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어 - 몸에 관한 詩적 몽상
김경주 지음, 전소연 사진 / 문학동네 / 2012년 1월
평점 :
품절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감각적인 표지만큼이나 감각적인 김경주 시인의 필치로 써 내려간 몸에 관한 몽상이라니. 독특하면서도 파격적인 소제 선택이 인상적이다. 인터넷 서점 소개글에 나와 있는 목차만으로도 공감을 이끌어내는 글에 기대감이 더욱 커졌다.

 

몸에 숨어 있던 선을 참 아름답게 표현하여 감각적이라 생각했던 표지의 사진. 책에 수록되어 있는 여러 사진을 모아 놓고 보니 어쩐지 몽환적이다. 김경주 시인이 몸에서 들춰낸 욕망과 고뇌의 흔적들을 따라가다 보면 나도 모르게 몽롱함에 빠져든다. 육체에 녹아 있을 우주를 파헤치는 탐험 과정. 몇 번이고 곱씹게 되는 문장들, 곱씹어 볼 때마다 다른 의미를 달고 오는 문장들의 향연이라 하겠다. 이 몽롱함에서 빠져나오는데 한참이 걸렸다. 손에서 책을 놓았을 때조차 눈앞에서 머릿속에서 한참을 맴돌다 갔다.

 

어찌 보면 인체 각 부위에 대한 단상을 작가 마음대로 늘어놓은 것 같다. 눈망울에 대한 생각, 가슴골에 관한 상상, 종아리에 얽힌 몽상……. 인체의 한 부위를 일컫는 단어가 등장하는 글 한 토막을 시작으로 끝없이 뻗어나가는 생각들. 자음과 모음을 조합하여 단어를 이루는 데서 의미를 찾기도 하고, 단어를 발음하며 울려나오는 소리에까지 특별함을 부여하기도 한다.

 

“‘눈’은 그 단어의 모양새가 흥미롭다. 눈이라는 단어를 가만 보면 두 개의 ‘ㄴ’이 모음인 ‘ㅜ’를 사이에 두고 흐르도록 문자를 입혔다. 생각하면 선조들의 혜안이 놀랍다. 근데 더욱 흥미로운 것은 이 ‘눈’이 ‘시울’에 옮아올 때 음률의 조합니다. 눈시울을 발음하면 가운데 ‘시’ 자는 ‘눈’에서 흘러나와 ‘울’로 번지면서 녹는 듯하다."

 

몸을 대하는 작가의 문장은 노골적이면서 은밀하고 천박하면서 우아하다. 단순하면서 심오하고 애매하면서 확실하다. 자신을 그대로 드러내는 듯, 하지만 한 꺼풀 베일을 뒤집어쓰고 있는 느낌. 복잡하면서 현란한 언어들의 향연 속에 숨어 있는 작가를 찾고자 한다면 이 책을 한 백 번은 읽어도 모자를 듯싶다.

 

철학을 전공하고 극작가로 활동하며 다양한 이름으로 야설작가와 유령작가가 되기도 하는 한편 시집을 내고 번역까지 하는 예술가. 그를 수식하는 온갖 타이틀만큼이나 복잡하고 심오한 글이었다. 무언가 독자의 역량이 부족한 것은 아닐까 자학을 하며 읽어 내려갔을 정도로. 그러면서도 손에서 놓을 수 없는 끌림이 있었다. 뺨에서 시작하여 그림자로 끝나는 육체에 관한 언어들의 향연에 매혹된 기분. 그 매혹에서 쉽사리 빠져나오지 못하고 긴 여운을 남기는 글. 김경주라는 사람. 그저 작가로 칭하기엔 부족하다. 진정 예술가라 할 수 있는 그의 다른 작품들을 찾아보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