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전 앤 드래곤 아트북
마이클 윗워 외 지음, 권은현 외 옮김 / 아르누보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던전 앤 드래곤의 역사를 찾아서





책을 선택한 이유



던전 앤 드래곤은 판타지 세계를 무대로 만들어진


RPG 게임의 원조이며, 협력을 통해 게임을 운영하는


TRPG 게임이라는 장르의 개척자다.



게임의 역사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 던전 앤 드래곤의


역사를 알아보기 위해 "던전 앤 드래곤 아트북"을 선택한다.





"던전 앤 드래곤 아트북" 은



1장 마법 탐지Detect Magic (오리지널 초판본)


2장 불꽃놀이Pyrotechnics (1판)


3장 폭발의 룬Explosive Runes (1983년의 붕괴)


4장 자기 변신Polymorph Self (2판)


5장 빅비의 가로막는 손


Bigby's Interposing Hand (TSR의 추락)


6장 환생Reincarnation (3판)


7장 복제품Simulacrum (3.5버전과 DDM)


8장 미로Maze (4판)


9장 소원Wish (5판)



으로 구성되었다.






1장 마법 탐지Detect Magic (오리지널 초판본) 에서는



나뭇결 무늬 상자 속 손바닥만한 크기의


세 권의 부클릿은 판타지 모험 게임을 즐기는 법을


세상에 알려준다.



종이, 연필, 미니어처 피규어로 플레이 가능한 게임은


던전 앤 드래곤 의 비주얼 역사를 시작한다.



미니어처 워 게임은 미국에서 취미 활동으로 발전한다.



페렌과 개리 가이객스는 잭 코긴스의 작품을 묘사하며,


체인메일 롤북을 만들면서 던전 앤 드래곤이 만들어진다.



데이브 아네슨은 더 그레이트킹덤에서


새 전쟁 게임의 배경이 되는 상상의 세계를 개발한다.



가이객스와 아네슨은 아이디어를 발전시키면서


던전 앤 드래곤을 구상하기 시작한다.



가이돈 게임즈는 자금이 부족하지만


가이객스는 던전 앤 드래곤 게임을 제작하려 한다.



TSR이 설립되고, 그렉 벨 은 TSR의 첫번째 전속 아티스트가 된다.



돈 케이가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자


가이객스는 TSR 사장직을 맡게 된다.



데이비드 서덜랜드 는 TSR의 아트를 새로운 경지로 끌어올린다.



전문지 드래곤 은 다양한 인재가 모이는 창의적 공간이다.


팬 동호회에게는 일종의 고향과 같은 존재다.



던전 앤 드래곤 은 TSR과 끊을 수 없는 운명이 된다.




2장 불꽃놀이Pyrotechnics (1판) 에서는




던전 앤 드래곤 은 인기를 얻지만 입문하기는 쉽지 않다.


플레이어 핸드북이 발매되고,토너먼트 시나리오가 만들어 진다.



던전 앤 드래곤 플레이어가 가출하자


언론은 던전 앤 드래곤 이 사이비 종교라는


사실무근의 선정적 보도를 한다.



던전 앤 드래곤 에 대한 언론의 비판은 TSR에 수익을 가져온다.



1980년대 초 컴퓨터 게임이 세계를 휩쓸자


TSR은 디지털 혁명을 받아들일지 갈림길에 선다.



던전 앤 드래곤 이 주류에 편입되자


던전 앤 드래곤 을 비난하는 세력이 등장한다.



가이객스는 던전 앤 드래곤 을 영화로 만들기에 도전한다.





3장 폭발의 룬Explosive Runes (1983년의 붕괴) 에서는



던전 앤 드래곤 번역본을 해외에서 발간하며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누린다.



TSR은 방만하게 성장하면서 수익성을 놓친다.



어린이들의 놀이를 위한 라이선스,


애니메이션 시리즈, 드래곤랜스 소설 등을 시도한다.



매출은 증가하지만 적자 폭이 커진다.


적대적 인수합병으로 가이객스가 물러나게 된다.



고전 명작 게임이 된 풀 오브 레디언스에 대해 말한다.





4장 자기 변신Polymorph Self (2판) 에서는



가이객스가 TSR에서 떠나자


TSR 디자이너는 팬들에게 눈을 돌린다.



오컬트 요소를 줄이고 건전한 하이 판타지를 지향한다.



다크 선은 야만스럽고 황폐한 사막의 땅 아타스에서


생존을 위한 싸움으로 성공한다.



던전 앤 드래곤 의 요람 젠콘,


판타지 RPG 에서 TSR의 위상을 이야기 한다.





5장 빅비의 가로막는 손


Bigby's Interposing Hand (TSR의 추락) 에서는



탄생 20주년을 맞아 AD&D 2판 핵심 롤 북 개정판을 발표한다.



TSR은 신규 플레이어를 유치하기 위해 패키지를 바꾸고


스타터 세트로 제목을 변경한다.



던전 앤 드래곤 의 다양한 캠페인은 정체성의 혼란을 가져온다.


TSR이 스스로 무너진 이유는 시장이 크지 않기 때문이다.



1997년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 는 던전 앤 드래곤 을


살리기 위해 TSR 을 인수한다.




위저즈는 던전 앤 드래곤 을 알리기 위해 10개 도시 투어를 한다.


위저즈는 미래로 나가기에 앞서 과거의 자산을 재발굴 한다.





6장 환생Reincarnation (3판) 에서는



위저즈는 TSR이 재정 문제로 개정하지 못했던


던전 앤 드래곤 3판을 출시한다.



기념비적인 위저즈의 던전 앤 드래곤 새로운 버전은


시장에서 통합된 단일 게임으로 산뜻하게 출발한다.



