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 저글링
김영안 지음 / 새빛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을 행복하게 사는 방법





책을 선택한 이유



행복은 인생의 목표 라고 아리스토텔레스는 말한다.


행복의 조건과 정의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행복을 추구하는 인간의 본성은 다르지 않다.


행복해지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행복저글링"을 선택한다.





"행복저글링"은


첫 번째 공. WORKING 일

두 번째 공. MONEY 돈

세 번째 공. HUMAN RELATIONSHIP 관계

네 번째 공. HEALTH 건강

다섯 번째 공. SELF-DEVELOPMENT 자아

다섯 개 공의 행복 저글링


으로 구성되었다.





행복은 만족감을 통해 강렬한 기쁨에 이르는 안녕의 감정 상태다.


행복은 누구나 원하는 인생의 희망이자 욕구다.

행복한 순간은 빠르게 흘러가고, 슬픔의 순간은 떠나지 않으므로,

행복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거나 느끼지도 못하고 있다.


88만원 세대는 한국의 20대를 지칭하는 이름이다.


20-30대는 비정한 경쟁사회의 쓴맛을 일찍 알아버리고,

40대는 피로와 노쇠 증후군에 시달리며,

50-60대는 떠밀리듯 은퇴해야 하는 것이 한국 사회다.


2023년 세계행복지수에서 한국은 중간을 약간 웃도는 수준이다.


행복은 경제 성장과 반드시 비례하지 않는다.

행복은 정신적 습관이며, 배울 수 있다.


행복은 나와 나의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상황들이

균형 있게 조화를 이루면서 만들어진다.



첫 번째 공. WORKING 일 에서는


이태백 이 옛말이 되고 십장생 이 유행한다.

대학을 졸업하기 전 십대부터 장래 취업을 생각해야 한다는

절박한 현실을 잘 말해 준다.


직업은 고통이나 수고의 대명사가 아니라

삶에 활기를 불어넣어주는 것이다.


인생 대부분을 직장에서 보내므로

일과 행복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기업의 인재 선발 전략과 채용 기준,

일에서 행복을 느끼는 요소, 일을 하는 자세,

직업의 선택, 직장 인생 사이클 계획하기,


일이 만족스럽지 못할 때 자신에게 해야 할 질문,

경영자의 어려움, 스트레스의 긍정적 효과,

직업을 천직으로 재창조 하기,


기업이 원하는 프로페셔널 되기, 

실전형 전문가 브리꼴뢰르형 인재,

최고의 전문가에 도전하기,


이직을 하는 심리, 캐리어 패스 계획하기,

정리해고와 자진 사표, 창업 아이템 찾기,

창업과 전문성,


행복하기 위해서는 일을 능동적으로 선택해야 하며,

일과 삶의 균형은 일생의 일을 선택하는 것임을 말한다.



두 번째 공. MONEY 돈 에서는


전직시 대부분은 연봉보다 직위를 택한다.


돈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라고 말하는 사람은

대부분 돈 문제에 가장 예민한 사람이다.


직장 초년생은 직위보다 연봉을 택해,

벌 수 있을 때 최대한 벌어 종자돈을 마련해야 한다.


돈과 행복은 일정 수준까지만 상관관계를 갖는다.

불행은 돈의 양이 아니라 경제적 불평등 때문에 생긴다.


풍요로울수록 더 많은 것을 욕망하는 어플루엔자,

복권 당첨자가 불행한 이유, 돈을 부리는 주인 되기,


부로 사람의 가치를 평가하는 사고방식,

부자의 기준, 부자가 되는 방법, 불로소득의 중요성,

부자가 불행한 이유, 부자가 행복한 이유,


돈을 쓰는 방법, 돈을 잘 써서 마음을 채우는 리얼리어네어,

성공한 기버, 검약과 인색, 단순한 삶의 실천,

돈으로 자신의 가치를 만드는 기준을 이야기 한다.




세 번째 공. HUMAN RELATIONSHIP 관계 에서는



대등한 입장이 되어야 대화가 가능하다.


눈높이를 맞추려면 어느 한 쪽의 배려가 필요하다.


