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한 열정
수잔 손택 지음, 홍한별 옮김 / 이후 / 2005년 11월
평점 :
품절


쉽게 이해되는 상황이나 글들은 도무지 관심이 없다. 쉬운 상황이란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 등 자신의 의식 안에 들어오는 대상들을 말함인데 많은 경우 너무 쉬워 답이 정해져 있는 경우에도 자연과학이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정답인 양 들이대는 후진적 속성들이다. 인간의 수평적 차이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려니와 더군다나 어차피 의식은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에 많은 부분 할애되기 때문이다. 글들도 마찬가지다. 구태여 상황과 글을 분리하려드는 이유는 그나마 글이 만약에 정제된 것이라면 의식을 찰랑거리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우울한 열정이라 함은 그것을 품고 있는 개체의 사유가 글로 쓰여져 내려온 것을 의미함이다. 이때의 열정은 작가가 표현하려 하는 한 개체의 우울에 근거한 열정도 있지만 작가 자신의 우울에 근거한 다른 사람에 대한 격한 그릇된 열정도 포함할 수 있다.

 

수잔 손탁의 우울한 열정이 바로 그런 책이다. 그가 제시한 몇 사람들이 크게 위의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물론 발터 벤야민과 바르트, 카네티에 대한 소고는 분명히 손탁의 우울이 아닌 그들의 우울이다. 다른 여타 사람들에 대한 단상은 그들로 인하여 손탁이 느끼는 우울이요, 그 우울로부터 나오는 열정이 글로서 차분히 뱉어진 것처럼 보인다.

 

벤야민의 책들을 틈틈이 읽고 있는 와중에 손탁의 책들이 도착하여 읽은 이 책에서 벤야민에 대한 평이 적확하게 표현되어 있음에 놀란다. 사실 베를린의 어린 시절에서 그의 처음 두 부분, 즉 로지아와 카이저 파노라마관 두 수필 형식의 짧은 글에서 이미 슬픔이 단박에 나와 버렸다. 그것은 그가 표현한 빛에서 알아차리게 되는데 벤야민의 우울한 감성이 콕 집어낸 흔치 않은 표현들이기 때문이다. 이 상황은 그의 나머지 부분들에서도 계속 반복되며 그의 일방 통행로에서도 계속되는데 온갖 단순한 물건들이 범상치 않게 사유화되며 슬픈 감성은 지속된다. 손탁의 평 또한 그렇게 묘사한다.

 

손탁은 우울한 열정을 가진 작가들을 뽑아 책으로 꾸몄다기보다는 자신의 우울한 열정을 이 책을 통해서 쏟아내고 싶었을 것이다. 다만 책에 나오는 몇은 온전히 그들의 우울한 열정에 대해 얘기하고 있었을지라도...

 

이런 고도의 말장난도 오늘날 현대물리학에서의 상상에 기반한 이론도 개체들의 의식 속에서 비롯된 것일텐데 물리학은 사태와 일치하는 것만이 진리이므로 대부분이 틀린 이론으로 버려지고 고도의 말장난은 마치 수학의 명제를 증명하는 듯 여하튼 간에 남아 있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 결국 상상력도 자연의 한 부분이 아닌가 ?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77diotima 2024-03-17 22: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도의 말장난은 이 댓글인것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