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티-재팬 - 탈식민 동아시아의 감정의 정치학
리오 T. S. 칭 지음, 유정완 옮김 / 소명출판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일 감정의 근원과 해법





책을 선택한 이유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일본 제국은 사라졌지만


동아시아 국가들은 일본은 일본 제국처럼 생각하고 있다.



정권 유지 수단으로 반일 감정을 조장하면서,


동아시아 국가들은 정상적 관계 개선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 분쟁의 위험성은 증가하고 있다.



일본의 식민지였던 한국과 대만은 일본에 대한 감정이 다르다.


한국은 반일주의가 강하지만, 대만은 일본에 우호적이다.



반일주의의 근원과 건강한 미래관계 해법을 알아보기 위해


"안티-재팬"을 선택한다.





"안티-재팬"은



1장 브루스 리가 고지라를 만날 때


2장 일본귀신


3장 수치스런 육체, 육체의 수치


4장 식민시대의 향수 또는 탈식민시대의 불안


5장 시랑의 이름으로


6장 다른 방식의 화해



로 구성되었다.






1장 브루스 리가 고지라를 만날 때 에서는



반일감정은 동아시아에서 새롭게 생긴 것도 아니며,


동아시아에만 생겨난 것도 아니다.



반일감정은 부분적 진실에 근거해 과장되어 있으며,


사회적이고, 카타르시스를 주며 개인의 욕망을 자극한다.



반일감정은 동아시아의 실패한 탈식민화를 특정짓는


욕망과 판타지의 두 축을 구성한다.



일본 제국이 패망 후 미국 패권이 강화되면서


과거 일본식민지들의 권위주의 통치와 결합하고,


전후 일본이 경제적으로 부상하면서,



일본 제국의 이슈들은 냉전 이후에 논쟁거리가 된다.




2장 일본귀신 에서는



중국 대중문화에 나타나는 일본귀신이라는 형용구에 담긴


중국의 역사적 국면의 영향을 살펴본다.



일본귀신 이라는 혐오 표현은 제국주의적 폭력의


불가피한 트라우마에서 발생하지만,


화해의 정치학을 확립하는데 실패한다.



중국의 반일감정은 일본에 대한 것이 아니라


중국이 일본과 맺어온 불균형적 권력관계를 통해


매개되는 중국의 이미지라고 말한다.




3장 수치스런 육체, 육체의 수치 에서는



위안부 문제의 수치 정서의 극복은


민족주의 담론의 한에 대한 문화주의적 정서와 달리,


화해의 정치학을 향해서 나아갈 수 있는 잠재력도 가진다.



쇼와 천황 죽음과 위안부들의 쇠락해가는 육체가


차별적인 가치를 가지고 평가된다고 말한다.




4장 식민시대의 향수 또는 탈식민시대의 불안 에서는



타이완은 일본 식민주의에 대한 향수와 친밀감이 있다.



개인적 역사적 측면에서 상실감을 만회하고자 하는 욕망은


일본에 대한 우호적이고 강렬한 느낌을 가져온다.



식민주의 종언 이후 주변화된 존재에 대한 탄원이 낳은


친일정서를 이야기 한다.




5장 시랑의 이름으로 에서는



고지라, 교사형, 묵공, 낮은 목소리3 등 작품에 담긴


사랑의 의미를 생각해보고, 정치적 개념으로서의


사랑의 가능성을 이야기 한다.



민족주의 정서를 극복해야 하며, 반전, 반군사주의,


모든 민족들이 겪은 고통의 존중의 열망이 창출되어야 한다.




6장 다른 방식의 화해 에서는



중국이 부상은 전후-냉전 체계에 심각하게 도전하고 있으며,


역사 문제를 건드리려는 욕망, 민족주의 정서, 쇼비니즘적 부정성 등은


국가의 정치적 목적을 목적을 위해 이용되고 있다.



타이완 문제는 동아시아 학자들의 토론에서 배제되고 있다.


벤션그렌 세대의 일본에 대한 친밀감의 근원,



화해의 자유주의 담론과 구원의 민족주의 담론은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 동일 과정의 징후이며,



반일과 친일의 극복은 국가의 조건부 협상에 기댈 수 없다고 말한다.




"안티-재팬" 은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한국, 중국, 대만이 갖는


반일감정의 근원을 살펴보고, 화해의 정치학을 확립하는 방법을 생각해본다.



정무문, 고지라 등 영화, 문학, 대중 문화 등을 통해


반일감정의 근원적 발생 원인을 이해한다.



반일주의는 식민지 시절 일본 제국에 대한 부정적 감정만이 아니다.



탈식민지화와 화해를 위한 노력의 실패, 냉전과 지속적인 미군 주둔 등


동아시아 지역의 지정학적, 경제적 여건 변화 등에서 비롯된 것이다.



대만의 친일 정서는 일본 제국이 멸망한 후 잃어버린 것을 되찾으려는


대만인들의 열망을 드러낸 것이다.



반일주의는 일본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아니라, 상상적 관계로 변질되면서,


동아시아 각국이 권력 유지를 위해 이용하고 있다고 진단한다.



일본 제국이 패망한지 80 여년이 지나면서,


일본 제국에서 살았던 세대는 대부분 존재하지 않지만,


반일주의는 전혀 수그러들지 않는다.



반일주의가 정권 유지 수단으로 유용하게 이용되는 한


국가는 반일주의를 버리지 않을 것이다.



동아시아 국가들이 반일주의로 분열되고 갈라지면서,


동아시아에 위기를 고조시키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지만


각국 권력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 긴장을 고조시킨다.



"안티-재팬" 은 국가 기반 외교가 아니라 민간 차원의 치유를 통해


반일감정을 해결해야 하는 이유를 이야기 하고,


일본의 책임있는 자세를 통해 반일주의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진단한다.




중국의 부상으로 전후-냉전 체계는 심각하게 도전받고 있다.


한국이 해묵은 반일감정에 매몰되면 국가의 존립은 위태롭다.



일본 제국과 일본의 차이를 바로 알고,


반일감정의 근원이 된 열등감과 불안감을 떨쳐내면서


일본과의 바른 관계를 정립해야 할 때다.



"안티-재팬"을 통해 반일감정의 심리를 바로 알게 되면서,


한국의 미래를 위해 반일주의를 떨쳐내야 함을 깨닫게 된다.



소명출판 과 리뷰어클럽 서평단에서 "안티-재팬"을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YES24 리뷰어클럽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리오TS칭 #안티재팬 #유정완


#리뷰어클럽 #반일주의 #반일감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