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처받은 관계에서 회복하고 있습니다 - 나르시시스트를 떠나 행복한 나를 되찾는 10단계 치유 솔루션
스테파니 몰턴 사키스 지음, 이선주 옮김 / 현대지성 / 2023년 11월
평점 :
가스라이팅에서 벗어나기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127/pimg_7460892194096950.jpg)
책을 선택한 이유
스릴러 가스등은 상대방의 기억을 고의적으로 왜곡시키며
상대방을 지배하려는 행동을 잘 표현한다.
가스라이팅은 타인의 심리를 조작하고, 사회적으로 고립시켜,
판단력을 잃게 하고, 통제하려는 행위다.
가스라이팅을 이용한 살인사건까지 발생할 정도로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가스라이팅에 당하지 않는 법을 알아보기 위해
"상처받은 관계에서 회복하고 있습니다"를 선택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127/pimg_7460892194096955.jpg)
"상처받은 관계에서 회복하고 있습니다" 는
1장 우리는 어쩌다 이렇게 되었을까?
- 유해한 관계와 유해한 사람을 어떻게 알아볼까?
2장 가능하면 연락을 끊자
- 어떻게 유해한 사람이 연락을 못 하게 할까? 연락을 끊을 수 없다면 어떻게 할까?
3장 마무리는 내 손으로 하자
- 왜 유해한 관계에서 벗어난 후에도 해답을 찾기가 어려울까? 어떻게 해답 없이 새로운 삶을 시작할까?
4장 자신을 용서하자
- 어떻게 분노와 자기 비난에서 벗어날까?
5장 경계선을 정하자
- 어떻게 나 자신을 먼저 챙기고 보호할까?
6장 전문가와 상담하자
- 어떻게 정신 건강 전문가를 찾아서 도움을 받을까?
7장 자신을 돌보자
- 어떻게 나의 욕구를 확실히 채우면서 일상생활을 잘 돌볼 수 있을까?
8장 인간관계를 회복하자
- 어떻게 정서적으로 건강한 사람들과 다시 관계를 맺을까?
9장 깊이 슬퍼하자
- 어떻게 상실감을 극복하고 회복할 수 있을까?
10장 자원봉사를 하자
- 어떻게 이타심을 통해 삶의 목적의식을 되찾을까?
11장 예방하자
- 어떻게 유해한 상황을 피하면서 건강한 관계를 맺기 위해 준비할까?
로 구성되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127/pimg_7460892194096951.jpg)
1장 우리는 어쩌다 이렇게 되었을까?
- 유해한 관계와 유해한 사람을 어떻게 알아볼까? 에서는
유해한 관계는 조종하거나, 가스라이팅하거나, 학대하는 관계다.
유해한 행동을 하는 사람은 나르시시스트 성향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나르시시스트는 말뿐인 인지적 공감을 표현하지만,
자기애성 성격장애라고 진단받을 정도로 심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화, 깍아내리기, 버리기 등 유해한 관계의 3단계,
옛 관계로 다시 끌어드리려는 후버링, 학대의 징후,
반응적 학대에 대해 알아본다.
가스라이팅은 심리적이고 정서적 학대의 일종이다.
가스라이팅은 천천히 스며들면서 강도가 더욱 심해진다.
낮은 자존감 문제, 정신적 외상 유대감,
사회적 압박감, 경제적 문제,
매몰 비용 효과, 인지 부조화 등
가스라이팅이 일어나는 이유를 살펴본다.
2장 가능하면 연락을 끊자
- 어떻게 유해한 사람이 연락을 못 하게 할까? 연락을 끊을 수 없다면 어떻게 할까? 에서는
삶에서 중요했던 누군가와 연락을 끊는 것은 가슴 아프지만,
유해한 사람과 연락을 끊어야 한다.
유해한 사람은 터무니없는 요구를 하고, 경계선을 시험하며,
자기애성 분노를 터뜨린 후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연락한다.
나르시시스트를 돕는 사람과도 연락을 끊기,
정서적 협박에 굴복하지 않기, 관심을 끊고 포기를 기다리기 등
유해한 사람과 연락을 막는 방법,
가사 전문 변호사 찾기, 공동 양육 문제 해결,
유해한 사람과 접촉을 줄이기, 갈등을 겪는 사람과 일하기 등
연락을 끊을 수 없는 상황에서 자신을 보호하는 법을 알아본다.
