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아찌아 마을의 한글 학교 - 첫 번째 찌아찌아 한글 교사의 아주 특별한 일 년
정덕영 지음 / 서해문집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처음 이 책을 집어들었을 때는 찌아찌아 마을의 한글 학교에 관한 이야기가 주를 이을 것이라 생각했다. 어떻게 찌아찌아어에 한글을 문자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는지, 우리나라는 그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이고, 어떤 과정을 통해 정덕영 씨가 한글 교사로 선정되었는지가 궁금했기 때문이다. 지은이는 찌아찌아에서 한글을 가르치며 어떤 어려움을 겪고, 어떻게 극복해 나갔을지 궁금했기 때문이다. 물론 그에 관한 얘기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다만 다른 여러 이야기 사이로 스치듯 지나가 버렸기 때문에 아쉬움이 조금 있을 뿐이다. 생각했던 내용은 아니지만 재미있게 술술 읽을 수 있었던 책이다. 글 솜씨가 뛰어나서라기보다는 몸소 체험한 일들을 진솔하게 풀어나간 덕분이다.

내가 그랬던 것처럼 많은 사람들이 인도네시아 발리는 알아도 인도네시아 바탄 섬은 모를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생소한 그들의 문화가 무척 흥미롭다. 해가 뜨고 지는 시각에 맞춰 생활하는 사람들. 깨진 타일이 바닥을 뒤덮은 어두운 교실에서 두 눈을 초롱초롱 빛내며 열심히 한글을 배우는 아이들. 자신의 손에 사진 한 장 쥐지 못하더라도 웃는 얼굴로 카메라에 찍히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으며 절로 미소를 짓는다. 대한민국 외에 한글을 사용하는 나라는 어떤 나라인지를 알아보는 것도 유익한 시간이었다.

2011년 10월 9일 인터넷 뉴스에 찌아찌아 마을 관련 기사가 났다. 찌아찌아 족이 사는 바우바우시가 한국의 훈민정음학회와의 관계 단절을 선언했다고 한다는 내용이다. 한글을 가르칠 교사 양성이 중단된 현재는 바우바우시에 있는 초등학교 단 3곳에서 193명의 아이들에게만 한글 교과서 수업이 이뤄지고 있는 ‘초라한’ 성적을 내고 있다고 한다. 또한 한글 전파라는 미명 아래 본인들의 업적을 치켜세우기만 하는 여러 조직들이 추진한 과정을 보면, 1년 계획으로 한글 교육을 주도할 자원봉사자 단 1명을 파견하여 8만 명의 찌아찌아 족에게 한글을 가르치려 하다니. 어처구니가 없어도 이렇게 터무니없을 정도로 어처구니가 없을까.

경제적 효과도 누리려는 ‘바우바우시’와 지키지도 못할 약속을 한 ‘훈민정음학회’, 구체적인 검증 없이 예산과 외교 문제로 등 돌려버린 ‘서울시’의 입장이 엇갈린 채 의욕만 앞선 한글의 세계화 추진이었던 셈이다. 어디든 이권이 개입하면 탈이 나기 마련이지만 거창했던 시작이 무색하게 된 결과에 씁쓸하기만 하다. 어른들의 이권 다툼은 차치해 두고라도 들뜬 마음으로 열심히 공부하던 아이들의 희망은 어떻게 할 것인지, 서울시와 훈민정음학회는 이 문제를 결코 좌시하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예림 2015-05-12 2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후 어떤 일이 있었는지는 몰랐는데 안타깝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