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니체가 말하는, 버려야 할 것과 버텨야 할 것
제이한 지음 / 리프레시 / 2025년 3월
평점 :
리프레시 와 리뷰어스 클럽 서평단에서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니체 가 알려주는 삶의 나침반

책을 선택한 이유
니체 는 위대한 첦학자지만 니체 의 철학을 제대로 아는 사람은 드물다.
니체 의 철학을 알아보기 위해 "니체가 말하는, 버려야 할 것과 버텨야 할 것"을 선택한다.

"니체가 말하는, 버려야 할 것과 버텨야 할 것"은
삶의 본질을 통찰하고, 삶의 방향을 변화시키며,
허무를 극복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방법을 말한다.

진실이라 믿는 것들에 의문을 던지는 것은
기존 가치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삶의 기준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도덕은 약한 자들이 자신의 나약함을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낸 체계다.
가치들은 특정한 시대적, 사회적 맥락 속에서 만들어진 산물일 뿐이다.
주인은 외부의 평가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의 가치를 스스로 창조한다.
자신의 신념과 가치를 직접 만들어가며,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기 때문에
가치 있는 존재가 된다.
주인의 도덕은 강한 자들의 도덕이다.
노예의 도덕은 자신의 나약함을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낸 도덕이다.
복종과 겸손을 미덕으로 삼고, 강한자를 악으로 규정하며,
자신을 선으로 정의한다.
주어진 규범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것이 아니라,
삶을 긍정하고 자신의 본능과 의지를 온전히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 도덕에서 벗어나 자기만의 기준을 세우는 일이야말로
진정한 자유이며, 삶을 온전히 긍정하는 길이다.
신은 선과 악의 기준이었고, 삶의 의미를 부여하는 존재다.
신의 존재가 부정되면서, 인간은 기존의 도덕과 가치 체계까지도 잃어버렸고,
스스로 의미를 창조해야 하는 순간에 직면한다.
선과 악은 인간이 만들어낸 것이다.
모든 것이 상대적이며, 어떤 것도 절대적인 의미를 갖지 않는다면
인간은 허무주의에 빠질 위험에 놓인다.
신이 죽은 세계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것이야말로,
허무를 극복하는 도전이다.
기존의 가치에 질문을 던지고, 나에게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
탐구하는 것이야말로 자기 발견의 첫걸음이다.
자기 자신이 된다는 것은 혼자만의 길을 걷는 것을 의미한다.
초인은 기존의 도덕과 가치 체계를 넘어서 자신만의 삶을 창조하는 존재며,
외부 권위에 의존하지 않고, 자신의 힘과 의지를 통해 삶의 의미를 부여한다.
자유로운 정신이 되기 위해서는 도덕과 사회적 가치의 본질을 꿰뚫어 봐야 한다.
타인의 가치에서 벗어난다는 것은 무리에서 이탈할 용기를 가지는 일이다.
고독을 피하려는 순간, 다시 무리 속으로 흡수된다.
진정한 자유를 원한다면 고독조차도 기꺼이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허무주의는 자기 창조로 나아가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진정한 주체성을 회복하고 삶의 주인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기존 가치의 해체, 자기 극복, 새로운 의미 창조가 필수적이다.
주체성을 되찾는다는 것은 단순한 자유가 아니라,
자기 자신을 능동적으로 창조하는 과정이다.

자기 자신이 되기 위해서는 고독을 견뎌야 한다.
진정한 자유와 주체성은 오직 고독 속에서만 발견될 수 있다.
삶의 주인이 된다는 것은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가치를 창조하고, 스스로의 삶을 긍정하는 존재가 되는 것이다.
변혁의 첫걸음은 운명애(Amor Fati)의 실천이다.
운명을 사랑하고, 주어진 환경 속에서 자신의 길을 개척할 때, 더 강한 존재가 된다.
변혁은 이 순간을 긍정하는 데서 시작된다.
운명애는 주어진 운명을 내 것으로 만드고, 삶을 창조적으로 재구성하는
능동적인 태도를 의미한다.
운명애는 현실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고 능동적으로 재구성하는 태도다.
초인은 자신의 운명을 온전히 긍정한다.
운명애는 삶의 고통과 혼란을 두려워하지 않고,
자신만의 가치를 창조하는 과정이다.
삶의 모든 순간을 긍정하는 강인한 태도는
운명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것을 자신의 일부로 받아들이며,
의미를 창조하는 순간, 비로소 진정한 자유를 얻게 된다.
고난을 성장의 원동력으로 삼아 더 높은 차원으로 나아갈 수 있다.
삶의 시련을 견디고 극복하는 과정에서 자기 자신을 발견하게 도며,
시련을 성장의 기회로 삼을 때 더욱 강한 존재로 거듭날 수 있다.
