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4 비즈니스 트렌드 코리아 - 월스트리트 출신 경제 전문가의 매크로웨이브 산업 전망
권기대 지음 / 베가북스 / 2023년 10월
평점 :
절판
한국 주요 산업의 비즈니스 트렌드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226/pimg_7460892194130676.jpg)
책을 선택한 이유
글로벌 세계 경제가 급격하게 쇠퇴하면서
대중 수출에 의존하는 한국은 위기를 겪고 있다.
한국 기업과 산업 전망을 알아보기 위해
"2024 비즈니스 트렌드 코리아"를 선택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226/pimg_746089219413067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226/pimg_7460892194130678.jpg)
"2024 비즈니스 트렌드 코리아"는
Part One : Macrowave Factors 매크로웨이브 요소들
Part Two : On Semiconductor K-반도체
Part Three : On Secondary Cell Batteries K-배터리
Part Four : On Bio and Healthcare K-바이오
Part Five : On Defense Industry K-방산
Part Six : On Automobiles and Mobility K-모빌리티
Part Seven :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dustry 인공지능 산업
Part Eight : On Construction & Properties K-건설
Part Nine : On Shipbuilding Industry K-조선
Part Ten : On Nuclear Energy K-원전
Part Eleven : On Eco-Friendly Energy 친환경 에너지
Part Twelve : On Agriculture and Fishery K-푸드
Part Thirteen : On Sectors with Gloomy Prospect 전망 흐린 산업 분야들
으로 구성되었다.
Part One : Macrowave Factors 매크로웨이브 요소들 에서는
중국은 부동산 업체, 국유기업의디폴트, 외국자금 탈출 등으로
차이나 리스크가 발생하는 암울한 상황이며,
중국 경제 악화, 중국 산업구조 진화는 한국을 위협한다.
탈중국을 위한 리쇼어링, 대체 투자지 찾기,
인도-태평양 지역, 중동, 폴란드 등 유망 지역을 소개한다.
장-단기 국채 금리의 역전, 고금리 시대의 도래 등
고물가가 뉴 노멀이 되는 이유를 살펴본다.
원화는 대외 변수에 취약하며 동네북 신세를 면치 못한다.
달러 투자, 엔화 불확실성에 대해 이야기 한다.
한국의 저출산 고령화는 한국의 가장 큰 리스크다.
인구 고령화는 국가신용등급 강등 요인이 된다.
노인 빈곤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른다.
가계부채 규모를 빠르게 증가시키는 주택담보대출,
국가 부채의 급등은 위협적이다.
한국은 황당한 규제로 국가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있다.
Part Two : On Semiconductor K-반도체 에서는
글로벌 경기 회복이 순조롭지 않으면서
메모리 공급사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삼성전자의 기술 경쟁력 약화, 하이닉스의 기술 도약,
치열한 AI 반도체 경쟁, 삼성전자의 차량용 메모리 진출,
일본 반도체의 부활 노력, 중국의 펩리스 산업 지원,
인도의 반도체 진출을 이야기 한다.
Part Three : On Secondary Cell Batteries K-배터리 에서는
전기차 보급이 이루어지면 배터리 시장 규모는
반도체 규모를 넘게 될 것이다.
한국은 막대한 투자를 바탕으로 세계 최고
기술력으로 배터리 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전기차 배터리의 종류, 일본이 주도하는 전고체 배터리,
LG엔솔, 삼성 SDI, SK온에 대해 알아본다.
배터리 셀을 만들기 위한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의 산업 동향과 주요 기업,
리튬, 니켈, 구리,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등
배터리 원료와 주요 기업,
폐배터리 재사용, 재활용 생태계의 부상을 소개한다.
Part Four : On Bio and Healthcare K-바이오 에서는
바이오산업 구축은 엄청난 비용이 들지만 성공률은 낮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CMO 세계 1위로 압도적 생산능력을 가진다.
CMO에 머물지 말고 신약 개발에 뛰어들어야 한다.
미국 시장, 중남미에 진출하는 국내 제약사,
한국 바이오 소부장 산업의 낙후성.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 경쟁,
진단-분석, 원격 의료, 영상 판독 등
바이오-헬스케어에 스며드는 AI 서비스,
비만 치료제 시장의 위고비 와 마운자로 격돌과
부동의 1위 존슨앤드존슨 의 쇠퇴,
알츠하이머 진행을 늦추는 레켐비와 도나네맙을 소개한다.
