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독일어 기초 문법 - 내 인생 첫 번째 독일어 ㅣ 내 인생 첫 번째 시리즈
이로사 지음 / PUB.365(삼육오) / 2025년 8월
평점 :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회화로 배우는 독일어 문법





회화로 배우는 독일어 문법
책을 선택한 이유
문법은 언어의 규칙이다.
모국어와 공통점이 그다지 없는 외국어를 배우기 위해서는
외국어의 문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독일어 문법을 알아보기 위해 "내첫독 독일어 기초문법"을 선택한다.
1장 인칭대명사와 sein/haben 동사 에서는
독일어 인칭대명사는 1인칭 단수/복수, 2인칭 단수/복수/존칭,
3인칭 단수/복수 로 구성되어있다.
동사의 어미 활용은 각 인칭대명사별로 동사의 모양이 바뀌는 것이다.
인칭대명사의 격은 주격, 여격, 목적격이다.
sein 동사는 영어의 be 동사에 해당한다.
haben 동사는 영어의 have 동사에 해당한다.
2장 정관사, 부정관사, 소유관사 에서는
독일어 명사는 고유의 성을 가지고, 문장 내에서 격을 갖는다.
정관사는 청자가 알고 있는 특정 사항을 언급할 때 사용한다.
부정관사는 특정하지 않은 대상을 언급할 때 사용한다.
kein은 명사 앞에 붙어 아니다/없다의 뜻을 나타낸다.
소유관사는 필연적으로 명사를 수반하므로 ,명사의 성과 격을
어미활용을 통해 규정해 주는 일종의 관사에 속한다.
3장 동사의 현재시제 – 규칙동사 에서는
독일어 동사는 인칭별로 어미변화를 한다.
동사 원형은 모두 en이나 n으로 끝난다.
인칭별 어미변화는 어간은 그대로 유지하고 어미를 달리하여 활용된다.
대표적 규칙 동사의 어미 변화를 연습해 본다.
치음은 이와 이 사이에서 나오는 소리다.
du인칭에서 동사의 어간이 치음으로 끝나면 어미는 st가 아니라 t만 붙는다.
du/er, sie, es/ihr에서 어간과 어미 사이에 e를 추가하여 발음을 정확히 구분한다.
4장 동사의 현재시제 – 불규칙동사 에서는
동사는 인칭별로 어미가 변화한다.
불규칙동사의 규정은 동상의 어간에 변화가 생기는 것을 의미한다.
강변화동사는 동사 어간의 모음에 변화가 생기는 동사다.
불규칙동사는 어간의 자음에도 변화가 생기거나 특정 어미 규칙을 따르지 않는 동사를 일컫는다.
강변화동사는 동사 어간의 모음이 단수 인칭에서 변화하는 현상을 보이는 동사를 일컫는다.
a에서 ä, e에서 ie/i, o에서 ö로 정리할 수 있다.
불규칙동사는 어간의 모양이 강변화동사와는 달리 예측 불가능하게 변하거나
어미의 규칙을 따르지 않는 동사들을 일컫는다.
5장 분리동사 에서는
독일어 동사는 동사 앞에 붙는 접두어를 통해 뜻이 확장된다.
접두어에는 문장에서 분리되는 분리전철과 분리되지 않는 비분리전철이 있다.
분리동사는 동사 앞에 전치사, 형용사, 부사, 동사, 명사 등이 붙어서 확장시키는 동사이다.
분리동사는 문장에서 말 그대로 분리되어 전철이 문장 맨 뒤로 간다.
분리전철의 대다수는 전치사에서 온다.
전치사를 알고 있으면 분리동사를 학습할 때 도움이 된다.
6장 비분리동사와 분리/비분리 전철 에서는
비분리동사란 동사에 비분리전철이 결합되어 또 다른 하나의 새로운 뜻을 만들어내는 동사다.
비분리전철은 총 8개가 있으며, 동사를 추상적인 개념으로 만들어준다.
비분리동사는 화학적 결합이라고 표현하는 것을 즐긴다.
