥미롭게 볼 수 있었고 순국, 호국과 열사.의사등의 의미를 쉽고 흥미롭게 알게 해주네요.
그동안 잘못 알고있던 의미에 대해서도 바로잡아보고 새롭게 알게 된 의미까지 더해져 우리말에 대해 좀 더 깊이있게 생각해 볼 수 있었어요. 우리말의 어원과 유래에 대해 재미있게 만나보면서 국어의 즐거움을 느껴볼 수 있었던 유익한 시간이었어요.


"BMK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