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780년, 열하로 간 정조의 사신들 - 대청 외교와 『열하일기』에 얽힌 숨겨진 이야기 ㅣ 서가명강 시리즈 16
구범진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3월
평점 :

대청 외교와 열하일기에 얽힌 숨겨진 이야기
조선 정조 때의 실학자 연암 박지원의 중국 기행문 열하일기는 워낙 유명한데1780년, 열하로 간 정조의 사신들은 서울대학교 동양사학과 구범진 교수가 쓴 책으로 열하일기 속의 열하 이야기가 사실을 그대로 옮긴 것이 아니라는 것을 발견하게 되고 공부하면서 그동안 알고 있던 열하일기와는 또 다른 시각에서 접근해서 올바른 역사에 대해 알고 새롭고 흥미로운 역사적 지식을 넓혀줄 수 있어 좋았어요.

‘1780년의 열하’를 배경으로 조선과 청나라의 외교 관계에 관한 역사적 장면을 흥미롭게 풀어냈는데 총 5부로 나뉘어져있어요.
1부 조선의 반청 의시고가 사대 외교 병자호란의 치욕적 패전으로 청의 신하가 된 조선 '오랑캐의 운수는 100년을 가지 못한다' 라고 할만큼 영조조에 이르기까지 청에 반감은 쉽게 사그러지지 않았다는 걸 알 수 있어요.
청에 대한 사신 파견에 대한 소개도 흥미롭게 만나볼 수 있어요.
2부 정조의 건륭 칠순 진하 특사 파견1780년 열하에서 벌인 건륭의 칠순 잔치가 청나라에서 어떤 의미인지 살펴볼 수 있고 3부 진하 특사 박명원 사행과 '봉불지사' 소동
정조의 특사로 박명원이 열하게 다녀오게 되고 박지원이 그 사신단에 함께 하게 되는데 박명원 일행이 열하에서 건륭의 특별한 환대를 받고 돌아오지만 열하에서 받아 온 '금불' 로 인해 문제가 생기고 말아요. 판첸의 불상을 황제의 선물로 잘못 알리게 되면서 고초를 겪게 되는데 4부 박지원 열하일기의 봉불지사 변호론에서는 박명원을 위해 박지원이 펼친 변호론도 몰입감있게 볼 수 있었어요. 5부 전환기의 조선. 청 관계와 대청 인식 조선과 청나라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알아 볼 수 있네요.
1780년 진하 특사 박명원 일행의 여행 경로도 지도를 통해 따라가 볼 수 있고 열하에 도착한 이후 박명원 일행이 겪은 일들을 가장 자세하게 전한 것이 열하일기로 날짜별로 정리된 주요 활동 내역에 대한 설명이 자세히 되어있어요.
각 부가 끝나면 Q/A 묻고 답하기를 통해서 궁금증도 풀어볼 수 있고 지도와 사진자료등을 통해 이해를 도와주면서 역사에 대한 재미와 관심을 높여줄 수 있겠어요.


"21세기북스출판사로부터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