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인라이팅>을 읽고 리뷰해 주세요.
브레인라이팅 - 종이 한 장으로 세계 최강의 기업을 만든 기적의 메모 발상법
다카하시 마코토 지음, 송수영 옮김 / 이아소 / 201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브레인 라이팅이라는 글자에서 바로 알 수 있듯이 뇌속에 떠오르는 소재들을 

아무런 판단없이 그대로 적는 기법.  

책에서는 브레인 라이팅의 기초가 되는 마인드 맵등을 활용한 여러 기법이  

소개되어 있다.  

그 중에 가장 핵심적인 브레인 라이팅에 대해 간단히 소개한다. 

6명이 한그룹이 되어 정해진 브레인 라이팅 시트에 한 사람씩 5분안에 아이디어 3개를  

써내는 것이 기본이다. 꼭 6명이 아니더라도 혼자서도 혹은 몇천명이 모여서도 그룹을 나눠  

할 수 있다.  

브레인 라이팅 시트에는 주제를 맨 위에 적은후  

그 밑에 A,B,C로 세로로 칸을 나눠 그 밑에 1~6번까지 순서를 매긴다. 

각각의 사람들은 5분안에 주제에 합당하는 아이디어 3가지를 차례로 쓴 후 

옆에 있는 사람에게 시트를 돌려 전사람의 아이디어를 보고 좀 더 발전된 아이디어를  

적어나가는 식의 형식이다. 

이렇게하면 정해진 시간내에 많은 아이디어를 창출해 낼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아이디어를 적는 시간이 한정되어 있기때문에  

많은 생각을 하지 않고 떠오르는 아이디어만을 적는 것이다.  

현실적인 결함과 같은 오류, 개인적 판단을 억제하는 것이다. 

즉, 브레인 라이팅은 종이에 아이디어를 적은후 옆에 있는 사람에게  

전달하고 다시 아이디어를 생각해 내는무음의 아이디어를 제출형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팀원들은 지위를 막론하고 자유롭고 평등하게 아이디어를 낼 수 있다.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우리나라와 일본같은, 말하자면 수업을 들을 때 말없이  

선생님의 말을 적는 타입의 문화에서는 자신이 생각하는 것들을 쉽사리 입밖으로 못내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형태의 방식이 더욱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회의를 한다고 하면 진행하는 사람이 처음부터 끝까지 주도해야하는 입장에 있는  

경우가 많다면 브레인 라이팅은 주제를 정하면 그후에는 종이에 적는것 뿐이기 때문에  

서먹서먹하게 아이디어를 내는 기존의 회의보다는 훨씬더 적극 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갈 수 있다.  

이 외에도 포스트잇을 활용한 방법등이 소개되어 있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자들에게 있어 아이디어 창출은 어느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짐이 되고 있다.  

막연하게 아이디어를 내야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형식을 갖춘 방법으로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내는 것은 어떨까  

가장 많이 알려지고 활용되어온 마인드 맵을 기초해 활용한 브레인라이팅. 

피할수 없으면 즐기는것이 가장 현명한 선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된다 된다 나는 된다 - 일과 인생이 술술 풀리는 자기암시법
니시다 후미오 지음, 하연수 옮김 / 흐름출판 / 200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에 알게 된 것은 조혜련의 '미래일기'를 읽던중에 혜련씨가  

참고한 서적들을 보게 된 것이었다.  

제목이 너무 진부해 보여서 과연 읽을 가치가 있을까 싶었다. 

첫부분은 내용이 그닥 와닿지 않았지만 가면 갈 수록 기존의 똑같은 말만 하던 

자기경영책들과는 달리 '운'이라는 중요한 키워드를 내세워 전개함으로써  

산뜻한 충격을 받았다.  

실력이 비슷한 선수들의 올림픽 경기에서 금메달과 은메달을 운명짖는 것은  

다름이아닌 '운'이라는 것이다. '운'이라는것이 나와는 굉장히 멀리 있는 것 처럼 보이지만 

'운'을 나에게 끌어오는 사고로써 '운'좋은 사람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예를 들어 적절히 주장하고있다. 

그리고 기존의 책들이 '안되도 노력하라'는 내용을 주장한 반면 

된다 나는 된다에서는 '무조건적 노력은 성공은 물론이고 의욕마저 상실시킨다'라는 

주장을 예로 잘 보여주고 있다.  

저자의 말이 옳은 예를 들자면 사법 고시에 합격하기 위해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공부를하고 노력을 하지만  

사법 고시에 합격 하는 사람은 극히 한정되어있다.  

그렇다고 해서 합격하지 못한 사람들이 노력을 안했다는 것은 아니지 않는가 

그 사람들은 무의식, 의식적으로 고시 준비에 대한 스트레스속에서 연필을 쥐는 것이고 

자기에게 있을 좋은 '운'을 이만큼 공부를 해도 합격을 못 하면 어떻게 할 것인가 이런  

생각을 은연중에 함으로써 '운'을 놓쳐버리는 사람일 것이다. 

지금까지 많은 자기계발 책을 봐왔지만 그 중에 실질적으로 나에게 필요한 것들을 

적용시킬 책은 그다지 보지 못했다.  

하지만 이 책은 인생을 바꾸게 한 책이 될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