고통을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자유를 향한 첫걸음이다.
고난을 피하려는 순간 나약해지지만, 정면으로 마주하고 초월할 때
진정한 자유를 경험할 수 있다.
고난을 극복하는 자만이 더 높은 존재로 나아갈 수 있다.
고난을 삶의 필연적인 일부로 받아들이고, 더 강한 존재로 거듭나는
태도야말로 운명애의 본질이다.
진정한 삶이란 현재를 충실히 살아가는 것이다.
초인은 단순한 이상이 아니라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개척하며,
기존 질서와 도덕을 넘어서는 강한 존재를 의미한다.
초인은 사회가 만들어놓은 가치에 얽매이지 않고,
스스로 기준을 세우며,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창조한다.
초인은 변화와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고, 자기 자신을 끊임없이 확장하며,
스스로의 힘을 충분히 발휘하며 살아간다.
초인은 타인의 기준을 따르지 않고 자신의 삶을 창조하는 자다.
노예의 도덕은 개인이 자신의 힘을 발휘하는 것을 억제하며,
모두가 동일하게 행동해야 한다는 강요를 만들어낸다.
주인의 도덕을 따르는 자는 타인의 시선, 사회적 기준에 의해
자신의 가치를 평가하지 않는다.
강한 자는 자기 삶의 방향을 스스로 결정하는 존재다.
약한자는 강한 자를 비난하며, 자신의 나약함을 미덕으로 삼는다.
초인은 타인의 기준에 얽매이지 않고 자기 삶을 스스로 설계하는 존재며,
끊임없이 변화하고 성장하는 자다.
초인의 길을 걷기 위해서는 기존의 가치에 대한 의문을 던지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초인의 길을 실천할 준비가 되었을 때 삶의 창조자로서 살아갈 준비가 된 것이다.
오늘의 선택이 영원히 반복된다면, 더 나은 선택을 해야 한다.
영원회귀는 삶을 긍정할 수 있는지를 시험하는 강력한 기준이다.
영원회귀를 받아들이는 핵심 태도는 현재의 삶을 회피하거나 후회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긍정하며 살아가는 것이다.
지금을 충실히 살아가는 것이야말로 가장 확실한 미래를 만드는 길이다.
니체의 영원회귀 개념은 단순한 철학적 사유가 아니라,
매일의 삶을 더 의미 있게 살아가도록 만드는 기준이 된다.
운명애란 과거의 실수를 후회하는 것이 아니라 받아들이는 자세다.
타인의 기대에 따라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자신의 삶을 개척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타인의 기준과 사회적 기대에 휩쓸려, 진정 원하는 삶이 아닌
타인의 기대 속에서 살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야 한다.
영원회귀를 받아들이는 삶은 단순한 운명 순응이 아니라,
매 순간을 의미 있게 창조하는 태도다.
힘에의 의지는 자신의 한계를 뛰어넘고
끊임없이 성장하려는 창조적 에너지 를 말한다.
힘에의 의지를 실천하는 자만이 더 높은 존재로 거듭날 수 있다.
기존 도덕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것은 허무주의로 가는 길이다.
허무주의는 극복할 대상이지 피할 대상이 아니다.
힘에의 의지는 허무주의를 넘어서는 실천적 도구가 되며,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려는 의지가 있을 때, 비로소 자기 삶을 살 수 있다.
스스로의 힘으로 삶을 개척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인간의 모습이다.
능동적으로 삶을 설계하는 창조적 존재가 되어야 한다.
진정한 변화는 자신의 한계를 직시하는 데서 시작되며,
더욱 단단한 존재로 거듭날 수 있다.
기존 도덕과 사회적 기준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삶을 개척하는 것이 두려움에서 벗어나는 길이다.
자기 극복이란 단순한 인내가 아닌 자기 초월과 창조의 과정이다.
강한 자는 허무주의에 빠지지 않는다.
삶을 능동적으로 창조하는 존재며, 자신의 한계를 스스로 규정하지 않는다.
힘을 통해 창조하는 자는 자신만의 길을 개척하는 자이며,
타인의 가치와 사회적 기준에 얽매이지 않고,
스스로의 삶을 창조하는 존재다.
도덕적 틀을 의심하고 넘어서야 진정한 자유에 도달할 수 있다.
도덕이 특정한 시대와 문화가 만들어낸 상대적 규범이라면,
도덕적 기준은 개인을 통제하고 억누르기 위한 사회의 도구일 수 있다.
고통은 내면을 돌아보게 하고, 한계를 깨닫게 하며, 넘어설 용기를 준다.
