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복제인간 윤봉구 2 : 버킷리스트 - 제5회 스토리킹 수상작 후속작 ㅣ 복제인간 윤봉구 2
임은하 지음, 정용환 그림 / 비룡소 / 2018년 7월
평점 :
형과 내가 어릴 때 개미를 가지고 많이 하던 장난이 개미 더듬이를 자르는 일이었다. 집을 향해 열심히 기어가던 개미는
더듬이를 잘리면 갑자기 갈 곳을 잃는다. 어디로 가야 할지 몰라 헤매는 걸 지켜보는 게 재미있었다. 그 개미는 얼마나 무서웠을까. 갈 곳을
모른다는 것, 그리고 집을 찾아갈 수 없다는 것이 이렇게 무서운 일인 줄 알았다면 나는 그런 장난을 치지 않았을 것이다. 나는 그때 개미들에게
미안했다. 나는 지금 더듬이 잘린 개미가 되었다.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르는 개미 말이다. 1권 125
어린이 심사위원 100명이 선택한 제5회 스토리킹 수상작 <복제
인간 윤봉구>다. 내가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점은 무엇일까. 형과 똑같이 생긴 봉구처럼 누군가 나와 똑같이 생긴 사람이 있다면, 내 존재는
어떻게 증명해야 할까. '복제 인간'이라는 참신한 소재도 좋았지만, 읽는 내내 '나'라는 존재에 대한 물음표가 생기는 책이었다. 인간은 어떤
이유를 갖고 태어났든 표면적으로는 남자와 여자의 사랑의 결실로 '자연스럽게' 잉태된 것처럼 보인다. 복제 인간 봉구는 뛰어난 과학자였던 어머니의
새로운 지식에 대한 열망이라는 '목적으로' 태어난 아이다. 1권에서 봉구는 스스로 삶에 어떤 목적성을 부여하도 전에 타인의 목적에 의해 만들어진
복제 인간이라는 사실 때문에 괴로워하고 방황한다.
개인의 자아 정체감은 행동이나 사고, 느낌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내가 누구인가를
일관되게 인식하는 것이다. 봉구가 좋아하는 짜장면을 열심히 만드는 것은 그저 형의 유전자가 복사된 '피조물'이 아닌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는
행위였다. 그가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모습은 일반 청소년들이 정체성을 만들어가는 모습과 별반 다르지 않았다. 그렇게 정체감을 쌓아가던 봉구에게
끊임없이 나타나는 방해꾼은 “나는 네가 복제 인간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라는 편지를 보내는 사람들이었다. 다름을 인정받기도 전에 정체감이
거세되어 버릴 것 같은 불안감은 고립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봉구는 아파서 병원에 입원한 형에게서 도망친다. 사랑하는 형이라도 자신의 심장을 줄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봉구는 자신의 심장을 지키기 위해 수련을 하던 식당 '진짜루'에 숨어들었다.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들을 보지
못한다는 두려움에 비로소 재채기가 아닌 '진짜' 눈물을 흘리게 된다.
1권이 인간의 목적성과 정체성을 중심으로 이야기했다면 2권은
삶의 유한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자아 정체감이 어느 정도 수립되었으니 인생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생각해야 하는 것이다. 그 생각을 촉발시키는
존재는 1권 마지막에서 봉구의 정체를 알고 있다고 편지를 보낸 새로운 인물, 양서준이었다. 그녀는(그렇다. 여성이다. 여성은 늘 생명의 유한성을
남성보다 일찍 깨닫는다. 아이를 낳고 먹이고 기르며 존재에 민감성을 갖기 때문이다) 간신히 자리 잡은 뽀글 머리 봉구의 자아정체성을 그냥 내버려
두지 않고 지근지근 밟아 튼튼하게 다지는 역할을 한다. (새로운 엄마 역할인가?) 그리고 보통 양보다 수명이 훨씬 짧은 복제 양 돌리를 예를
들며, 복제 인간인 봉구도 일반 사람보다 수명이 짧을 것이라는 그럴듯한 논리로 봉구의 마음을 다시 수렁에 집어넣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