3장 마무리는 내 손으로 하자
- 왜 유해한 관계에서 벗어난 후에도 해답을 찾기가 어려울까? 어떻게 해답 없이 새로운 삶을 시작할까? 에서는
유해한 사람들은 자신의 문제를 보지 못하는 자아동질적 성격인 경우가 많다.
자신의 문제를 인정하지 않으므로, 자신의 행동에 책임지지 않는다.
상대방이 내 기대대로 행동하기를 바랄 수는 없다.
유해한 관계를 끝내지 않기를 바라는 사람도 있다.
유해한 관계는 스스로 마무리 해야 한다.
마무리에 집착하지 않고도 유해한 관계 마무리 의미를 찾기,
용서해야 한다는 압박감 버리기, 마무리 후 분노에 대처하기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한다.
4장 자신을 용서하자
- 어떻게 분노와 자기 비난에서 벗어날까? 에서는
유해한 관계나 상황에서 벗어난 후에는 자신에게 분노하기 쉽다.
스스로에게 연민을 느끼는 것이 회복의 첫 단계다.
분노 이면의 감정은 불안과 두려움이다.
유해한 사람은 죄책감과 수치심을 이용해 조종하려 한다.
스스로를 가스라이팅 하지 않기, 반려동물과 헤어지기,
외부 환경에 흔들리지 않는 단단한 내면 키우는 방법,
부정적 생각을 긍정적으로 바꾸기, 경험을 털어놓기,
자신을 의심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5장 경계선을 정하자
- 어떻게 나 자신을 먼저 챙기고 보호할까? 에서는
경계선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타인이 어느 정도까지
다가와도 괜찮은지 정해놓은 한계점이다.
정서적 경계선, 육체적 경계선, 성적 경계선, 시간 경계선,
정신적 경계선 등 경계선의 종류를 살펴보고,
경계선은 시간이 흐르면서 바뀔 수 있으며,
상대방을 경계선에 받아들일지를 결정해야 한다.
경계선을 지키는 행동, 애착 유형 과 경계선 의 관계,
불안정 애착 유형을 안정형 애착 유형으로 바꾸는 방법,
자신을 믿으며 바람직한 경계선 찾기,
연락을 끊을 수 없을 때 경계선 정하기,
유해한 공동 양육자와 경계선을 정하고 유지하는 방법,
직장, 가족이나 친구 들이 경계선을 침범할 때
대처하는 방법에 대해 말한다.
6장 전문가와 상담하자
- 어떻게 정신 건강 전문가를 찾아서 도움을 받을까? 에서는
심리 치료는 훈련된 전문가에게 생각과 감정을 털어놓으며
자신을 치유하는 과정이다.
좋은 심리 치료사는 당신이 겪는 어려움이 당신에게 특별히
중요한 문제이며, 어려움을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여긴다.
정신 건강 전문가 선택하기, 심리 치료의 종류, 심리 치료의 방향,
상담료 절약하기, 비밀 보장 의무, 심리 치료의 진행 과정,
아이를 위한 전문 심리 치료, 치료 중단을 결정하는 상황,
심리 치료사가 경계선을 침범할 경우 대처 방법을 살펴본다.
7장 자신을 돌보자
- 어떻게 나의 욕구를 확실히 채우면서 일상생활을 잘 돌볼 수 있을까? 에서는
유해한 관계를 벗어난 후, 자신을 돌보는 연습을 해야 한다.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건강의 의미를 알아본다.
즐거운 시간을 갖기, 잘 먹기, 청결한 상태 유지하기,
규칙적 운동하기, 일기 쓰기, 명상, 숙면, 전자기기 사용 줄이기,
SNS 사용 자제, 중독 행동을 이용해 중독에서 벗어나지 않기,
자기 돌봄 실천 등 자신을 돌보는 구체적 방법을 설명한다.