삶의 고통을 긍정하는 순간 더 강한 존재로 변화할 수 있는
성장의 기회로 삼는다.
허무주의는 더 높은 차원의 의미를 창조할 수 있는 공간이다.
삶의 진정한 긍정은 자신을 극복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한다.
도덕적 이분법을 넘어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때다.
사람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사회적 규범과 도덕적 가치 속에서 살아간다.
스스로의 기준과 가치를 창조해야만 진정한 자유와 자율을 얻을 수 있다.
기존의 가치가 무너지는 것은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수 있는 기회다.
중요한 것은 스스로의 기준을 세우는 것이다.
고난을 성장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진정한 창조는 고난을 긍정하는 순간 시작된다.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삶이 따로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의 기준과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며 행동하는 순간,
점차 자기 삶을 잃어버리게 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타인의 기대 속에서 길들여진 삶을 살아가며
스스로의 선택이라 착각한다.
고통을 피하려는 태도는 인간을 나약하게 만든다.
고통을 통해 인간은 더 강한 존재로 거듭날 수 있다.
영원회귀 사상은 단순한 철학적 개념이 아니라
순간을 살아가는 태도에 대한 질문이다.
기존 가치에 종속되지 않고, 자기 자신을 초월하며,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는 자만이 삶을 온전히 긍정할 수 있다.
고난과 시련까지도 자기 존재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자만이,
허무주의를 극복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수 있다.
삶을 긍정하는 것은 단순한 수용이 아니라,
자기 존재를 능동적으로 개척하는 실천적 과정이다.
운명을 사랑하는 자는 자신만의 길을 찾아간다.
운명이란 단순히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의미를 부여하고
변화시켜야 할 것이다.
삶을 긍정하는 자만이 허무를 극복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수 있다.
인생은 잘 살기 위해서는 의미있게 살아야 한다.
삶의 기준을 스스로 정립하고 살아가는 사람은 드물다.
대부분 세상의 기준과 타인의 시선에 따라 살아간다.
생각하지 않고 살아가면서 자신의 삶을 사는 것이 아니다.
사회나 타인의 생각대로 행동하는 꼭두각시처럼 살아가면서도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한다고 착각하는 것은 정말 무서운 일이다.
니체는 도덕, 가치, 종교적 믿음, 사회적 규범 등이
진리인 것처럼 사람들의 사고와 행동을 제한하지만,
낡은 가치들은 진리가 아님을 이야기 한다.
사회적 가치에 맹목적으로 이끌리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고 자기 자신만의 기준을 세워야 한다.
자신의 가치관과 삶의 중심을 갖추고, 가치와 기준을 지켜내면서,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된다.
니체 의 초인은 주체적인 사람이다.
자신의 운명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면서,
고난과 역경이 닥쳐도 긍정하면서 기회로 만든다.
고통을 넘어 강해지며, 고통 속에서 성장하는 것은
운명을 사랑하기 때문이다.
기존 가치를 맹목적으로 따르지 않고, 기존 가치를 넘어선
새로운 삶을 만들기 위해 도전한다.
삶의 어떻게 살 것인지를 고민하고 가치 있게 살기 위해 노력하며,
삶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
"니체가 말하는, 버려야 할 것과 버텨야 할 것"은
삶의 본질을 깨닫고, 두려움과 한계를 넘어서며,
삶의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고, 주도적으로 살 수 있게 한다.
기존 가치에 매몰되지 않고 가치를 창조하며,
자신의 기준을 세우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할 수 있게 한다.
자기 자신과 삶을 온전히 받아들이고, 삶을 긍정하며,
자신의 삶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게 한다.
혼돈의 시대다.
AI의 급속한 발전과 전통적 가치관이 몰락하면서,
사회를 이끌 새로운 기준은 요원하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어느 부분에서도 안정적인 부분은 없다.
너무나 불확실한 세상에서 기준을 세우지 못하면 불안하다.
진정한 삶의 변혁을 위해서는 스스로의 기준을 세워야 한다.
사회의 기준을 맹목적으로 따르지 않고, 삶의 본질을 이해하며,
주체적으로 살아가며 새로운 삶을 창조해야 한다.
"니체가 말하는, 버려야 할 것과 버텨야 할 것"은
삶의 진정한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니체 철학의 핵심을 소개하면서,
의미있는 삶을 살면서 운명을 개척할 수 있도록 한다.
리프레시 와 리뷰어스 클럽 서평단에서
"니체가 말하는, 버려야 할 것과 버텨야 할 것"을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니체 #철학 #도덕의계보 #니체철학 #니체가말하는버려야할것과버텨야할것
#철학 #리뷰어스클럽 #리뷰어스클럽서평단 #리프레시 #제이한 #J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