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이따위 레시피라니 - 줄리언 반스의 부엌 사색
줄리언 반스 지음, 공진호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나는 요리를 못한다.

엄밀히 말하면 요리를 할 시간이 없다. 핑계로 들릴 수도 있다.

아직도 양가에서 공수한 김치를 기본으로 볶음요리나 찌게,그리고 누구나 하는 카레,짜장,그리고 라면 등등 할 수있는게 얼마 안된다.

시간도 없었고 아이가 어려서 먹일 수 있는게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가짓수를 세어보지는 않았지만 많지는 않다.
양가 부모님의 반찬솜씨는 훌륭하다.
어머니 반찬이 너무 맛있어서 제가 하면 이맛이 안나므로 진정한 효도는 맛있게 먹어주는 거라고 나물 한젓가락을 한 입물고 얼버무린다.

어느날 친구가 찰밥,약밥,매운탕,닭도리탕,등뼈찜을 했다고 볼때 마다 음식을 내놓는데 자괴감이 든다.

이 나이 먹도록 나는 뭐하고 있지?

밥솥을 사니 딸려온 레시피를 살펴본다.

글로 써진 약밥은 아주 훌륭하다.

하지만 그대로 했다가 망했다.

망한 이유는 계량실패다.

두번째로 가장 핫한 백종원레시피다.

된다. 거기다 맛있기까지...

백종원은 계량에 대한 고민을 종이컵하나도 해결해주었다.

자신감이 생겨 몇번을 해서 주변에 까지 돌려서 자랑하고 맛있다는 평을 들으니 자신감이 생긴다.

다른 요리도 마찬가지 과정을 통해 잘하게 된다

나는 못하는게 아니라 안하는 거라고 당당하게 말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요리에 큰 흥미를 갖지 않은 내가 볼때 어떻게 이런 내용들도 글이 될 수 있을까? 생각했는데

읽다보니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라는 책에서

"이건 글을 쓰기에 좋고, 저것은 이야깃거리가 못된다"라는 식의 생각을 버려야 한다. 작가는 두려움없이 무조건적으로 모든 것을 써 낼수 있는 용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라는 부분이 읽어 갈수록 공감이 되어간다.
내가 요리를 맘먹고 해보려고
레시피를 보면 계량스푼부터 모든 조리도구가 없어 시작도 못한다.
지금은 다양한 재료를 마트에서 구입할 수 있지만 꼭 그 요리가 먹고 싶은데 재료공수를 못하거나. 실상 하더라고 요리책 사진만큼 비쥬얼도 안나온다.
작가도 언급한다

잘게 써라는게 slice인지 chop인지

손바닥만한 고기라고 하는데 얼마만큼인지

분명 사진에는 고기와 야채가 들어갈만큼 충분한 팬이라 말하는데 현실과는 맞지 않는다던지 작가가 가지고 있는 레시피책들이 표지로 인해 그 시대를 보여주는 유물처럼 전시되거나 당시 화폐가치를 보여주는 시간여행안내문으로

전락하는것을 보며 또 이 따위 레시피라니란 말을 되뇌인다.

아예 레시피책 제목을

'남다른 솜씨와 시간과 돈이 드는 레시피'

'바보라도 뚝딱 만들 수 있는 레시피'

'보기보다 좀 어려운 좋은 레시피'라는 이름으로 변경하면 인기있지 않을까하고

변경을 제안할때 여지없이 현학자다운 면모를 보임에 독자로서 웃게 만든다.



작가가 생각하기에 최고의 책은 저자를 알지도 못하는 독자들까지 저자의 친구라고 믿게 만드는 책이듯 요리에서 자유를 최대한 허용할 뿐 아니라, 내 경험으로는 내가 아는 그 어떤 것보다 더 높은 성공률을 보이고 맛은 진짜에 더 가까운,그래서 충분한 자신감을 주는 책을 좋은 레시피라고 말한다.

결국 레시피에서 시작된 요리는 시만큼 도덕적 행위인 온전한 정신의 문제다.

빵을 고르는 일.

버터를 마음대로 마구 쓰는 일.

부엌을 혼돈의 도가니로 몰아넣는 일.

재료를 조금도 낭비하지 않으려고 노력하는 일.

친구와 가족을 먹이는 일.

다른 사람들과 음식을 나누는,

단순화할 수 없는 사회적 행위에 참여하는 일.

192쪽

그렇다.

성실한 요리는 평온한 마음,상냥한 생각,그리고 이웃의 결점을 너그럽게 보는 태도를 은밀히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요리는 우리에게 경의를 요구할 자격이 있다는말에 공감한다.

나도 밥하러 가야겠다.

어제와 같은 반찬일지라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