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담 : 두 번째 아이는 사라진다 문학동네 청소년 13
방미진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괴담, 사전적 의미로는 괴상한 이야기. 보통과 달리 괴이하고 이상한 이야기. 뜻으로만 보자면 간단하기만 한데, 그 종류를 보자면 셀 수 없이 많은 게 이 괴담이란 것 아닐까 싶다. 어릴 적 참 흔했던 학교 괴담이 생각난다. 에이, 거짓말! 하면서도 마음속 한 편으로는 진짜 그러려나? 하는 생각을 했던. 어느 학교에나 있을 법한 세종대왕이나 이순신 장군 동상. 자정이 되면 이 동상이 학교 구석구석을 돌아다닌다는 이야기는 그 시절 참 흔한 괴담이었다. 이 책은 그런 흔한 괴담을 흔하지 않게, 한층 더 세련되게 그려낸 이야기다.

 

학교 뒷산 연못 위에서 첫 번째 아이와 두 번째 아이가 사진을 찍으면 두 번째 아이가 사라진다. 그런데 바라보는 입장에서 첫 번째인 아이가 두 번째인 아이를 연못으로 이끈다. 그리고는 첫 번째 아이가 사라지는 것처럼 보인다. 뭐지? 뭘까? 어디까지가 망상이고 어디까지가 사실일까를 끊임없이 생각하며 글을 읽던 중, 문득 이 글 자체가 허구인데 왜 이런 고민을 하고 있는 걸까. 작가는 단 한 문장으로 독자에게 반전을 선사한다. ‘더 미워하는 쪽이 두 번째 아이’. 괴담의 이면을 눈치 챈 아이는 이를 교묘하게 이용한다. 욕심과 집착이 결국 자신을 잃게 되는 길이라고 말하고 싶은가 본데, 그 욕심과 집착의 정도를 그 누가 재단할 수 있단 말인가. 자신이 사라질 수도 있는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경쟁자를 사라지게 하고 싶은 욕심. 그 욕심은 멈추지 않는다. 그래서 괴담은 사라지지 않고 계속된다.

 

“너도 그 괴담 들었지? 일 등과 이 등. 이 등이 사라진다.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 들지 않아? 왜 이 등이 사라질까? 이 등이 일 등을 죽이고 싶을 텐데, 일 등이 사라져야지. 하지만 이 등만 일 등을 죽이고 싶을까? 일 등은? 일 등과 이등, 둘 중 더 불안한 건 누굴까? 일 등과 이 등도 상대적인 걸까? 중요한 건, 남는 아이는 언제나 첫 번째 아이가 된다는 거야. 그게 누구든, 사라지는 게 누구든지……. 더 중요한 건 두 번째 아이가 사라진다 해도 끝나지 않는다는 거야. 없애고 나도, 또 반복돼. 끝이 없어. 이 세상엔 너무 많은 아이들이 있고, 두 번째 아이는 또 나타나.”

 

일 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 이란 어떤 코미디 프로의 유행어가 생각난다. 하지만 기억되는 일 등은 과연 행복할까. 일 등은 단 하나고 그 일 등을 노리는 이 등은 계속해서 생겨난다. 그래서 일 등은 악착같아 질 수밖에 없다. 지금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지금의 자리를 빼앗기지 않기 위해. 진정 무서운 건 누구든 존재를 증명할 수 없는 귀신 따위가 아니라, 속을 알 수 없는 사람이라 했던가. 이 <괴담>은 그런 인간의 감추어진 어두운 욕망을 조명한다. 경쟁과 비교라는 사회적 세태 속에서 태어난 그런 욕심과 집착이 무엇보다도 무섭다고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