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역사학자 유 엠 부틴의 고조선 연구 - 고조선, 역사.고고학적 개요
유리 미하일로비치 부틴 지음, 이병두 옮김, 유정희 해제 / 아이네아스 / 2019년 8월
평점 :
절판


 

한국사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고조선의 역사 고고학, 인종, 사회, 경제등 고조선에 관한 문제를 다각도로 바라보며 관심있게 볼 수 있었어요. 러시아의 역사학자이자 고고학, 경제학자이기도 한 유리 마하일로비치 부틴의 고조선에 대한 연구는 서구학계에서도 한국사를 연구하는 학자는 없었다는데 한국사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성과를 이뤄낸 열정이 놀랍기만 하네요.

 

1장 영토와 인종 구성/ 2장 문헌 자료에 나타난 고조선/ 3장 남만주와 한국 북부의 초기 철기 시대/ 4장 사회 경제 구성/ 기타 질문&답변 및 책을 마치며로 구성되었어요.

조선이란 명칭의 기원을 밝히기 위한 노력과 연구 결과 숙신족의 명칭에서 나왔다고 보고 숙신은 조선의 고대 명칭으로 인종 명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해요. 조선이라는 단어와 어원과 관련해서 알아볼 수 있고 고조선의 지리적 위치, 어떤 종족으로 구성되고 변화되었는지 살펴볼 수 있어요.

단군이란 말의 기원 처음에는 담임검으로 불리고 중국어로 같은 의미를 지닌 왕검으로 쓰이게 되고 단왕검이라 발음하며 군이란 음절이 첨가되어 오늘의 단군 왕검이 되었다는 걸 알 수 있는데 왕검과 같은 말인 군을 첨가하였다는 견해는 명확치 않다는 걸 알 수 있어요.

고고학분야에 관심이 있어서 다양한 유적과 유물들도 그림과 표를 통해 이해를 도와주며 각 특징에 대해 비교해 보며 흥미롭게 볼 수 있었어요. 

한국과 러시와 북한의 연구성과를 모두 정리해서 다양한 관점에서 바라보며 고조선을 좀 더 깊이있게 알아볼 수 있는것 같아요. 

조금은 어렵게 느껴지는 고조선 연구 다양한 문헌사료와 고고학 연구 성과를 알 수 있어 흥미롭게 보면서 궁금증을 풀어볼 수 있어 유익하게 볼 수 있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