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집 - 대한제국 마지막 황족의 비사
권비영 지음 / 특별한서재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덕혜옹주와 하란사 두 편을 통해 권비영 작가를 알게 되었다.


두 편 모두 역사속 특히 조선 근현대사속의 인물들에 대한 이야기다.


< 잃어버린 집>은 대한제국 마지막 황족의 비사이다.


죽은 원혼들이 구천을 떠돌며 각자의 이야기를 하는 느낌이다.


제삿밥을 얻어먹고 싶어도 집이 없다.


없어진게 아니라 잃어버린 집이 된게다.


타국에 볼모 잡혀 어디서도 환영받지 못하지만 권리는 없고 의무만 있는 영왕


영왕과 정략결혼으로 두 나라의 모든 짐을 떠맡으며 속국이 아닌 한남자의 아내로서 최선을 다 하려고 했던 마사코


그들 사이에서 태어난이구


이구가 사랑한 여자, 하지만 황족의 배우자로 받아주지 않으려는 황태자비 줄리아



조상들에게도 겪어나가야 할 시대였듯이 그들 개인입장에서도 황족도 평민도 아닌 삶을 살아가야 할 때 인간적인 번민을 섬세하게 잘 풀어가고 있다.



대한제국, 그 슬픈 나라의 이름, 잊을 수 없는, 잊어서는 안되는 시간의 결 사이,동그란 무덤으로 남은 일가의 이야기


역사의 한 시기로 볼 수 있지만 개인으로 바라볼 때 타인의 역사는 흑백이다란 표현이 마음을 아프게 한다.



타인의 역사는 흑백이다.피도 흑백이고, 눈물도, 흑백이고, 가슴을 찢는 고통도 흑백일 뿐이다. 그래서 차라리 다행스럽다.


피가 붉거나, 눈물이 투명하거나, 슬픔이 진한 회색의 범람이람ㄴ 사람들의 감정은 오히려 혼란스러워질 것이다. 흑백으로 보자. 그러면 단순해진다. 단순해서 단순한 것이 아니라, 무심해서 무심한 것이 아니라. 슬프지 않아서 침묵하는 것이 아니라, 335



집을 짓는 일을 시는 짓는 일과 같다면 결혼해서 자신들의 집을 짓자고 했던 이구와 줄리아는 헤어지고, 이구는 자신이 태어난 일본 아카사카 저택이 보이는 호텔방에서 이승을 떠났다고 소설을 말한다.


자신의 전부였던 집이 이제는 카페가 되어버렸다.


이구는 멀리 떨어져 그 집을 바라볼 때 어떤 느낌이였을까?


영왕에게도 한반도는 죽을 때까지 잃어버린 집이고


이구에게도 아카사카는 잃어버린 집일 것이다.



한 시대의 역사가 결코 시대에만 아픔을 주지는 않았을 것이다.


마지막 황족으로 살아가야 했던 그들의 아픔이 고스란히 전달되는 책이였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기술한 글입니다.



#잃어버린집 #권비영_장편소설 #특별한서재 #대한제국마지막황족 #특별한서재신간서평단 #특별한서재신간서평단8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