Part Five : On Defense Industry K-방산 에서는
K-방산 수출액은 이스라엘을 제친다.
폴란드, 필리핀, 호주, 중동 등 K-방산의 진출,
무인기 엔진, 고부가가치 차세대 무기, 군함, 잠수함,
레이저 무기 등 향후 개발 방향,
인공위성-극초음속-미사일 방어, 엔진 기술,
RAM-C 등에 낙후된 방위산업 기술 수준을 말한다.
Part Six : On Automobiles and Mobility K-모빌리티 에서는
현대차는 인도 시장, 전기차 진출 등으로 약진하고 있다.
전기차 판매가 저조한 이유, 중국 전기차의 약진,
전기차 충전 규격의 의미, 충전 산업의 미래,
자율주행과 커넥티드 카로 넘어간 자동차 전장 산업,
OLED 디스플레이 전환, 전장 동맹 구축,
로보틱스 기술, 드론 택시 등 미래 모빌리티를 예상해 본다.
Part Seven :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dustry 인공지능 산업 에서는
언어모델이라는 기반 기술을 바탕으로
생활 밀착형 AI 서비스가 빠르고 다양하게 등장한다.
네이버, 카카오, LG, 삼성, 통신사들의 AI 생태계 구축,
특화된 AI 서비스, 의료 AI 기업, AI 마케팅,
패션 스타트업의 맞춤형 AI를 알아본다.
Part Eight : On Construction & Properties K-건설 에서는
부동산 경기 침체와 건설 수요 감소는
건설업의 법정관리와 폐업으로 이어진다.
네옴 시티 와 중동 붐,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가능성,
해외 민관협력투자개발 사업, 엔지니어링, 콘테크,
모듈러 건축, K-전선, 수처리 산업에 대해 알아본다.
고금리 기조로 세계 부동산 시장은 위축되지만
최고가를 갈아치우는 부동산은 존재한다.
금리, 경기 침체 및 금융위기 가능성, 미분양 추세,
전세가, 주택구입부담지수, 규제 완화 속도 등
부동산 경기의 변화를 알아보는 지표를 소개한다.
Part Nine : On Shipbuilding Industry K-조선 에서는
국내 조선사들은 높은 생산성, 고품질, 수익성 영업 전략 등으로
고부가가치 선박에 집중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긴다.
한국 주도의 LPG 추진선 국제 기준을 이야기 한다.
Part Ten : On Nuclear Energy K-원전 에서는
윤석렬 정부가 문재인의 탈원전 기조를 버리고
K-원전을 살려내면서, 원전 생태계가 회복되고 있다.
허황된 RE100이 아니라 CF100의 가능성,
탈원전이 야기한 세계 최고 한국 SMR 기술 몰락,
수출 움직임 등 원전 생태계의 부활에 대해 알아본다.
Part Eleven : On Eco-Friendly Energy 친환경 에너지 에서는
그린 수소 프로젝트 해외 진출, 두산퓨얼셀, CCUS 비즈니스,
맹그로브 숲 조성 계획,
중국에 밀려 몰락한 한국의 태양광 산업,
한화큐셀 과 미국 태양광발전 가능성에 대해 이야기 한다.
Part Twelve : On Agriculture and Fishery K-푸드 에서는
스마트 팜 은 ICT를 접목한 작물 관리로
최대의 수확을 올릴 수 있도록 한다.
중동과 동남아는 대량생산 가능성에 관심을 보인다.
품종 개발 과 아프리카의 K-라이스 벨트 사업을 소개한다.
김, 라면, 블루 푸드 의 해외 진출을 소개한다.
Part Thirteen : On Sectors with Gloomy Prospect 전망 흐린 산업 분야들 에서는
희박한 중국 리오프닝 특수, 불황에 의한 소비 심리 약화,
리퀴드 소비, e커머스 비즈니스 모델의 한계,
대중국 의존 기업의 몰락, 에듀테크 산업의 재편,
게임 산업 부진의 원인, 중국 게임사의 추월,
메타버스 게임 진출 움직임,
디지털 금융이 가져온 치열한 경쟁,
AI기술의 활용, 비대면 코어 뱅킹,
토큰증권, 간편결제, PF에 대해 알아본다.
