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명리학에서 길을 찾다
신규영 지음 / 두드림미디어 / 2023년 9월
평점 :
미래를 예측하는 조상의 지혜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918/pimg_7460892194021581.jpg)
책을 선택한 이유
공자는 주역을 즐겨 읽었다.
책을 묶은 가죽끈이 세 번이나 끊어져 위편삼절 이라는 고사가 유래된다.
주역은 세상이 변화하는 원리를 설명하면서
미래를 예측하는 점의 원리를 담았다.
동양의 전통적 미래예측학을 알아보기 위해
"명리학에서 길을 찾다"를 선택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918/pimg_7460892194021582.jpg)
"명리학에서 길을 찾다"는
1부 긍정명리학 강의
2부 명리학 칼럼
3부 저자의 명리학 박사 논문 주요 내용
으로 구성되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918/pimg_7460892194021583.jpg)
1부 긍정명리학 강의 에서는
천의 학문은 명리학, 지의 학문은 풍수지리,
인의 학문은 한의학이다.
십만양병설을 주장한 율곡 이이는 명리학의 대가다.
명리학은 인생의 운이 좋을 때 용기를 내도록 하고,
운이 안 좋을 때 점검을 하도록 한다.
사주팔자는 태어난 연월일시에서 태어난 지점과
태양과의 상관관계를 표현한다.
사주는 천간의 4주, 지지의 8자로 구성된다.
천간은 연주, 월주, 일주, 시주이며,
지지는 땅의 기운으로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로 나누어 진다.
4계절은 오행으로 나뉘며, 모든 만물은 음양이 있다.
오행에 따라 천간과 지지를 분류해 본다.
사주팔자의 천간은 조상, 부모 형제, 본인, 자식 이나
나이에 따른 기운을,
월지는 직업, 습관, 일지는 배우자를 표현한다.
오행의 생극제화는 비겁성, 식상성, 재성, 관성, 인성을 의미한다.
음양으로 나누어 십신이라 한다.
십신은 일간을 기준으로 타간 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편재, 정재, 식신, 상관, 편관, 정관, 편인, 정인, 비견, 겁재는
사주 분석의 기초가 된다.
지장간은 지지 속에 감추어져 있는 천간이다.
보이는 모습 속에는 감추어진 저마다의 사연이 있다.
현재의 모습은 용이며, 과거의 모습은 체다.
현재는 과거의 결과이므로, 과거의 모습을 안다면
현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사주는 체, 대운은 용의 관계다.
일간으로 선천적 성향을 분석해 본다.
동적인 무관 특성, 정적인 학자 특성,
현실적인 실리 특성 등
오행의 기질적 특성으로 알아보고,
체, 용 개념을 통해 목, 화, 토, 금, 수의
복합 성향을 알아본다.
천간의 겉보기 운동은 극과 생을 하는 것처럼 보이나,
속으로는 양간은 극하는 음간과 합하고,
음간은 생하는 양간으로 화하면서 흐른다.
천간 흐름의 메커니즘으로 남성에게
자녀가 인성이 아닌 관성임을 설명한다.
격은 사주에서 가장 강한 세력으로 대표적 특성이며,
사주 분석 및 분류의 기준으로 사용된다.
격의 개념과 역할, 통근에 따른 격의 분류,
용신, 희신, 기신, 한신, 약신, 신강신약에 대해 설명한다.
통변은 사주를 통해 인생의 큰 흐름을 읽으며,
제한된 시기별 운을 예측하면서,
인생을 지혜롭고 현명하게 살 수 있도록 돕는다.
사주팔자의 통변을 위한 자세를 생각해 본다.
2부 명리학 칼럼 에서는
명리학은 선조들의 미래예측 지혜를 모은 민족학이다.
명리는 자연의 이치를 통해 하늘이 정해놓은
개인의 운명과 성품의 이치를 연구하는 미래예측학이다.
계절의 순환은 인위적으로 바꿀 수 없다.
겨울을 빨리 끝내거나 여름으로 바꿀 수 없지만
노력을 통해 덜 춥게 지낼 수 있다.
행운의 시기임을 아는 징조, 운의 반복 패턴,
행운의 시기를 대하는 태도, 용신에 맞는 컬러 선택,
기운이 좋을 때 내려갈 준비를 하고,
기운이 안 좋을 때 올라갈 준비를 하기,
입춘과 띠의 관계, 삼합을 이용한 팀 구성,
음양설의 기원과 발전, 오행설의 기본원리,
채워 있던 것이 비워지거나,
비워진 자리에 다시 채워진다는 충의 의미,
변화의 움직임은 있으나 완전한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면서, 부자연스러운 상태인 형의 의미,
일간을 기준으로 한 선천적 개인 성향 분석,
희기의 시기를 알기 위해서 희신과 기신,
격과 용신을 판단하기,
출생 시간이 부정확한 이유,
천간의 홀수 번에 있는 양간과 짝수 번에 있는 음간이
극제의 관계에 있는 천간과 합을 하게 되는 간합,
다른 오행을 가진 2개의 천간이 상합을 통해
하나의 오행으로 변하는 합화,
간합의 성립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3부 저자의 명리학 박사 논문 주요 내용 에서는
궁합은 남녀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보아
배우자로서의 길흉을 헤아린다.