비분리전철은 분리되지 않으며, 발음에서 강세를 가지지 않는다.
be, ge, emp, ent, er, ver, zer, miss 등 8개의 비분리 전철을 설명한다.
비분리전철 이외에 비분리동사를 만들기도 하는 전철은 분리될 경우와
분리되지 않은 경우 동사에 다른 뜻을 부여한다.
durch, über, um, unter, wieder, wider 등 비분리동사를 만들기도 하는 전철을 설명한다.
7장 재귀동사 에서는
재귀동사란 주어가 행한 동작이 주어 자신에게 미치는 뜻을 갖는 동사다.
재귀동사는 타동사에서 온 재귀동사와 순수재귀동사로 나눌 수 있다.
재귀대명사도 인칭대명사의 한 종류이기 때문에 최대한 동사 가까이에 위치한다.
타동사에서 온 재귀동사는 재귀대명사로도 다른 인칭이 들어가면 타동사로도 쓰인다.
순수재귀동사는 재귀동사로만 쓰이는 동사들이다.
경우에 따라 함께 쓰이는 전치사도 정해져 있다.
강조하기 위해 재귀동사가 아닌데 3격 재귀대명사를 취하는 경우도 있다.
8장 형용사의 어미변화 에서는
독일어 형용사는 부사와 원형이 같다.
형용사인지 부사인지를 판가름하는 기준은 형용사의 어미이다.
수식하는 명사의 성과 격에 따라, 형용사는 어미변화를 달리 한다.
형용사의 어미는 복잡하고 다양한 성질을 지닌 명사를 수식하기 위해 복잡해 진다.
명사 앞에 아무런 관사가 없을 경우, 형용사가 명사의 성과 격에 따라 어미가 다양하게 변한다.
명사 앞에 정관사가 있을 경우, 형용사의 어미는 e아니면 en으로 변한다.
명사 앞에 부정관사가 있을 경우, 명사의 성이 불확실해지므로 형용사 어미는 혼합변화 양상을 보인다.
9장 형용사의 원급, 비교급, 최상급 에서는
형용사는 기본적으로 명사를 수식하는 역할을 한다.
형용사 비교급에 er, 최상급에는 st를 붙인다.
형용사 비교급, 최상급의 불규칙변화에 대해 알아본다.
비교급 활용은 원급 비교, 비교급 비교, 최상급의 쓰임으로 설명한다.
10장 전치사 에서는
전치사는 명사 앞에 위치하여 시간 및 장소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전치사의 뜻과 쓰임이 매우 다양하며, 각각의 전치사는 특정 격을 취한다.
전치사는 절대 주격을 취하지 않고, 소유격, 여격, 목적격을 지배한다.
aus, ab, außer, bei, mit, nach, seit, von, zu,
gegenüber 등 3격 지배 전치사,
bis, durch, gegen, um, für, ohne, entlang 등 4격 지배 전치사,
3격을 취했을 때는 정지의 의미, 4격을 취했을 때는 이동의 의미를 갖는
auf, an, in, unter, über, neben, voer, hinter, zwischen 등 장소전치사를 설명한다
sein, sitzen,liegen, hängen, stehen 등 전치사 및 3격에 쓰이는 동사,
gehen, kommen, setzen, legen, hängen, stellen 등 전치사 및 4격에 쓰이는 동사,
시간을 나타내는 전치사를 설명한다.
11장 접속사 에서는
단어와 단어,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 품사로서, 등위 접속사,
부사적 접속사, 종속 접속사가 있다.
등위 접속사는 앞 문장과 뒤 문장을 연결할 때 문장 구성
성분의 자리를 차지하지 않는 품사다.
und, aber, oder, denn, sondern 등 등위 접속사를 설명한다.
부사적 접속사(접속부사)는 문장 구성 성분 중 한 자리를 차지하는 품사다.
앞 문장을 잇는 자리에 부사적 접속사가 들어갈 경우,
어순은 앞 문장, 부사적 접속사 + 뒤 문장의 동사 +주어가 된다.
deshalb, deswegen, daher, darum, trotzdem, jedoch, dennoch,
dann, danach, sonst, also 등 부사적 접속사를 설명한다.
