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 아래 고민에 답변 드립니다 - 사회학자 우에노 지즈코의 명쾌한 처방
우에노 지즈코 지음, 송태욱 옮김 / 뮤진트리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의 저자 우에노 지즈코의 신작이다. 아사히 신문의 인기 코너였던 <고민의 도가니>에 실렸던 글들을 정리하여 엮은 책이다. 아사히 신문의 <고민의 도가니>는 우에노 지즈코를 비롯한 몇 명의 전문가들이 독자들이 보내오는 고민들에 답해주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고민을 보내는 독자들은 자신의 고민에 답해줄 전문가를 지목할 수 있었는데, 유독 성적인 고민들은 우에노 지즈코에게 향했고, 결국 위와 같은 다소 야릇한 제목의 책이 탄생하게 되었다.


나는 두 가지 이유에서 이 책을 선택했다. 첫째로 야릇한 제목에 끌렸다. 익명이 사람들이 보내오는 성적인 고민이라니. 혹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둘째는 이 책을 쓴 사람이 다른 사람도 아닌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를 쓴 우에노 지즈코라는 사실이었다. "성욕이 너무 강해 공부를 할 수 없습니다.", "젊은 남자애가 귀엽습니다.", "다가오는 상사에게 불쾌감이 들지 않습니다."같은 내밀하고 은밀한 질문에 그녀는 어떤 답을 해줄까? 너무 궁금했고, 때문에 곧바로 이 책을 질렀다. 막상 책을 접해보니 실제 내용은 내 생각과 조금 달랐다. 성적인 고민은 책이 수록한 다양한 주제의 고민들 중 일부에 해당했다. 책에는 부모와의 문제, 직장에서의 문제, 자식과의 트러블 등 인생 전반의 다양한 고민들이 수록되어 있었다. 우에노 지즈코는 이런 다양한 고민들에 성실히 답변을 해주었다.


그녀의 답변 중에는 인상깊은 것도 있었고, 의아한 것도 있었고, 실망스러운 것도 있었다. 우선 인상깊었던 것은 부모와 트러블을 느끼는(혹은 부모를 사랑하지 않는) 자식들의 고민에 대한 그녀의 답변이었다.  예컨대 이런식이다. 부모가 사는 동네에 큰 지진이 발생하여, 그들이 나의 집으로 이사를 왔다. 나는 우리집으로 갑자기 들어온 부모가 불편하다. 얼마 안있어 부모의 동네에 가설주택이 들어섰고, 나는 부모를 그곳으로 돌려보냈다(쫓아냈다). 나는 죄책감을 느낀다. 내가 잘못한 것일까?라는 질문에 우에노 지즈코는 단호하게 아니라고 답한다. 그녀는 '부모를 사랑하지 않는 나의 모습'이 정상적인 것이라 진단하며, 더이상 착한 자식이 되려고 노력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결국 중요한 것은 나의 인생이라는 것이 핵심이다.

의아한 답변은 '불륜'을 꿈꾸는 몇몇 사람들의 고민에 대한 그녀의 답변이다. 그녀는 의외로(?) 불륜에 긍정적,,, 아니 부정적이지 않다. 그녀는 불륜을 불륜이라 말하지 않는다. '혼외 연애'라 표현한다. 그녀가 '혼외 연애'에 부정적이지 않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그녀는 결혼을 "단 한 사람의 이성에게 배타적 또는 독점적으로 자신의 신체를 성적으로 사용할 권리를 평생에 걸쳐 양도하는 일"이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그녀는 인간의 본능적인 욕망을 이런 인위적인 계약으로 제약하는 것은 애초에 말이 되지 않는 다고 한다. 이에 따라 일명 '혼외 연애'의 욕구가 생기는 것도 자연스런 일이 되는 것이다. 실제로 그녀는 결혼 제도에 부정적이며, 비혼주의자의 삶을 살 고 있다.


 마지막으로 실망스러웠던 답변은 '성욕을 주체할 수 없다'는 어느 중학생의 고민에 대한 것이다. 그녀는 해당 중학생에게 성적으로 연륜이 많은 여자(?)에게 부탁해보라 말한다... 열 명에게 부탁해보면 한 명 정도는 허락(?)해 줄 지도 모르며, 실제로 과거 일본에는 '와카모노구미'라 하여, 청년들의 동정을 깨주는 일을 담당했던 여성이 존재했다고 언급한다... 이와 같은 그녀의 답변을 보며, 그녀가 정말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를 썼던 우에노 지즈코인지 의심이 생겼다. 성적 연륜이 많은 여자에게 부탁해보라니... 지금은 와카모노구미가 존재했던 20세기가 아니거늘...


결론적으로 바로 위에 적어 놓은 실망스러운 답변 때문에 이 책에 대한 내 신뢰가 확 내려갔다. 그래서 읽자 마자 바로 중고서점에 팔아버렸다. 물론 이 책에는 도움이 될 법한 답변도 많지만, 그것들이 딱히 특별하거나 인상깊지는 않다. 어디선가 들어봤을 법한 평범한 답변이다. 사실 생각해보면 모든 고민에 대한 답은 질문 자체에 있지 않나 싶다. 우리의 내면에는 고민에 대한 답이 정해져 있다. 단지 상담자가 자신의 생각에 확신을 더해주길 바랄뿐. 결국 중요한 것은 상담사의 목소리보다 우리 내면의 목소리에 귀기울이는 것이리라. 글을 마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