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 2 - 아모르 마네트
김진명 지음 / 쌤앤파커스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직지2에서 나온것처럼 정말 실화를 바탕으로 쓴 글이였기를 간절히 바래본다.

직지가 한글과 만나다니...

세종대왕이 훌륭한 성군인줄 자명한 사실이지만 소설속에 만났을 때는 정말 엎드려 읍소코자하는 맘이 굴뚝같다.

온 백성이 중국한자보다 익히기 쉬운 우리말을 만들어 백성이 날로 편하기를 위해 천신만고 끝에 한글을 만드는데 직지의 도움을 받고자 애쓴 장면에선 너무나 감동이다.

그 주군의 뜻을 받들던 양승락과 딸 양은수와의 만남에서 한자와 한글중 누가 더 빠른지 대결하는 장면과 첫 술잔은 너의 낭군에게 따라주라던 세종.

그리고 그들이 만든 주물과 글씨체를 보고 고마움과 감탄을 자아내던 장면들..



예쁜 글자도 있고 웅장한 글자도 있을진데 어떻게 그런 편안한 서체를 만들었냐는 질문에 한자가 어려워 글을 읽을 수 없는 백성들을 위하여 새로운 문자를 만드는데 수많은 반대가 있을 건데 글자가 예쁘기만 하면 멸시를 받을 것이고 글자가 웅장하면 배척받을 것같아 편안함을 기본으로 하되 세종의 정신을 담아 당당하게 만들었다는 은수를 어찌 갸륵하게 여기 않을 수 있을까



반대파들에 의해 아비를 잃고 흘러흘러 교황청까지 가서 직지를 선보이나 거기또한

사람을 섬기는게 아닌 신을 섬기는 자들의 권력을 본 그녀는 쿠자누스를 통해 직지를 보급시켜 세종의 뜻을 펼쳐보이려는중 구텐베르크의 노력으로 직지가 계승된다.



쿠텐베르크 프로젝트에 참여하신 여러분, 직지가 구텐베르크에게 전해졌는지 안 전해졌는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습니다. 설혹 전해졌다 하더라도 쿠텐베르크으 위대함이나 인류 역사에서 그가 일으킨 지식혁명의 거대한 불꽃은 조금도 가려지지 않습니다. 직지가 씨앗이라면 크텐베르크는 누구보다도 화려하게 꽃을 피워내고 열매를 맺게 한 정원사입니다 구켄베르크 프로젝트라는 자랑스러운 명칭은 그대로 써주실길 직지 연구자이지 한국인의 한 사람으로서 여러분께 부탁드립니다.

254

템푸스 푸지트 아모르 마네트

세월은 흘러도 사랑은 남는다



우리는 두권의 장편소설에서 사랑을 본다.

남녀간의 사랑이상의 여러가지 사랑을 본다.

그 사랑을 일일히 나열하는 것보다 책속에서 그 의미를 찾아가는 것이

훨씬 감동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