종속 접속사가 이끄는 문장에서 동사는 후치된다.
종속절로 문장을 시작할 경우, 종속절, 주절의 동사 ,주절의 주어 순으로 구성된다.
dass, weko/da, wenn, obwohl, auch wenn, selbst wenn,
als, während, falls, indem, seit, seitdem, bevor, nachdem,
bis, solange 등 종속 접속사를 알아본다.
상관접속사는 접속사 부사, 부사 접속사, 부사 부사 형태로
하나의 특별한 뜻을 만들어 준다.
nicht nur A, sondern auch B, sowohl A als auch B
entweder A oder B, weder A noch B 등 상관 접속사를 설명한다.
12장 시제 : 과거, 현재완료 에서는
독일어에서 과거 사실을 이야기할 때 대부분 현재완료형을 쓴다.
구어체에서는 현재완료를 쓰는 편이지만, 과거형만으로 쓰는 동사들도 있다.
동사의 3요형, 동사의 과거형, 자주 쓰이는 불규칙동사 3요형,
과거 사실을 이야기할 때 자주 쓰이는 현재완료 시제를 설명한다.
13장 시제 : 과거완료, 미래, 미래완료 에서는
과거완료는 과거 사실을 이야기할 때 더 먼저 일어난 일에 대하여 쓸 수 있는 시제다.
독일어 과거시제는 현재완료와 동일한 시제로 여겨지므로,
구어체에서는 과거와 현재완료의 대과거로서 과거완료가 쓰인다.
시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접속사와 함께 쓰인다.
과거완료는 현재완료 시제에서 haben/sein 부분을 과거형으로 만들어 준다.
미래시제는 앞으로 정해진 미래의 계획을 기술할 때 쓰는 시제이다.
화법조동사의 wollen은 화자의 의지를 표명하는 것에 더 중점을 둔다.
미래시제는 시점상 미래에 일어날 일에 대해 기술하는 시제이다.
미래시제는 werden에 동사원형을 후치하여 결합한다.
미래완료 시제는 미래에 어떤 일이 완료, 마무리된 상태일 것이라는 것을
강하게 추측할 때 쓰는 시제이다.
미래완료 시제는 werden에 현재 완료를 후치하여 결합한다.
현재완료에는 haben결합과 sein결합이 따로 존재하므로 결합에 유의한다.
문장 맨 마지막에 오는 haben과 sein은 원형으로 고정되어 있다.
14장 명령법 에서는
명령이란 2인칭, 대화의 상대에세 쓰는 형태이고,
독일어 2인칭은 총 세 가지가 존재한다.
du, ihr, Sie에 대한 명령형, du 명령문, 어간이 불규칙한 동사,
특별한 불규칙 동사, 추가적인 참고 사항을 설명한다.
15장 화법조동사 에서는
화법조동사는 문장의 뜻을 폭넓게 만들어 주는 품사이다.
동사원형의 위치는 문장 맨 마지막으로 후치된다.
화법조동사 현재형, 화법조동사 과거형, 화법조동사 과거분사,
화법조동사의 시제, 화법조동사의 쓰임에 대해 설명한다.
16장 접속법 에서는
접속법은 간접화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접속법 1식은 전언으로서 -라고 한다이고,
접속법 2식은 간접화법으로서 -일 수도 있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접속법 1식은 동사의 현재시제 + 접속법 어미,
접속법 2식은 동사의 과거시제 + 접속법 어미다.
접속법의 시제, 화법조동사의 접속법, 접속법의 쓰임을 설명한다.
17장 수동태 에서는
수동태는 진행수동과 상태수동으로 나뉜다.
수동태는 행위자의 정보가 불명확할 때, 행위자의 언급이 중요하지 않을 때 쓴다.
행위자는 von이나 durch로 나타낼 수 있다.
능동문의 3격은 수동문에서도 3격을 유지한다.
능동문에 4격 목적어가 없을 경우, 수동문에서의 주어는 es이며
es는 문잔의 가장 첫 번째 자리가 아닐 경우 생략된다.
능동문의 주어가 man일 때 수동문에서는 행위자로서 표현하지 않는다.