기의 분포가 좋은 때는 행운의 시기고
불균형이 심화된 때는 힘든 시기다.
현실은 대운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사주의 오행보다, 상대를 희하는 오행으로
운에서 협조받는 것이 중요하다.
명리상 서로 미워지면서 싫어지게 되는 시기를
실제 이혼 사례를 통해 검증해 보면서,
세운과 이혼의 관계를 살펴본다.
소재학 교수의 석하명리는 기존 고전명리와 다르게
음양오행설의 성립 과정과 원리를 논리적으로 밝힌다.
음양의 기본 원칙과 개념, 오행과 오물의 관계,
오행, 중앙, 매개체로 구분되는 토의 역할,
충과 극, 사주팔자와 태양력의 관계 등
석하명리의 주요 특징을 소개한다.
"명리학에서 길을 찾다"는
명리학 기초 개념을 설명하고, 명리학 주요 이슈,
궁합으로 본 이혼의 시기, 석하명리의 주요 개념을 소개한다.
명리학은 하늘의 이치를 다루는 학문이다.
인생의 운이 좋을 때 용기를 내도록 하고,
운이 안 좋을 때 인생을 점검 하도록 안내한다.
사주팔자는 태어난 연월일시에서 태어난 지점과
태양과의 상관관계를 표현한다.
천간의 4주, 지지의 8자로 구성되는 사주팔자,
오행의 생극제화 비겁성, 식상성, 재성, 관성, 인성,
편재, 정재, 식신, 상관, 편관, 정관, 편인, 정인, 비견, 겁재의 십신,
지지 속에 감추어져 있는 천간 지장간,
일간으로 본 선천적 성향, 오행의 기질적 특성,
천간의 겉보기 운동과 속보기 운동,
격의 개념과 역할, 통변의 자세를 설명한다.
명리학은 개인의 운명과 성품의 이치를 연구하는 미래예측학이다.
계절의 순환은 인위적으로 바꿀 수 없지만
노력을 통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기운이 좋을 때 내려갈 준비를 하고,
기운이 안 좋을 때 올라갈 준비를 해야 한다.
입춘과 띠의 관계, 삼합을 이용한 팀 구성,
충과 형의 의미, 희신과 기신, 격과 용신,
간합과 합화의 원리를 알아본다.
궁합은 남녀의 사주를 오행으로 맞추어 보아
배우자로서의 길흉을 헤아린다.
실제 이혼 사례와 명리상 서로 미워지면서
싫어지게 되는 시기를 검증해 보면서,
세운과 이혼의 관계를 살펴보고,
석하명리와 기존 명리학의 차이를 비교하면서
석하명리의 주요 특징을 소개한다.
현대의 첨단 과학기술도 일주일 후의 날씨를 맞추지 못한다.
주식이나 환율 시장도 내일의 가격을 예측하지 못한다.
명리학은 철학에 근거에 세상의 이치를 밝히고
운명과 인생을 판단하는 미래예측 수단이다.
명리학이 쪽집게 처럼 미래를 예측하지는 못하더라도,
높은 적중룰을 보이면서, 오랜 기간 내려온 것이다.
명리학에 대한 무조건적 맹신은 잘못된 것이지만
미신이라고 무조건 부정하는 것 또한 현명한 행동은 아니다.
미래는 불확실하다.
첨단 과학도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명리학은 자연의 원리와 음양오행을 통해서,
불확실한 미래를 전망하면서,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마음가짐을 갖도록 한다.
자연의 이치에 근거한 명리학의 원리는
인생을 살아가는 이치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므로,
공자는 주역을 읽었을 것이다.
명리학의 기본 개념과 한계를 이해하면서,
미래예측을 통해 삶의 방향을 정하는 수단으로 이용한다면
명리학 삶에 유용한 수단이 될 것이다.
"명리학에서 길을 찾다"는
어려운 명리학을 쉽고 간명하게 설명하면서
명리학을 일상에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알려준다.
"명리학에서 길을 찾다"를 통해
미래를 예측하기 위한 조상들의 지혜를 살펴보면서,
미래예측학으로서 명리학의 유용성을 이해하게 된다.
두드림미디어 와 컬처블룸 서평단에서
"명리학에서 길을 찾다"를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두드림미디어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신규영 #명리학에서길을찾다 #미래예측학 #긍정명리학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918/pimg_746089219402159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