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염장이 - 대한민국 장례명장이 어루만진 삶의 끝과 시작
유재철 지음 / 김영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은자의 집청소라는 김완작가의 책을 읽을 때도 이와 같은 느낌을 받는다.

쟁이가 아니라 장이라는 느낌이다. 쟁이에는 돈과 기술을 의미하지만 장이에게는 직업에 대한 소신이 묻어난다.

죽은 자의 집을 청소하며 그 넋을 자기다운 방식으로 정리하며 다음 사람이 살도록 치우는 청소하는 사람으로서의 소신이 김완님의 소신이라면 죽은 자의 몸을 염을 하면서 그 넋을 달래며 고인이 편안히 가실 수 있도록 정성을 다하며 남아있는 유가족들에게 죽음이 지금 삶에 최선을 다해야 함을 직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장례지도사로서의 소신을 보여주는 유재철님의 소신이다.

장례지도사도 기획이 필요성을 느끼고 이 길을 지금까지 걸어오시면서 변해가는 장례문화와 우리가 죽음을 바라보면는 시선과 현재 살고 있는 삶에서 우리가 무엇을 느끼고 잘 죽는 것은 현재 삶에서 어떤 모습을 지녀야 하는지를 기술하고 있다.

해야한다라는 당위성보다 각 파트별 이야기속에서 장례지도사로서 행하는 모습을 통해 내용은 사라지고 어디서나 뻔한 형식만 남아있는 장례문화를 비춰보며 형식과 절차도 중요하지만, 장례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고인을 기억하는 진실한 마음이 아닐까하는 정신과 마음이 깃든 새로운 장례문화의 필요성을 강조하신다.



초상집에는 자기 인생을 돌아보기에 충분한 조건이 갖춰져 있는 것이다.

'죽음'은 예외없이 살아 있는사람에게 손님처럼 들이닥친다. 순간의 즐거움을 좇는 잔칫집과 달리, 초상집에서 발견하는 것은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자신의 인생이다. '어떻게 살 것인가','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 초상집에서는 '인생의 화두'를 얻어오기 마련이다.36



'나는 무엇을 지키며 살아왔던가','나는 무엇을 위해 살아왔던가', 그날 밤 조문객들은 '초상집에 마음을 둔 지혜로운 사람'이었으이라. 그날만큼은 조문객 모두 인생을 반추해 보는 기회를 얻었을 것이다. 37

현재 내 삶의 태도가 복을 가져다 준다. 87

교만은 실수를 만들고,죄를 짓게 만든다. 그곳에서 실수하고 죄 짓는 것을 아무도 모른다고 해도, 본인만은 알고 있다. 본인이 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자책과 죄책감이 자신을 괴롭힌다는 걸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어떻게 보면, 산 사람이 더 무섭다. 앞에서 웃고 뒤에서 뒤통수치는게 산 사람 아닌가. 164



장례지도사는 나에게 돈벌이 정도의 단순한 직업이 아니다. 시신에 대한 거부감이 없는 데다, 염습이나 산소 일을 완벽하게 해냈을 때의 뿌듯함이 돈을 만졌을 때의 만족감보다 크다. 유족이 위로받는 모습을 보면 보람을 느낀다. 장례지도사로서의 이 일은 내 삶의 이유이자 사명이다. 요즘은 평생직장 개념이 거의 사라졌다. 하지만 내 사명이라고 느끼는 일을 발견한 순간, 그것은 평생 놓지 못하고 붙드는 직업이 된다. 165



하지만 고인을 돈으로 보는 사람은 장례지도가가 되어서는 안 된다. 장례지도사는 한 인생의 마무리를 자신의 손으로 대신 해준다는 사명감으로 일하는 사람이다. 한 달에 몇 건의 장례를 지렀는지, 이것으로 얼마나 벌었는지, 목표 수익을 달성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이런 것들을 생각하기 시작하면 더 이상 염장이라 할 수 없다. 돈을 따라가다 보면, '예'는 사라지고 '일'만 좇게 된다. 나는 단순히 '일'을 처리하는 사람이 아닌, '예'를 행하는 사람으로 남고 싶다. 염습하는 것은 몇 가지 기술만 익히면 누구나 할 수 있다. 하지만 사명감이 일보다 앞서지 않으면 아무나 할 수 없고 한 달도 하지 못하는 것이 장례지도사, 염장의 일이다.174



