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밥상 - 우리의 밥상은 어떻게 만들어져 왔을까
김상보 지음 / 가람기획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 음식 문화를 살펴보자





책을 선택한 이유




음식은 민족의 고유 문화를 잘 표현한다.



조선의 음식 문화를 통해 한 민족의 음식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조선의 밥상"을 선택한다.





"조선의 밥상" 은



제1부 음식문화


제2부 찬품 각론



로 구성된다.




제1부 음식문화 에서는



통일신라와 고려는 당송의 음식의 영향을 받는다.



불교사상에 힘입어 당송의 음식은 채소와 곡류 중심의


소선 음식이 극도로 발달한다.



원나라의 침입은 육식의 부활을 가져왔으며,


조선의 유교식 제례문화는 육류 조리법을 발전시킨다.



궁중, 관청, 양반가, 중인 사회의 조리 문화,


계급 구조에 따라 찬을 달리한 밥상차림,


조선 후기에 사치스러워진 음식 문화,


시대별 조선왕조 임금의 수라상차림,



음양오행사상이 밥상차림에 미친 영향,


게절의 변화와 시식의 관계,


고려 향약구급방에서 시작된 약선 요리 문화,



조선왕조의 궁중음식 변천사,


조선 상층부 1일 7식의 사치스러운 음식 문화,


명나라 사신에게 제공한 소선 조반상,



최상층부의 술안주, 조선의 주법,


오찬을 점심이라 부르게 된 유래,



조선의 혼례음식문화,


처가살이혼에서 시집살이혼으로의 변화,


임란 이후 반친영혼의 혼례식 풍경,


현구고례 폐백 모습,




기신제는 새로운 신의 탄생일을 축하한다.


제례의 변화 과정,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


불교가 역대 왕조의 제사 음식 문화에 미친 영향,



임란 후 장시의 발전과 탕반 문화의 번성,


다양한 기록에서 보여지는 조선의 외식 문화,


구한말 술집문화, 요릿집 음식으로 대중화된 궁중음식,


풍속의 끈질긴 생명력을 보여주는 화전놀이를 말한다.





제2부 찬품 각론 에서는



조선시대 필수식품은 쌀, 소금, 건어물, 젓갈, 콩, 장 이었으며,


건어물, 젓갈은 사치스러운 식품이다.



명나라 황제에게 보낸 식품 선물 목록,


음식을 고명으로 장식하는 교태,


원의 고려 지배가 음식 문화에 미친 영향,



다양한 밥 짓기, 죽, 국수, 상화와 만두,


탕류, 전철과 전골이 불고기에 미친 영향,



연회상에서 즉석에서 끓여 먹는 승기아탕,


신선로 문화의 유래, 면신설로,



잊혀진 요리 잡탕, 궁중식 용봉탕,


관노, 백정 들의 음식 추어탕, 병갱과 떡국,


왕부터 서민까지 애용한 개고기 찜,



숙종이 즐긴 생선묵, 궁중의 소고기 구이 설화멱,


어음적과 화양적, 궁중의 병자에서 유래된 빈대떡,



죽상과 밥상에 올라가는 젓갈 반찬,


고초장, 겨자장과 함께 즐긴 생선회,


생선 숙회, 육회, 갑회 문화,



포와 절육, 다식판을 이용한 하설다식과 황육다식,


나물 찬품의 발달, 잡채와 밀쌈에서 생겨난 구절판,


콩나물과 숙주나물, 청포채에서 유래된 탕평채,



천초로 만든 초시에서 유래된 고추장,


김치류와 장아찌



유밀과와 약과, 당속류, 떡, 화전을 설명한다.



고려의 융성한 차 문화는 조선이 불교를 배척하면서


음다문화가 쇠퇴하면서 열악해 진다.



가양주문화, 조선 민중의 과일 참외,


농경의례와 관련된 세시식을 소개한다.



"조선의 밥상" 은


조선의 음식문화와 음식에 대해 다룬다.




불교의 영향으로 통일신라와 고려의 음식 문화는


채소와 곡류 중심의 소선 음식이 발달한다.



원나라의 침입은 육식의 부활을 가져왔으며,


조선의 유교식 제례문화는 육류 조리법을 발전시켰지만



명나라 사신에게 대접한 소선 조반상은


탕, 찜, 조림, 구이 등 다양한 조리법으로


육류를 배제한 조리법을 보여준다.



유교가 지배한 조선 시대에도 과거 전통을 고수한


화전놀이 풍습 등은


쉽게 변하지 않는 문화의 지속성을 잘 보여준다.



조선 후기로 진행되며 음식문화는 사치스러워진다.



임금의 수라상차림, 궁중음식의 시대별 변천,


사치스러운 상류층의 음식문화,



사회 계급에 따라 달라지는 요리 문화,


계급에 따른 밥상차림의 변화,



고려 시대부터 이어온 약선 요리 문화의 전통,


음양오행, 계절 변화가 밥상에 미치는 영향,



조선의 음주 문화와 술안주, 혼례와 폐백,


제사 음식 문화, 장시의 발전과 탕반 문화,


조선의 외식 문화, 화전놀이 풍습,


구한말 술집문화의 변화 등을 소개한다.




"조선의 밥상" 은


궁중음식이 요릿집 음식으로 대중화되면서,


전통 궁중 요리법을 시대에 맞게 변형한 것을


전통 궁중 요리 조리법으로 알려졌음을 지적한다.



조선 시대의 화려한 생선회, 어채 문화,


버터 제조 업자 수유치 등


잘 알려지지 않은 조선의 다양한 식문화는 흥미롭다.



전철 형태의 변화가 불고기와 전골에 미친 영향,


조선왕조에서 용봉탕에 잉어를 넣지 않은 이유,


빈대떡의 어원이 궁중요리 병자라는 주장 등은 재미있다.




"조선의 밥상" 은 한국의 다양한 음식을 소개하고,


음식의 역사와 변천 과정, 문화적 의미 등을



다양한 역사적 문헌과 함께 소개하면서,


음식에 대한 구체적 조리법을 알린다.



음식도 흥망성쇠가 있다.



궁중 연회에 빠지지 않고 즐겨먹던 잡탕은


민간의 동짓달 시식으로 전파되었지만


현재는 흔적도 없다.




음식 문화는 변한다.



조선의 잘못된 정책은 화려했던 고려의 음다문화를 망친다.



최근 카페의 유행은 억눌렸던 차 문화의 부활이지만,


사라진 한 민족 고유의 차 문화는 돌아오지 못한다.



전통 조리법을 보전하고 유지하는 것은


한 민족의 문화를 유지하기 위한 소중한 행동이다.



시대가 변하면서 음식도 변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고유의 식문화를 소중히 여기고 아끼지 못하면


소중한 문화적 자산을 잃는 것이다.



"조선의 밥상" 을 통해 한국 고유의 음식 문화를 이해하면서,


시대의 변화에 따른 음식의 변화와 발전 과정을 알게 된다.



우리의 소중한 전통 음식을 현대적 감각으로 되살리는 것은


세계화 시대에 한국이 살아남는 방법임을 깨닫게 된다.



가람기획과 북유럽 서평단에서 "조선의 밥상"을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가람기획 #북유럽 #조선의밥상 #음식문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