능동문에서 목적어와 목적보어가 있는 경우, 목적보어도 주격보어가 된다.
진행수동은 활동이 일어나고 있는 중, 상태수동은 활동이 끝난 상태다.
수동태를 쓸 수 없는 경우, 자주 쓰이는 자동사 수동태를 설명한다.
18장 수사 및 시간을 나타내는 어휘, 부사구, 단위명사 에서는
독일어 숫자는 수사이므로 소문자로 쓰인다.
백만부터는 명사이므로 대문자로 쓰고 단복수를 구분한다.
eins 뒤에 다른 숫자나 단위 명사가 붙으면 s가 탈락된다.
숫자 옆에 마침표를 찍어준다.
19까지는 기수에 t가 붙고, 20 이상의 수에는 st가 붙는다.
서수는 형용사의 어미변화를 한다.
월 표현, 요일 표현, 시간 표현, 계절 표현, 시간부사구,
단위명사에 대해 설명한다.
19장 특정 격 혹은 전치사와 결합하는 표현들, 남성약변화 명사 에서는
독일어는 특정 격이나 전치사와 결합하는 동사, 명사, 형용사 등이 있다.
3격 지배 동사는 3격을 취하는 동사들이다.
4격 지배 동사, 특정 전치사를 함께 쓰는 표현을 알아본다.
특정 전치사가 있는 경우 의문문에서 주의해야 한다.
남성 약변화 명사는 남성명사들이 2,3,4격에서 명사 자체에
n 혹은 en이 추가되는 명사를 뜻한다.
20장 의문사와 부정대명사 에서는
독일어 의문사는 누가 wer, 언제 wann, 어디서 wo, 무엇 was,
어떻게 wie, 왜 warum 이외에도,
정해진 것들 중 어떤 것을 묻는 welch와 성질을 묻는 was für의 용법도 있다.
부정대명사란 대화의 맥락 속에서 동일한 명사가 반복될 때,
명사를 생략하고 대명사로 치환하는 것이다.
부정대명사가 어떤 명사를 가리키는지에 따라 명사의 성과 격에 따라
형태가 다름을 주의해야 한다.
21장 관계대명사 에서는
관계대명사는 선행사의 영향을 받는다.
관계절 내에서의 관계대명사의 격이 관계대명사를 규정하는 기준이다.
관계대명사는 하나의 개념을 부연 설명할 때 쓰는 품사이다.
1격, 2격, 3격, 4격 관계대명사를 설명한다.
"내첫독 독일어 기초문법"은 독일어 회화에 필요한 핵심 문법인
인칭대명사, 정관사, 부정관사, 소유관사, 규칙동사, 불규칙동사,
분리동사, 비분리동사, 분리/비분리 전철, 재귀동사, 형용사 어미변화,
형용사의 원급, 비교급, 최상급, 전치사, 접속사, 시제, 명령법,
화법조동사, 접속법, 수동태, 수사, 부사구, 단위명사, 격,
남성약변화 명사, 의문사, 부정대명사, 관계대명사 등을 다룬다.
"내첫독 독일어 기초문법"은 독일어 문법의 핵심 내용을 설명하고,
간결하게 표로 정리하여 문법을 편리하게 학습할 수 있다.
예문을 통해 다양한 문장패턴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으며,
한국어 문장을 독일어로 작문해 보면서, 학습 내용을 복습하고,
응용력을 향상시킨다.
"내첫독 독일어 기초문법"은 독일어 기초문법을 공부하면서,
독일어 문장을 작성하고 다양한 문장을 응용할 수 있도록
독일어 회화를 통해 독일어 문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내첫독 독일어 기초문법"은 문법 정리 PDF파일, 단어노트 PDF파일,
기초 학습 동영상을 제공하므로 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내첫독 독일어 기초문법"은 독일어 문장의 구조를 익히고,
다양하게 표현하는 연습을 통해, 독일어 실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삼육오 와 컬처블룸 서평단에서 "내첫독 독일어 기초문법"을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삼육오 #내첫독독일어기초문법 #서평 #이로사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