염습은 절대 천한 일이 아니다. 산파가 한 인생을 두 손으로 받아줬다면, 염사는 한 인생을 갈무리하여 두 손으로 보내주는 사람이다. 인생사에 꼭 필요한 일다 염습에 예법이 존재하는 거솓 그런 이유에서다. 178



많은 사람이 유서를 쓰기도 하지만, 곧 죽을 걸 알고 쓰는 유서 말고,오락가락하는 정신으로 쓰는 유서말고, 살날이 많을 때, 건강할 때 자신의 죽음을 들여다 보는 엔딩노트를 써보길 권한다.

누군들 자신있게 자신의 인생이 완벽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완성을 해야 고군분투하지만,결국 미완성으로 끝나는 게 우리 인생이다. 엔딩노트가 인생을 완벽하게 마무리 지어주는 것은 아니지만, 마지막까지 주체적인 삶을 사는데 도움을 준다. 자기 삶을 자기 손으로 마무리하는 것만큼 잘 산 인생이 있을까? 245



돌아가신 부모님의 염습과정에서 오열하며 눈물을 흘렸다. 그때 염습을 진행하시던 분이 엄하게 말씀하신다.

고인의 수의에 눈물을 거두십시요..수의가 무거우면 하늘로 올라갈 수 없다는 말에 눈물을 그친다. 눈물을 적시면서까지 부모를 힘들게 보내기 싫었다. 하지만 어쩌면 그것은 산 사람을 위한 배려였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 책을 읽으면서 돌아가신 부모님의 장례를 애도식없이 너무 형식에 맞춰 보내드리지 않았나라는 생각이 든다. 죽음마저도 관공서의 일처리처럼 끝내니 못내 아쉬움이 남았다.

그래서 남편에게 시부모님의 장례는 그렇게 하지 말자고 언급하니 지금 장례를 언급하는 것은 불효라고 생각한다고 말하자 그건 지나고 보면 알 일이라고 속으로 생각한다. 나의 후회를 똑같이 반복시켜주고 싶지 않다는 뜻이였다.



나의 엔딩노트를 적었다. 리스트에 적힌 사람만,나의 죽음을 슬퍼할 사람만 적어보자고 했지만 첫 이름부터 망설여진다. 그들이 나를 사랑했는가가 중요한게 아니라 내가 그들에게 사랑을 흠뻑 주었나라는 생각말이다. 조건 없는 사랑을 주는 것이 이리도 어려운 삶을 나는 살아가고 있나라고 반추해보는 시간이 되었다. 그리고 남아있을 외동아들에게 처음으로 형제없는 외로움을 준 것 같아 미안한 마음을 갖게 된다. 혼자 얼마나 외로울까 그래도 나는 형제라도 있었는데. 그렇다면 내가 저 녀석에게 무엇을 남겨줘야 하나라는 생각으로 전환된다. 남겨줄 게 없다. 그렇다면 충만한 사랑과 강인한 자기애와 많은 시련을 극복하는 강인한 심장을 주어야 한다. 강하게 키워야 한다.

그렇기 위해선 오늘 지금을 행복해야 한다. 행복은 다양한 모습에서 온다. 눈이 마주치면 사랑한다고 말하고 안아주자. 늬 마음대로 항상 결정해야 한다고 말해주자. 오늘이 가장 멋진 모습이라고 주술처럼 말해주자.

수없이 다짐하지만 다시 현실속에 나는 다시 똑같은 엄마가 된다. 그래도 2번할 것 3번하자는 마음을 먹는다.



늘 좋은 글을 쓰고 싶다고 생각했는데 대통령의 염장이를 보면서 생각한다.

좋은 글은 그냥 삶의 태도가 좋으면 그 태도대로 살고 그 삶 자체가 좋은 글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한 사람의 좋은 삶의 글이 나의 삶에 들어와 태도가 되게 한다.

감사합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개인적 의견을 기술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