8장 인간관계를 회복하자
- 어떻게 정서적으로 건강한 사람들과 다시 관계를 맺을까? 에서는
유해한 관계나 상황을 겪을 때 다른 친구나 가족과 멀어질 수 있다.
유해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을 믿지 않고, 최대한 의존하도록 하면서
고립시킨다.
유해한 관계에서 벗어나 정서적으로 건강한 사람과 관계 회복하기,
직감에 귀를 기울이며 유해한 사람을 찾아내기,
문제가 많은 조직에 유혹당하지 않기,
좋은 집단을 찾기, 온라인 만남의 장단점 파악하기,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자신을 다시 소개하기,
사과할 일과 사과하지 말아야 할 일을 구분하기,
나 전달법으로 이야기 하기, 방어적 태도 버리기,
당신을 지지하는 사람들과 가깝게 지내기,
결과에 집착하지 말기를 이야기 한다.
9장 깊이 슬퍼하자
- 어떻게 상실감을 극복하고 회복할 수 있을까? 에서는
유해한 관계에서 벗어난 사람들은 안도감을 느끼지만
복잡 미묘한 슬픔도 따라온다.
쿠블러 로스의 슬픔의 5단계 는
충격과 부정, 타협, 분노, 우울, 수용 의 단계로
상실 후 겪는 감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한다.
복잡다단한 슬픔, 애매모호한 상실감,
감정을 표현하며 슬픔에 대처하기, 실직의 슬픔,
공동 양육에 대한 슬픔을 살펴보며,
슬픔을 극복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살펴본다.
10장 자원봉사를 하자
- 어떻게 이타심을 통해 삶의 목적의식을 되찾을까? 에서는
공감과 이타심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회복탄력성을 발휘하게 한다.
시간을 내어 자원봉사를 하면 건전하고 바쁘게 지낼 수 있다.
하루를 체계적으로 살면 불안과 우울감이 줄어든다.
유해한 사람은 상대를 과소평가해서 낮은 자존감 때문에 힘들게 한다.
자원봉사는 가치를 일깨워주고 세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삶의 목적을 되찾고 삶에 대한 의미를 찾도록 한다.
유해한 상황에서 벗어나도 곧장 자존감을 되찾지 못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고립적 상황에서 벗어나기, 새로운 관심거리를 찾기,
자원봉사 시작, 자원봉사 일정 짜기, 멘토 찾기,
대리 외상 예방하기, 정신적 외상의 공개시 유의할 점,
자원봉사 단체의 윤리성 확인하기에 대해 설명한다.
11장 예방하자
- 어떻게 유해한 상황을 피하면서 건강한 관계를 맺기 위해 준비할까? 에서는
유해한 관계는 상대를 이상화하고, 깍아내리고, 버린다.
단계별 유해한 관계를 알려주는 조짐들을 살펴본다.
자기연민, 바람직한 관계를 맺기 위한 바탕 만들기,
애착유형의 파악, 사람을 현재의 모습으로 보기,
원하는 행동 목록 만들기, 취약점을 보여줄 때를 알기,
상호의존적 행동 방식 버리기, 의견 차이를 극복하는 규칙 정하기,
정서적으로 건강한 사람들과 가깝게 지내기 등
유해한 관계로 돌아가거나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 갈 때,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상처받은 관계에서 회복하고 있습니다" 는
유해한 관계와 유해한 사람을 알아보는 방법,
유해한 사람과 관계 마무리 하기, 타인과의 경계선,
정신 건강 전문가 선택과 심리 치료 요령,
자신을 돌보는 연습하기, 인간 관계의 회복,
상실감의 극복, 자원봉사, 유해한 관계의 예방을 다룬다.
유해한 관계는 조종하거나, 가스라이팅하거나, 학대하는 관계다.
유해한 행동을 하는 사람은 나르시시스트 성향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가스라이팅은 심리적이고 정서적 학대의 일종이다.
유해한 사람은 터무니없는 요구를 하고, 경계선을 시험하며,
자기애성 분노를 터뜨린 후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연락한다.
유해한 관계는 상대를 이상화하고, 깍아내리고, 버린다.
삶에서 중요했던 누군가와 연락을 끊는 것은 가슴 아프지만,
유해한 사람과 연락을 끊어야 한다.
