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풀한 실전 과학 토론 - 39가지 논제로 ‘과학 토론, 수행 평가’ 완전 정복! 특서 청소년 인문교양 13
남숙경.이승경 지음 / 특별한서재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 토론 대회가 매년 과학의 달 4월에 청소년 과학탐구 대회의 한 종목으로 전국 초중고에서 공통으로 개최되는 유일한 토론 대회가 있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 알게 된다.

과거 6년 전 처음 디베이트라는 수업을 들으면서 힘들었던 기억이 있다.

첫째, 어떤 한 분야에 정확한 개념이나 깊이 있게 탐구한 경험이 없었다. 그러다 보니 나의 논리가 없다.

둘째, 질문이라는 단어에 대해서 고민하게 된다. 어린 시절 질문이라는 것을 할 수 있는 교육을 받지 못했다.

천편일률적 공장에서 찍어내는 기계처럼 잘 외우고 잘 풀고 시험에 통과해야지만 그다음의 삶이 보장된 성과 위주의 삶을 살았지 과정 위주의 삶이 없다 보니 정작 마흔 때쯤에 처음으로 내 삶에 대해 질문을 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셋째, 토론문화가 익숙하지 않으니 상대의 질문에 감정적인 대응하게 된다.

넷째, 좌우의 뇌가 있다는 것을 몸으로 체험한다.

다섯째, 자기 주도 학습의 필요성을 느낀다. 다음 시간의 찬반 토론을 위해 상대의 주장에 반론을 준비로 인해 밤새 내내 반론 자료를 검색하다 보니 당연히 감정이 아닌 논리로 상대를 제압해야 하는 경험을 한다.

여섯째, 다시는 우리 세대와 같은 전철을 후세들에게 전달하면 안된다는 각오를 하게 된다. 그래서 아이에게 디베이트 수업을 추천하고 3년간 진행한다. 물론 이 수업을 통해 정식적으로 아이들은 대회 경험을 가져보지 못한 게 아쉬울 따름이다.

일곱 번째, 독서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된다. 나뿐만 아니라 내가 지도하는 아이들에게 매일 두 쪽만 읽으면서 책 읽는 습관과 생각하고 아웃풋 하는 습관을 가랑비에 옷 젖듯 진행하게 된다.

책을 받고 가장 먼저 목차에서 관심 있는 곳을 보면서 부정적이라고만 생각했던 것들의 좋은 점도 발견한다.

토론의 중요성은 무조건 틀리고 맞다가 아니라 장단점을 살펴보고 장점은 더욱 증대시키고 단점을 보완하여 미래사회를 살아갈 아이들에게 씨앗을 심는 역할을 할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

경험만큼 중요한 재산을 없는 것 같다. 이 책 한 권을 꾸준히 가정에서 가족과 함께 공부하고 가족토론대회를 벌려도 좋을 것 같아 추천한다.

출판사로부터 무상으로 도서를 제공받아 개인적 의견을 기술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