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골치 아픈 논문 그림 쉽게 그리기
신동선 지음 / 군자출판사(교재) / 2025년 1월
평점 :
'이 리뷰는 컬처블룸을 통해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논문의 가치를 높이는 논문 그림 만들기

책을 선택한 이유
논문은 주제에 대한 주장이나 발견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글이다.
그림은 복잡한 내용을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논문 그림 작성법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골치 아픈 논문 그림 쉽게 그리기"를 선택한다.

1장 개요 에서는
좋은 논문 그림은 복잡한 정보와 개념을 쉽고 명확하게 이해하게 한다.
시각적 요소는 독자의 관심을 끈다.
논리적 흐름을 강조하며, 신뢰성을 높이고,
언어의 장벽을 극복할 수 있다.
좋은 논문 그림은 정보를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연구의 가치와 이해를 극대화한다.
나쁜 논문 그림은 연구 내용의 전달을 방해하고,
독자의 이해를 저해하며, 논문의 질을 떨어뜨린다.
그래픽 툴 을 배우고 연습하면서, 익숙해져야 한다.
Cell Press의 그림 가이드라인 을 지켜야 한다.
처음 투고 시 지켜야 할 사항, 최종 제출 시 지켜야 할 사항,
그림 준비 지침, 파일 형식 및 파일 크기를 설명한다.
논문 그림을 만들 때 각 저널 의 규정에 따라 이미지 파일을 만들어야 한다.