"2024 비즈니스 트렌드 코리아"는
매크로웨이브 요소로 글로벌 공급망 재편, 인플레이션,
저출산/고령화, 늘어나는 부채를 파악하고,
K-반도체, K-배터리, K-바이오, K-방산, K-모빌리티,
인공지능 산업, K-건설, K-조선, K-원전, 친환경 에너지,
K-푸드 등 도약이 예상되는 업종과
전망이 어려운 산업을 알아본다.
매크로웨이브 요소들 에서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중국 경제 악화가
한국에 미칠 영향,
인플레이션, 고물가, 고금리에 의한
새로운 뉴 노멀 경제의 전환,
한국의 가장 큰 리스크가 되는 저출산 문제,
국가신용등급 강등 요인이 되는 인구 고령화,
늘어나는 부채를 발생시키는 가계 주택담보대출,
국가 부채의 급등의 위험성과
국가경쟁력을 떨어뜨리는 한국의 황당한 규제를 이야기 한다.
K-반도체 에서는 한국 메모리 공급사가 겪는 어려움,
치열한 AI 반도체 경쟁, 세계 각국의 반도체 경쟁을 알아본다.
K-배터리 에서는 세계 최고 기술력을 가진 한국 기업,
배터리 셀을 만드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배터리 원료 리튬, 니켈, 구리, 코발트, 망간, 알루미늄 산업,
폐배터리 재사용, 재활용 생태계를 소개한다.
K-바이오 에서는 CMO 세계 1위를 차지한 압도적 생산능력,
신약 개발, 해외 진출, AI 서비스 등을 알아본다.
K-방산 에서는 해외 수출 증가, 향후 개발 방향,
첨단 방위산업 기술 수준 낙후 문제를 말한다.
K-모빌리티 에서는 현대차의 약진, 전기차 산업,
자동차 전장 산업, 미래 모빌리티를 예상한다.
인공지능 산업 에서는 생활 밀착형 AI 서비스,
AI 생태계 구축 문제를 알아본다.
K-건설 에서는 중동, 우크라이나 진출 가능성,
해외 민관협력투자개발 사업, 엔지니어링, 콘테크,
모듈러 건축, K-전선, 수처리 산업 등을 알아본다.
K-조선 에서는 국내 조선사들은 높은 생산성, 고품질,
수익성 영업 전략 등으로 고부가가치 선박에 집중하며,
한국 주도로 만들어진 LPG 추진선 국제 기준을 이야기 한다.
K-원전 에서는 탈원전 정책으로 몰락한 세계 최고의
한국 SMR 기술과 원전 생태계가 회복을 알아본다.
친환경 에너지 에서는 그린 수소 프로젝트, CCUS 비즈니스,
맹그로브 숲 조성 계획, 중국에 밀려 몰락한 한국 태양광 산업을
이야기 한다.
K-푸드 에서는 스마트 팜, 품종 개발, K-라이스 벨트 사업,
김, 라면, 블루 푸드 의 해외 진출을 소개한다.
전망 흐린 산업 분야들 에서는
대중국 의존 기업의 몰락, 불황에 의한 소비 약화,
e커머스 비즈니스 모델, 에듀테크 산업,
게임 산업, 디지털 금융 등에 대해 소개한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통한 경제 뉴노멀로 진행되면서,
러우전쟁, 미중 갈등, 환경 문제 등이 불거지고 있다.
세계화가 사라지고 진영별 대립으로 급격하게 전환되면서,
국제 비즈니스 환경은 열악해지고 있다.
비즈니스를 제대로 전망하지 않으면 큰 손실을 보게 될 것이다.
"2024 비즈니스 트렌드 코리아"는
2024년 국제 비즈니스 환경을 분석하고,
산업 분석을 통해 주요업종의 미래를 전망한다.
기업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산업을 알아야 한다.
한치도 앞도 보이지 않는 위기의 상황에서
비즈니스 트렌드를 모르는 투자는 위험하다.
"2024 비즈니스 트렌드 코리아"의 주요 정보는
국제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와 한국 기업의
변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므로
경제 상황을 바탕으로 한 현명한 투자를 돕는다.
베가북스 와 G마켓도서서평단 에서
"2024 비즈니스 트렌드 코리아"를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2024비즈니스트렌드코리아 #G마켓도서 #G마켓도서서평단 #권기대 #베가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