위저즈는 종이와 연필 보다는 디지털 도구를 선호하는


게이머 세대들에게 제품을 맞추겠다는 의지를 표현한다.



위저즈 가 던전 앤 드래곤 3판의 오픈 소스 라이선스


전략을 세우자 TSR 직원들은 동요한다.



골드러시가 일어나면서 위저즈 는 매력적인 인수 대상이 된다.


해저브로는 위저즈를 인수하면서 던전 앤 드래곤 은


글로벌 모기업이 생긴다.



영화로 각색해 주류문화에 편입하려는 시도는 참패하지만


던전 앤 드래곤 은 주류 미디어로 부상한다.



던전 앤 드래곤 컴퓨터 게임이 테이블 게임 판매량을 능가한다.




7장 복제품Simulacrum (3.5버전과 DDM) 에서는



포켓몬 의 추락 이후, 위저즈는 던전 앤 드래곤 을


수집용 미니어처 게임으로 복제한다.



위저즈 는 공모전을 실시하며, 젊은 팬층을 확보한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성공은 엔터테인먼트 산업


전체에 큰 충격을 준다.



위저즈는 창작 환경과 산업 전체도 변하고 있음을 깨닫는다.


디지털 시대에 맞게 던전 앤 드래곤 을 탈바꿈 시킨다.




8장 미로Maze (4판) 에서는



던전 앤 드래곤 4판은 던전 앤 드래곤의 핵심까지


과감하게 탈바꿈한다.



던전 앤 드래곤 은 MMO 팬들에게 익숙한 게임


시스템으로 재탄생한다.



위저즈는 경험이 전무한 기술 분야에서 남들이


만든 걸 다시 만들어야 하는 힘든 과제에 직면한다.



디지털 전략이 고전하면서 신규 플레이어를 끌어오는


일이 더 중요해 진다.



위저즈는 던전 앤 드래곤 팬이 모인 곳에


디자인 프로세서를 가져가서



모험을 플레이 테스트하고, 피드백을 모으며,


버그를 발견하고, 커뮤니티가 새로운 게임 방식에


적응할 준비를 갖추게 한다.




9장 소원Wish (5판) 에서는



던전 앤 드래곤 5판은 다른 양식과 경쟁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존재 이유를 설득해야 한다.



규칙을 간소화 시키고, 상황의 수를 단순화시키며,


신선한 자신감을 내뿜으며 자립하려 한다.



던전 앤 드래곤 은 상호작용하는 롤플레잉 게임이라는


설계 의도를 자유롭게 달성하게 되면서 플레이어를 모은다.



위저즈는 플레이어들의 창의성을 활용하고


현대 플레이어들에게 게임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며


풍부한 세계관과 신화를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영감을 주며,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세계의 융합을 통한 최상의 플레이로


구시대의 장벽과 개념을 무너뜨린다.





"던전 앤 드래곤 아트북" 은


마법 탐지(오리지널 초판본) 부터


불꽃놀이(1판), 폭발의 룬, 자기 변신(2판),


환생(3판), 미로(4판), 소원(5판)까지


던전 앤 드래곤의 역사와 그림을 소개한다.




미니어처 워 게임 동호회의 체인메일 롤북에서


던전 앤 드래곤 의 역사가 시작된다.



판타지 모험 게임을 세상에 알리면서,


전쟁 게임의 배경이 되는 상상의 세계를 만들어 낸다.



던전 앤 드래곤 은 언론의 선정적 보도에 시달리며,


던전 앤 드래곤 을 비난하는 세력이 등장한다.




컴퓨터 게임이 세계를 휩쓸자 던전 앤 드래곤은


디지털 혁명을 받아들일지 갈림길에 선다.



TSR이 추진한 던전 앤 드래곤 의 영화화,


해외 발간, 라이선스 확장 정책의 실패,



위저즈 오브 더 코스트 가 TSR 을 인수하면서


던전 앤 드래곤 에 가져오는 변화,



해저브로는 위저즈를 인수하고


위저즈는 창작 환경과 산업 전체도 변하고 있음을 깨닫고,


디지털 시대에 맞게 던전 앤 드래곤 을 탈바꿈 시킨다.




던전 앤 드래곤 은 MMO 팬들에게 익숙한 게임


시스템으로 재탄생하면서,



디지털 전략에 고전하고 신규 플레이어를 끌어오려 노력한다.




위저즈는 플레이어들의 창의성을 활용하고


현대 플레이어들에게 게임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며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세계의 융합을 통해 최상의 플레이를 가져온다.





"던전 앤 드래곤 아트북" 은


던전 앤 드래곤의 역사를 살펴보면서,


시대별 특징과 변화 과정 캐릭터의 생성과


디자인의 뒷 이야기 등을 소개하고,



다양한 포스터 와 삽화를 통해


던전 앤 드래곤 을 제대로 이해하도록 한다.



미니어처 워 게임 에서 세계적 게임 브랜드로 성장한


던전 앤 드래곤 은 게임의 역사를 이해하고


게임의 개발과 변화 과정을 살펴보면서


게임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던전 앤 드래곤 아트북" 을 툥해


판타지 세계의 모험을 기반으로 한 던전 앤 드래곤의


작품 세계를 이해하면서, 판타지 게임에 대해 이해하게 되고


다양한 캐릭터들과 함께 상상의 나래를 펼치게 된다.




아르누보 와 컬처블룸 서평단에서


"던전 앤 드래곤 아트북"를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아르누보 #던전앤드래곤아트북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마이클윗워 #카일뉴먼 #존피터슨 #샘윗워 #RPG #TRPG


#권은현 #강세중 #예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