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하는 소설 창비교육 테마 소설 시리즈
강영숙 외 지음, 이혜연 외 엮음 / 창비교육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억하는 소설>은 강영숙, 김숨, 임성순 등 각기 다른 작가들의 작품을 모아놓은 일종의 컴필레이션 소설집이다. 각 작품은 모두 비극을 다루고있다. 비극의 종류는 다양하다. 건물이 무너지고, 배가 가라앉는다. 전염병으로 가축이 죽어가고, 혹은 나의 외면 속에 가까운 누군가가 스스로 옥상에서 떨어진다. 


수록 작품 중 조해진 작가의 <하나의 숲>은 내게 다른 의미로 다가왔다. 현직 특성화고 교사로서, 매년 고3 학생들이 취직을 하는 모습을 본다. 누군가는 버티고 누군가는 포기하고 돌아온다. 그 과정에는 분명 '버티거나 포기한다'라는 말로 단순하게 설명할 수 없는 지난한 과정이 있을 것이다. 나는 그 과정을 알지 못한다. 어쩌면 알고자 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너의 이야기를 나의 이야기로 받아들일 수 없기에 모든 비극은 단순해진다. 단순한 일은 기억되지 않는다.


최은영의 <마카엘라>에서 나의 어머니는 너의 비극을 나의 비극으로 받아들인다. 천주교 신자인 그녀는 교황의 미사를 현장에서 보고자 광화문에 방문한다. 그곳에서 친구를 찾는 노인을 발견한다. 그 노인은 자신의 친구가 (세월호를 암시하는)사고로 딸을 잃었다고 한다. 노인은 그 친구와 함께하고자 한다. 그 친구의 고통의 곧 나의 고통이기에. 어머니 역시 그녀와 동행한다.


그녀는 너의 고통을 나의 고통으로 받아들였다. 너의 이야기가 남의 이야기처럼 들리지 않았기에. 나에게 왔을 때 그것이 얼마나 큰 고통일지 느꼈기에.


"망각했으므로 세월이 가도 무엇 하나 구하지 못했구나." 임성순의 <몰>에 나오는 문장이다. 이 책에 나오는 수많은 문장 중 가장 강하게 뇌리에 박힌 문구이다. 정말 우리는 망각했기에 무엇 하나 구하지 못했다. 구의역 청년도, 정인이도 그외 수많은 가족, 이웃, 친구들을 우리는 잃었고 잃어간다. 잃지 않기 위해선 기억해야 한다.


<기억하는 소설>은 '너의 이야기'일 뿐인 비극을 '나의 이야기'로 보게끔 한다. 그것은 '나의 이야기' 될 수도 있다. '나의 이야기'가 되면 기억할 수 있다.


무엇을, 왜 기억해야하는가 그리고 이 사회에서 '소설'은 어떤 역할을 해야하는가. <기억하는 소설>은 그 대답 중에 하나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