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보이 - 젠더 경계를 거부하는 한 소녀의 진지하고 유쾌한 성장기
리즈 프린스 지음, 윤영 옮김 / 윌컴퍼니 / 2018년 6월
평점 :
절판


섹스(SEX)가 생물학적인 의미의 성을 뜻한다면, 젠더는 사회적인 의미의 성을 의미한다. 사회에서 여성은 이러이러하고, 남성은 이러이러하다고 정의 내린 개념이 젠더다. 성 역할과 비슷하다. 젠더의 사용은 타고난 신체의 차이로 여성과 남성을 구분해 남녀 차별적인 성격을 갖고 있던 섹스보다 대등한 남녀관계를 내포해 사회적으로 모두 동등한 인간임을 시사했다는데 의미가 있었다. 젠더 개념은 성소수자 운동이 본격화하면서 논의되기 시작해 자신의 성별 정체성에 걸맞은 사회적 지위를 얻고자 하는 트랜스젠더들이 양지로 쏟아져 나오며 젠더 개념의 중요성에 무게를 실어주었다. 이 책 <TOMBOY>는 젠더의 경계에서 방황하는 한 아이, 리즈가 스스로 정체성을 찾아가는 모습을 그린 만화책이다. 외국 작가의 책이라 담배나 마약, 섹스를 접하는 부분에서 조금 머뭇거렸지만 2차 성징기가 시작될 무렵이면 누구나 한 번쯤 고민해보았던 자신의 성 역할의 문제를 만화라는 수단으로 담백하게 담아냈다.

 

이 책의 주인공 리즈 프린스는 어릴 때부터 치마는 끔찍했고 긴 머리는 질색해서 주변에서 톰보이라 불리던 소녀다. 어릴 때는 지나가는 사람들이 모두 남자로 착각했지만 그다지 상관없었지만, 여섯 살 때 지내던 곳을 떠나자 많은 것들이 달라졌다. 다른 아이들 눈에 그녀는 좀 괴짜 같은 아이였다. 그래도 자신과 비슷한 아이들(톰보이)을 만나 힘든 학창시절을 견뎌낸다. 그리고 여성과 남성의 차이는 무엇일까 진지하게 생각해 보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생물학적 차이를 제외한 여자와 남자의 차이는 겉모습에 지나지 않다고 생각했지만, 생물학적인 차이가 아무렇지 않았던 것도 아니었다. 그녀가 좋아하는 곳은 어김없이 남자아이들 세상이었고, 그들과 다르다는 것은 묘한 이질감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여자도 남자도 아닌 어정쩡한 상태가 된 것이다.

그녀에게도 사춘기가 찾아온다. 좋아하는 사람에게 사랑받고 싶지만 언제나 인기남 옆에는 사랑스럽고 예쁜 인기녀가 있기 마련이다. 좋아하는 사람에게 관심을 받고 싶어 본래 내 모습을 감추고 사랑받는 여성의 모습으로 바꿔볼까 고민해보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그렇지만 리즈는 외모가 아닌 자신의 예술적 재능과 재미있는 성격을 좋아해 주는 아이가 있을 거라 믿는다. 리즈의 생리가 처음 시작된 날, 그날부터 리즈는 자신이 여성이라는 사실을 매번 몸으로 자각하게 된다. 그리고 몸의 성장만큼 마음도 같이 성장한다. 리즈 같은 아이를 키우는 엄마로서 꼭 읽어보고 싶었던 책이다. 미국적 정서가 강하게 느껴지는 부분을 제외하면 아이들이 읽어도 좋은 내용이 많다. 그래도 중학생은 되어야 보여줄 수 있을 것 같다. 뭐, 이미 호기심 많은 녀석이 읽었을지도 모르지만.

무엇이 남자와 여자를 규정짓는지에 대한 깊은 고찰이 이 만화의 주제다. 그녀에게 '톰보이'라는 것은 남성과 같은 옷을 입는다는 의미를 넘어 자신이 만들어간 자신만의 생활방식이다. 아이들은 태어날 때부터 자신만의 스타일을 갖는다. 톰보이 스타일인 첫째 아이는 모험하는 모든 놀이를 즐기고 괴상하고 끔찍한 이야기를 좋아한다. 하지만 아이가 자랄수록 아이 취향에 맞춰 무엇인가 사는 것은 무척 어려운 일이 되었다. 아이가 원하는 스타일은 모두 '남아용'이라는 표가 붙어있었기 때문이다. 비옷이나 장화에 남아용 여아용이 구분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이가 거부하지 않았다면 무심코 선택했을 정형화된 세계를 이제는 다시 한번 들여다본다. 전혀 다른 두 명의 여자아이를 키우며 늘 생각하는 영상이 있다. 위스퍼 광고로 제작된 비디오 영상이다. "여성스럽게 뛰는 것은 어떤 것인가요?"라는 물음에 아이들과 성인들이 보여준 차이점과 마지막에 한 여성이 나답게 뛰면 된다고 했던 말을 늘 가슴에 새기고 있다. 그리고 내가 배웠던 잣대로 아이를 바라볼 때마다 되뇐다.  “그냥 너답게 하면 돼. 그거면 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