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가 걱정돼 - 바다를 위협하는 7가지 특서 어린이교양 1
조미형 지음, 김수연 그림 / 특서주니어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름,쓰레기, 선크림,낡은 어구,폐수, 기후 변화,해저 개발

이미 책의 제목을 유추해보다면 위의 7가지가 바다를 위협하는 7가지라는 것을 알 것이다.

단순히 이 책은 원인만을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내 놓고 있다.

기름

1.기름유출이 되면 오일펜스와 흡수포, 세척기, 진공흡입기, 또는 생물정화를 위해 기름을 분해하는 박테리아를 이용하거나. 기름띠를 태운후 그 찌꺼기도 장비를 이용해 수거한다.

2.유지문기술과 기름뜰채로 해결하라

기름유출사고가 나면 현장조사로 기름에 묻어 있는 지문으로 범인을 찾는 기술인 유지문기술 분석로 사고대처가 가능하다

식충 식물의 주머니 형태 안 쪽에 긴 섬모는 물을 흡수한 후 단단하고 두꺼운 수막을 만들어 곤충이 미끄러지게 해서 잡는 성질을 모방해 기름이 들러붙지 않는 뜰채를 개발로 사후처리를 한다.

2.쓰레기

일단 제일 좋은것은 쓰레기가 많이 없도록 우리 스스로가 의식있는 소비자가 되야 하는 것이 첫번째이다.

올챙이처럼 생긴 아주 작은 바다동물인 유형류는 스스로 분비한 점액으로 자신을 감싼 후 투명한 공기 방울처럼 얇은 막을 형성해서 먹이를 먹는다.

과학자들은 유형류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미세 플라스틱을 걸려 내는 연구를 하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을 먹는 유충 '슈퍼웜'처럼 그것의 효소를 이용해 플라스틱 조각을 분해하느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3.선크림

제일 놀랜 것은 선크림이 바다를 오염시킬수 있다는 내용이다.

자외선 타단제 속에 들어 있는 화학 성분인 옥시벤존과 옥티녹세이트, 성분이 산호초를 백화(하얗게 말라 죽게하는)현상을 일으킨다. 실제로 호주 팔라우는 300여개의 아름다운 섬으로 이루어진 바다의 정원이라고 불릴 만큼 아름다운 산호들이 관광객들이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고 다이빙을 하는 바람에 위험에 처해있다. 2050년이 되면 전 세계 산호초의 70~90%가 사라질 수 있다고 한다. 적어도 바다에 들어갈 때 그냥 들어가는게 바다를 지키는 방법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4.낡은 어구

낡은 어구를 삼키거나 몸에 감긴 바다생물들의 뉴스는 충격적이었다. 과연 바다생물만 위험할까? 실제로 2019년 조개잡이 배 덕진호나 1993년 서해 훼리호도 이런 버려진 어구들로 인해 배의 침몰로 인간에게도 많은 피해를 봤다. 실제로 폐어구가 4.4만톤이나 되고 실제 수거가 되는 것이 1.1만콘이라고 한다. 심각성이 일어나자 어구실명제를 실시하고 있다고 하니 이렇게 자구책을 마련해 나가는 것도 상생의 좋은 방법인 것 같다.

5.폐수

폐수를 바다에 버리면 바닷속의 질소와 인의 농도가 짙어지면서 식물 플랑크톤이 대량으로 번식하고 많은 유기 물질을 배출하며 회색 거품과 함께 거대한 덩어리로 끈적이는 바다 콧물을 형성한다. 마시멜로처럼 늘어나며 밟아도 흩어지지 않을 정도로 끈적인다. 냄새가 지독한 것은 당연하고 막이 형성되어 해양생물들이 살 수 없는 죽은 바다가 되는 것이다.

물론 폐수를 방류하면 안되고 반드시 정화과정을 통해 바다로 유입되게 만들어야 한다.

최근 바다콧물을 경제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도 한다고 한다. 거품이 열분해될 때 나오는 가스에서 수소를 얻거나, 거품 속 물질로 비료를 만드려는 연구도 진행중이라고 한다.

6.기후변화

기후변화로 바다의 수온이 올라가면서 일어나는 현상중 하나가 용오름이라고 한다. 용오름으로 바다생물이 치솟기도 하고 그 곳을 지나는 비행기가 위험해지기도 하며 바다거북의 부화율도 낮아진다고 한다. 또한 태풍피해가 더 잦아지는 원인도 여기에 있다.

바다에서 열이 나지 않게 하는 방법 중 하나가 블루카본이라는 바다 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를 생성하는 염생식물을 번식 시키는 것이다.

7.해저개발-해저 채굴을 위해 하루 8000번 충격파를 발사하다.

바다속 소음이 별문제가 될까 싶지만 소리를 내는 피라냐, 색을 바꾸는 갑오징어, 초음파를 내보내는 돌고래,방귀를 뀌는 청어등이 음파를 통해 자신을 보호하거나 의사소통을 하지만 바닷속 소음공해로 인하여 바다생태계가 교란된다고 한다.

우리가 환경문제에 대해서는 시공간의 개념이 멀어서 늘 미래형 시제로 언급한다고 한다.

나와 떨어진 먼 곳, 그리고 지금 아니고 미래에 일어날 일로 간주하기 때문에 덜 급하고 덜 위험한 일로 여긴다.

실제로 내가 사는 곳에서 물부족으로 인해 자발적 단수캠페인을 벌일 만큼 적은 강수량이 문제가 되고 있고, 폭염으로 여름을 보내면 잦은 태풍발생으로 두려워하다가 풍성한 눈이 와야하는 계절에는 정작 눈을 보지 못한다. 어릴 적에는 그저 불편함으로 치부되었던 환경들이 이제 삶과 별개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자각하지만 주변의 삶은 여전히 미래형이다. 남자 중학생아이가 읽던 책에서도 지구의 온도가 1도 올라갈 때마다 상상이상의 지구 모습이 나타난다. 많은 노력이 아니더라도 우리 실천할 수 있는 소소한 것들을 실천해 나가보자. 나하나쯤 안해도 아니라 나부터라는 자세로 시작한다면 적어도 더 나쁜 미래를 상상하지 않아도 된다. 환경문제는 미래시제가 아니라 현재시제이다.

환경문제에 대해 아이와 함께 이야기해보고 싶은 사람들에게 적극적으로 추천합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쓴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