2장 그림 배치하기 에서는
논문 그림이 가로 배치 또는 세로 배치에 따라 초기 그림 준비 과정이 달라진다.
그림의 크기와 형식이 전체 페이지 레이아웃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그림과 함께 제공되는 캡션 을 쉽게 읽고, 그림의 세부 사항과 중요 요소들이
잘 드러나도록 크기와 구성 요소를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그림의 준비 단계에서부터 그림의 요소를 적절히 나누고,
각 부분이 독립적으로 이해될 수 있도록 배열한다.
논문에서는 효율성과 정보 전달이 핵심이기 때문에 여백을 최소화한다.
내용의 정확성과 공간 효율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3장 라벨링 하기, 표 편집하기 에서는
일러스트레이터 에서 편집한 그래프 를 복사해 파워포인트 에 붙여넣고
글자로 설명을 써서 마무리한다.
여러 개의 그림들이 들어가면 그림 사이에 선을 넣어서 구분한다.
파워포인트 에서 만든 그림은 TIF파일 로 저장한다.
4장 소프트웨어 에서는
그래프를 그릴 때 사용되는 대표적 프로그램
엑셀, SPSS, Prism, Origin, R, Python의 장단점을 소개한다.
Graphical abstract, Visual abstract는 논문에서 주요 내용을
시각적으로 요약하여 표현한 것이다.
Graphical abstract는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논문을 홍보하거나 연구를 알리는 데에도 유용하다.
시각적 요소가 재미있고 자극적일수록 더 많은 주목을 받을 수 있다.
만년필로 그린 그림을 스캔한 후 포토샵 에서 곡선 기능을 써서
배경을 하얗게 만든다.
특정 나라의 언어로 홍보자료를 만들면 영어로 만들었을 때보다
더 관심을 받을 수 있다.
파워포인트 를 써서 세포핵을 그리는 법을 실습해 본다.
일러스트레이터 로 그리면 파워포인트 에서 아쉬운 점을 해결한다.
작은 포인트 디테일 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일러스트레이터 를 써서 세포핵을 그리는 법을 실습해 본다.
그룹의 이름을 지을 때 대문자와 소문자, 띄어쓰기는
논리적인 이유로 결정된다.
대문자로 표기하면 시각적 무게감을 주며 쉽게 기억에 남는다.
대소문자를 섞어 사용하면 독창성과 유니크 함을 강조한다.
대소문자를 조합한 이름은 리듬감을 줄 수 있다.
마야, Maya는 3D 컴퓨터 그래픽 소프트웨어 다.
3D 아티스트, 애니메이터, 시각 효과 전문가들 사이에 인기 있다.
마야는 단축키를 사용하여 작업 흐름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마야 를 써서 세포핵을 3D로 그리는 법을 실습하면서,
마야 의 주요 사용법을 익혀본다.
렌더링 이 끝나면 이미지 로 저장하고, 파워포인트 에서
지시선을 그리고 각 부분의 이름을 넣어서 완성한다.
Blender, 3ds Max, ZBrush, Cinema 4D, Houdini,
SketchUp, Tinkercadm, Fusion 360, Modo, Daz 3D
등 3D 소프트웨어 의 장단점을 소개한다.
5장 지시선, 기존 그림을 참고하기 에서는
설명선은 복잡한 그래픽, 데이터 를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설명선은 특정 부분이나 요소에 대한 주의를 집중시키며,
그림의 중요한 부분을 쉽게 식별하고 이해할 수 있다.
지시선을 사용할 때는 선이 명확하고, 직접적이며,
과도하게 사용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겹선을 쓰면 선을 잘 보이게 할 수 있다.
그림자는 어두운 배경이나 그림에 어두운 요소가 있을 때 사용한다.
확실하게 선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이중선을 사용한다.
기존 논문의 그림을 벡터로 따라 그리기를 실습해 본다.
그림을 포토샵에서 비트맵으로 변형하고 해상도를 올린다.
Clip Studio Paint, Procreate, Autodesk SketchBook,
Corel Painter, Krita, PaintTool SAI, GIMP, MediBang Paint,
ArtRage, Rebelle 등 비트맵 으로 그림을 그리는 소프트웨어 를 소개한다.
BioRENDER는 과학 일러스트레이션 을 쉽게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온라인 플랫폼 이다.
논문 그림을 만드는 데 필요한 거의 모든 소스가 카테고리 별로 있다.
Servier Medical Art, Mind the Graph 등 논문 작성에 유용한 사이트 를 소개한다.
HyperChem Professinal은 분자 모델링 소프트웨어로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와 강력한 계산 능력을 제공한다.
Gaussian, Spartan, Materials Studio, MOPAC, AutoDock 등 분자 모델링 소프트웨어 를 소개한다.
포토샵 은 논문 그림 편집에 널리 사용되는 도구다.
처리용 레이어 만들기, 명도 및 대비 조정, 곡선조절, 이미지 필터, 흑백전환, 액션, 히스토리,
포토샵 논문 사진 편집 주의점 등 포토샵을 사용한 논문 그림 편집 기능을 소개한다.
6장 실전 에서는
조직의 발생 이상 그림 만들기를 실습해 본다.
마야 에서 3D로 기본 모양 만들기,
일러스트레이터 에서 대고 그리기,
작업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AI로 논문에 들어갈 그림을 그린다.
frontiers의 AI를 활용한 그림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소개한다.
논문은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렵다.
그림은 논문의 핵심 주장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면서,
독자가 쉽고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골치 아픈 논문 그림 쉽게 그리기"는
좋은 논문 그림의 개요, 그림 배치시 유의 사항,
라벨링, 표 편집, 그래프 작성,
파워포인트, 일러스트레이터, 마야 사용법,
지시선 작성, 벡터 를 활용한 그림 그리기,
포토샵 을 이용한 논문 그림 편집을 다룬다.
좋은 논문 그림은 복잡한 정보와 개념을 쉽고 명확하게 이해하게 한다.
독자의 관심을 끌고, 논리적 흐름을 강조하며, 신뢰성을 높이며,
언어의 장벽을 극복할 수 있다.
정보를 명확하고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연구의 가치와 이해를 극대화한다.
그래픽 툴 을 배우고 연습하면서, 익숙해져야 한다.
논문 그림을 만들 때 각 저널 의 규정에 따라 이미지 파일을 만들어야 한다.
논문 그림의 크기와 형식이 전체 페이지 레이아웃과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캡션 을 쉽게 읽고, 그림의 세부 사항과 중요 요소들이 잘 드러나도록
크기와 구성 요소를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그림의 요소를 적절히 나누고, 각 부분이 독립적으로 이해될 수 있도록 배열한다.
여백을 최소화하고, 내용의 정확성과 공간 효율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Graphical abstract, Visual abstract는 논문에서 주요 내용을
시각적으로 요약하여 표현한 것이다.
Graphical abstract는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논문을 홍보하거나 연구를 알리는 데에도 유용하다.
시각적 요소가 재미있고 자극적일수록 더 많은 주목을 받을 수 있다.
특정 나라의 언어로 홍보자료를 만들면 영어로 만들었을 때보다
더 관심을 받을 수 있다.
그룹의 이름을 지을 때 대문자와 소문자, 띄어쓰기는
논리적인 이유로 결정된다.
대문자로 표기하면 시각적 무게감을 주며 쉽게 기억에 남는다.
대소문자를 섞어 사용하면 독창성과 유니크 함을 강조한다.
대소문자를 조합한 이름은 리듬감을 줄 수 있다.
마야, Maya는 3D 컴퓨터 그래픽 소프트웨어 다.
마야는 단축키를 사용하여 작업 흐름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설명선은 특정 부분이나 요소에 대한 주의를 집중시키며,
그림의 중요한 부분을 쉽게 식별하고 이해할 수 있다.
지시선을 사용할 때는 선이 명확하고, 직접적이며,
과도하게 사용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포토샵 은 논문 그림 편집에 널리 사용되는 도구다.
포토샵을 사용한 논문 그림 편집 기능을 소개한다.
논문에 필요한 그림을 그리기 위해서는
용도에 맞는 소프트웨어 를 사용해야 한다.
복잡한 소프트웨어 사용법을 공부하는 것도 좋겠지만,
논문 그림을 그릴 수 정도의 간단한 사용법을 이해하고,
자신의 목적에 맞는 소프트웨어 를 고르는 것이 필요하다.
"골치 아픈 논문 그림 쉽게 그리기"는
실제 논문에 그림을 배치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논문에 필요한 그림을 그리는 법을 설명한다.
일러스트레이터, 파워포인트, 마야, 포토샵, AI 등을 이용해
논문 그림을 그리기 위한 소프트웨어 사용법을 배운다.
닭 잡는데 소잡는 칼을 쓰는 것은 낭비다.
논문에 들어갈 그림을 작성하기 위해
복잡한 소프트웨어 사용법을 배우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골치 아픈 논문 그림 쉽게 그리기"는 실제 논문에 들어간
그림 작성을 같이 실습해 보면서 논문 그림 작성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한다.
"골치 아픈 논문 그림 쉽게 그리기"는
좋은 논문에 필요한 좋은 논문 그림을 그리는 방법을 알아보고,
필요한 그림을 그리기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사용법을 설명한다.
"골치 아픈 논문 그림 쉽게 그리기"는
실제 논문 작성에 필요한 논문 그림 작성을 실습하면서,
논문의 이해를 돕고,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좋은 논문 그림을 작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군자 와 컬처블룸 서평단에서
"골치 아픈 논문 그림 쉽게 그리기"를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논문그림 #소프트웨어 #파워포인트 #서평 #신동선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골치아픈논문그림쉽게그리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