높은 곳에 있는 사람이 낮은 곳으로 내려와야

서로의 높이를 맞출 수 있다.


얼굴을 맞대고 이야기 하면서 소통하는 것이 좋지만

글을 써서 간접적으로 전하는 방법도 있다.


이메일, 메신저, SNS 등 소통 매체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

소통은 가로막힐 수 밖에 없다.


행복은 소통이 되어야 나눌 수 있다.


공공의 희생양이 되지 않기, 직장에서의 인간관계,

관계를 돈독히 하기, 좋은 관계를 만드는 먼저 주기,


30대에 형성해야 할 인맥, 인맥을 넓히는 부지런함,

인맥 구축시 유의할 사항, 적당한 거리 유지,

일반적 관계와 비즈니스 관계를 맺는 전략,

디지털 시대의 인맥 형성 방법, 기록의 중요성,


인간관계의 연결 법칙, 만남의 여운을 남기기,

인맥 형성을 위한 자기 규율, 인간관계의 고수,

인맥 네트워크의 중요성, 필요한 정보를 알려주기,

독서와 교제를 활용해 자신을 좋아하게 만들기,

없어서는 안 될 장기간 필요한 존재가 되기,


차이를 존중하고 간섭하지 않기, 다름을 포용하는 융합,

상대적 행복, 옳은 것보다 같이 행복함의 중요성을 말한다.




네 번째 공. HEALTH 건강 에서는


건강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최적의 상태에 있는 것이다.


건강은 신체적 건강에 더해, 언제나 젊고 활기차게

낙천적으로 살면서 행복을 느끼는 상태를 말한다.


동양에서는 자연스러움을 벗어나기 때문에 건강하지 못하며,

질병 치료는 인간 본래의 자연스러움 회복이 먼저라고 말한다.



먹는 것이 그 사람이다.


숨 쉬는 공기와 입으로 먹는 음식은 생존의 필수 요소다.

몸과 생각은 먹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식습관은 건강과 행복에 직접적 기여를 한다.


식생활에 과장된 불안을 느끼게 하는 매스미디어,

수면과 생체리듬, 세로토닌의 행복, 건강에 좋은 생활습관,



시간 절약의 모순적 시간 기근, 휴식의 중요성,

취미, 휴식, 휴식의 조건에 대해 말한다.




다섯 번째 공. SELF-DEVELOPMENT 자아 에서는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는 차별성은 배움으로 만들어진다.


배움을 얻는다는 것은 자신의 인생을 사는 것이다.

배우기 위해서는 의지와 시간관리가 중요하다.



공부하는 직장인을 샐러던트라 부른다.


배움은 지식과 지혜를 전해주고, 원하는 것을 이루게 한다.



고통은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견디는 것이다.


견딤의 자세가 인생의 자세다.


인생의 실수는 아예 시작도 하지 않는 것, 끝까지 하지 않는 것이다.



너무 많은 선택은 인생을 불행하게 하며,

현실에 길들여지면 재능을 좀먹게 된다.


변화의 성패를 위해 행동하고 자신을 채찍질해야 한다.


열심히 살지 말고 특별하게 살아야 한다.

즐기면 즐겁고, 즐거우면 새로운 것을 받아들일 수 있다.


실패와 실수를 바로잡기, 청춘의 방황에 빠지지 않기,

적극적으로 행동하기, 역경에서 벗어나기,



know-where 시대의 창의력, 창의적 사고 훈련,

창의력을 키우는 다르게 생각하기,


인생의 기준이 되는 인생관, 어려움 없이 살아가기,

매일 꿈을 재확인하는 시간 갖기, 생각은 크게 실천은 작게,

잘하는 것에 모든 힘을 집중하기, 삶의 주인이 되기,

오늘이 마지막 날인 것처럼 살기를 말한다.




다섯 개 공의 행복 저글링 에서는


행복은 빈둥대는 데 있지 않고

활동적인 일로 움직이는 데 있다.


행복하기 위해서는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능력을 인정받으며, 스스로를 통제하는

욕구가 충족되어야 한다.


행복은 목표가 아니라 과정이다.