유해한 사람들은 자신의 문제를 인정하지 않으므로,
자신의 행동에 책임지지 않는다.
유해한 관계는 스스로 마무리 해야 한다.
유해한 관계나 상황에서 벗어난 후에는 자신에게 분노하기 쉽다.
스스로에게 연민을 느끼는 것이 회복의 첫 단계다.
경계선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타인이 어느 정도까지
다가와도 괜찮은지 정해놓은 한계점이다.
경계선은 시간이 흐르면서 바뀔 수 있으며,
상대방을 경계선에 받아들일지를 결정해야 한다.
심리 치료는 훈련된 전문가에게 생각과 감정을 털어놓으며
자신을 치유하는 과정이다.
유해한 관계를 벗어난 후, 자신을 돌보는 연습을 해야 한다.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건강의 의미를 알아본다.
유해한 관계나 상황을 겪을 때 다른 친구나 가족과 멀어질 수 있다.
유해한 관계에서 벗어난 사람들은 안도감을 느끼지만
복잡 미묘한 슬픔도 따라온다.
공감과 이타심은 스트레스 상황에서 회복탄력성을 발휘하게 한다.
자원봉사는 가치를 일깨워주고 세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삶의 목적을 되찾고 삶에 대한 의미를 찾도록 한다.
유해한 관계는 상대를 이상화하고, 깍아내리고, 버린다.
단계별 유해한 관계를 알려주는 조짐들을 살펴본다.
"상처받은 관계에서 회복하고 있습니다" 는
유해한 관계를 이해하고, 유해한 관계에서 벗어나며,
유해한 관계를 극복하고 예방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자신의 행동에 책임지지 않는 유해한 행동을 하는
사람의 심리상태와 행동의 특징을 이해하고,
유해한 사람에게서 벗어나는 방법을 이해하면서
스스로 유해한 관계를 마무리 짓도록 한다.
유해한 관계나 상황에서 벗어난 후 회복하기 위해서는
스스로에게 연민을 느끼며, 자신을 돌보기 위해
심리 치료를 선택하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관리하며,
소원해진 인간관계를 회복하고, 슬픔을 극복하며,
자원봉사를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는 방법을 안내한다.
가스라이팅 등 유해한 행동은 다른 사람을 심리적으로 학대하면서
행동을 지배하려는 무서운 행동이다.
유해한 행동에 대해 정확히 알아야, 유해한 행동에 대처하고,
유해한 행동을 마무리 할 수 있다.
"상처받은 관계에서 회복하고 있습니다"는
유해한 행동의 다양한 사례를 소개하면서,
유해한 행동의 원인을 심리학적으로 분석하고,
유해한 행동에서 벗어나기 위한 구체적 행동을 제시한다.
유해한 행동은 사람의 생명까지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커질 수 있다.
유해한 행동을 이해하면 유해한 행동에 빠지지 않도록 대처하거나,
자신도 모르게 유해한 행동의 가해자가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유해한 행동을 이해하는 것은 유해한 행동의 위험을 벗어나는
지혜롭고 현명한 행동이다.
유해한 행동을 마무리 지은 후에 자신을 위로하고
후유증을 이겨내며, 유해한 행동에 빠지지 않도록 돕는
상세한 어드바이스는 힘든 상황을 이겨내는데 도움이 된다.
"상처받은 관계에서 회복하고 있습니다"를 통해
유해한 행동의 위험성을 이해하고 벗어나는 지혜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현대지성 과 컬처블룸 서평단에서
"상처받은 관계에서 회복하고 있습니다"를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현대지성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상처받은관계에서회복하고있습니다 #스테파니몰턴사키스
#이선주 #심리
#나르시시스트 #가스라이팅 #마음챙김 #상처
#자기돌봄 #마음챙김 #인간관계 #심리상담
#애착유형 #가정폭력 #직장내괴롭힘 #자기애
#자기애성성격장애 #경계선성격장애 #심리치료
#공동육아 #이혼 #애도 #퀴블러로스 #슬픔
#상실 #회복 #나르시시즘 #불안형애착유형
#바운더리 #인에이블링 #후버링 #자존감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1127/pimg_746089219409695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