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풀한 교과서 세계사 토론 - 중·고교 세계사, 24가지 논제로 깔끔하게 정복! 특서 청소년 인문교양 15
박숙현 외 지음 / 특별한서재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를 시작하면서 제일 힘든 코스가 정치,경제,문화, 종교,철학,지리,세계사였다.

왠지 열거해 놓으니 다 부족한 것 같다.

그래서 올해 초에 세계사 강의를 하나씩 듣게 되었다.

그 시대적 배경과 지리적 특징을 이해하고 나니 조금씩 눈이 떠지는 것을 경험한 것이다.

모든 것이 그물코처럼 연결된다는 것을 이제서야 경험한다.

<파워풀한 교과서 세계사토론>에서는

1.세계사 연대표에 따라 설명되어 있다. 시대적 흐름에 따라 중요한 사건위주로 정리되어 큰 틀에서 세계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2.중고등학교 교과서의 학습 목표를 바탕으로 정리되어 있어서 세계사를 어려워하는 친구들이나 성인들에게도 도움이 된다.

3.사건의 언인,과정, 결과를 한눈에 보기 쉽게 표로 정리되어 있어 요약이 쉽다

4.사건의 역사적 배경을 원인, 과정, 결과를 중심으로 자세히 설명했다. 기존에 우리는 사건위주로 암기식을 했는데 이렇게 설명하면 연결하기 쉬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5.하브루타식으로 질문과 대화, 논쟁을 통해 더욱 더 자세하게 이해하도록 도움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개인적으로 이 부분에 굉장한 장점이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단, 기승전결의 과정을 거친 후에 하브루타가 진행된다면 많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자부한다. 쟁점과 토론 논제 뿐 아니라 토론 요약서를 통해 찬성과 반대 입장의 논점과 논거를 요약해 한 눈에 볼 수 있다.

평상시 학교의 한국사와 세계사가 이렇게 수업이 진행된다면 암기식 수업을 하는 친구들에게도 역사와 세계사가 부담을 주는 과목이 아니며 조금더 글로벌한 인재양성을 할 수 있다고 자부한다. 전반적으로 하브루타식 수업은 좌뇌와 우뇌 그리고 합리적인 논거제시와 반론, 그리고 상대방과 토론을 통해 건전한 문화시민으로서의 자질양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여전히 암기식 수업에 의존하고 지루한 수업으로 일관하는 교육체계에서 따분한 수업때문에 지루해서 눕는 학생들만 탓할 일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물론 준비하는 교사에게 많은 노력을 요하지만 무기력한 수업현장보다는 활기찬 수업에서 생동감을 맛보는 것도 서로에게 좋은 경험이 되리라 자부한다.

-토론식 세계사를 지도하는 선생님과 학부모

-체계적인 세계사공부를 시작하고픈 일반인들

-개괄적인 세계사를 일목요연하게 정립하고 싶은 중고학생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으로 기술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