행복은 삶의 나침반이 되며 이정표가 되어준다.


포기한 선택에 미련을 가지지 말고,

타인과 비교해서는 안된다.


행복한 삶을 위해 나 자신을 바꾸기,

행복과 욕망의 반비례 관계, 행복의 구성,


행복한 인생의 의미, 행복의 정도,

행복의 추구, 행복 구성 요소들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 한다.




"행복저글링"은 행복한 인생을 살기 위해

WORKING 일, MONEY 돈, HUMAN RELATIONSHIP 관계,

HEALTH 건강, SELF-DEVELOPMENT 자아 등의

균형과 조화로운 삶을 소개한다.





행복은 만족감을 통해 강렬한 기쁨에 이르는 안녕의 감정 상태다.


행복은 나와 나의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상황들이

균형 있게 조화를 이루면서 만들어진다.



직업은 고통이나 수고의 대명사가 아니라

삶에 활기를 불어넣어주는 것이다.


인생 대부분을 직장에서 보내므로

일과 행복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돈이 인생의 전부가 아니라고 말하는 사람은

대부분 돈 문제에 가장 예민한 사람이다.


돈과 행복은 일정 수준까지만 상관관계를 갖는다.

불행은 돈의 양이 아니라 경제적 불평등 때문에 생긴다.



대등한 입장이 되어야 대화가 가능하다.


눈높이를 맞추려면 높은 곳에 있는 사람이

낮은 곳으로 내려와야 한다.



행복은 소통이 되어야 나눌 수 있다.


이메일, 메신저, SNS 등 소통 매체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

소통은 가로막힐 수 밖에 없다.




건강은 신체적 건강에 더해, 언제나 젊고 활기차게

낙천적으로 살면서 행복을 느끼는 상태를 말한다.



먹는 것이 그 사람이다.


몸과 생각은 먹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식습관은 건강과 행복에 직접적 기여를 한다.



배움은 지식과 지혜를 전해주고, 원하는 것을 이루게 한다.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는 차별성은 배움으로 만들어진다.

배움을 얻는다는 것은 자신의 인생을 사는 것이다.

배우기 위해서는 의지와 시간관리가 중요하다.



견딤의 자세가 인생의 자세다.


고통은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견디는 것이다.




인생의 실수는 시작 하지 않는 것, 끝까지 하지 않는 것이다.


너무 많은 선택은 불행하게 하며, 현실에 길들면 재능이 좀먹는다.

변화의 성패를 위해 행동하고 자신을 채찍질해야 한다.




열심히 살지 말고 특별하게 살아야 한다.


즐기면 즐겁고, 즐거우면 새로운 것을 받아들일 수 있다.




행복은 빈둥대는 데 있지 않고

활동적인 일로 움직이는 데 있다.


행복하기 위해서는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능력을 인정받으며, 스스로를 통제하는

욕구가 충족되어야 한다.


행복은 목표가 아니라 과정이다.

행복은 삶의 나침반이 되며 이정표가 되어준다.



"행복저글링"은 행복의 요소가 되는

일, 돈, 관계, 건강, 자아 등의

성격을 이해하고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을 이야기 한다.


행복 요소의 균형과 조화를 통해 인생의 폭을 넓히고,

행복한 인생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다.


인생은 다양한 요소로 구성된다.

어느 하나도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다.


삶의 목표와 가치관을 정하고

일, 돈, 관계, 건강, 자아 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며,

자신에게 맞는 인생을 선택하는 것이

행복한 삶을 가져온다.


행복의 요소들을 제대로 알고 지혜롭게 활용해야

행복에 가깝게 다가갈 수 있다.


행복저글링"은 삶과 행복을 결정하는

일, 돈, 관계, 건강, 자아 를 현명하게 운영하는 지혜를 통해

인생을 가치있게 살고 행복에 다가서도록 한다.


"행복저글링"은 인생의 목표인 행복을 위한

조화로운 삶의 중요함을 이해하게 된다.


새빛북스 와 컬처블룸 서평단에서 "행복저글링"을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행복저글링 #새빛북스 #서평 #김영안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