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 감정적인 사람입니다 - 이성을 넘어 다시 만나는 감정 회복의 인문학 ㅣ 서가명강 시리즈 30
신종호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6월
평점 :
감정에 대해 이해하기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620/pimg_7460892193900222.jpg)
책을 선택한 이유
감정은 인간적이지만 위험하다.
감정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심각한 결과를 가져온다.
유튜브로 생중계되면서 큰 충격을 준
BJ임블리 자살 사건은 감정의 위험성을 잘 알려준다.
감정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저, 감정적인 사람입니다"를 선택한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621/pimg_7460892193901289.jpg)
"저, 감정적인 사람입니다" 는
1부 나는 감정을 느낀다, 고로 존재한다
2부 내 감정에 책임지는 삶을 연습하다
3부 설명되지 않는 감정의 기원을 찾아서
4부 인간다움을 완성하는 감정들
로 구성되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3/0621/pimg_7460892193901290.jpg)
1부 나는 감정을 느낀다, 고로 존재한다 에서는
인생의 희로애락은 성취감과 삶의 의미를 발견하게 한다.
감정은 개인의 일반적 느낌으로, 정서나 기분을 포괄한다.
정서는 환경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심리 상태다.
기분은 전반적인 개인의 심리 상태다.
감정은 의사소통을 통해 생존 확률을 높이지만
해로운 영향을 끼치기도 한다.
정서 유발 과정을 설명하는 진화 이론, 각성 이론,
인지평가 이론,
두뇌가 정서에 미치는 역할을 설명하는
정서가 가설, 접근-회피 가설,
정보를 처리하면서 정서의 의미를 파악하고,
타인의 정서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표현하는
거울신경,
도파민, 세로토닌, 옥시토신 등 두뇌 속 신경조절물질,
은둔형 외톨이 문제, 실패를 이겨내는 실패 내성,
확장-구축 이론, 확산적 사고, 생각의 명목 현상,
정서의 비언어적 소통, 미소의 의사소통 기능,
분노의 표출,
정서의 행동 규제, 집단행동 유발, 집단행동
통제 기능을 알아본다.
2부 내 감정에 책임지는 삶을 연습하다 에서는
유명한 마시멜로 테스트는 정서 조절의 중요성과
교육을 통해 유혹, 충동 등을 극복할 수 있음을 알린다.
정서 지능은 감정 조절도 능력이라 말한다.
자기인식, 자기관리, 감정이입, 사회적 기술 등
정서를 이해하고, 정서를 긍정적 방향으로 조절하면서,
올바른 행동을 선택하도록 한다.
정서를 조절하려는 이유, 정서 규범,
선행자 초점 정서 조절, 반응 초점 정서 조절,
정서 표현 억제의 한계,
정서의 사회적 공유 효과, 글쓰기의 효과,
부정적 정서 경험 반복을 끊으며
삶의 행복 만들기에 대해 이야기 한다.
3부 설명되지 않는 감정의 기원을 찾아서 에서는
정서의 사회적 공유는 정체성과 소속감을 갖게 한다.
집단 대표 정서는 집단의 공동 구성원으로서
다른 사람들이 느끼는 정서를 공유한다.
편견과 차별, 집단 정체성과 개인 정체성,
집단 간 접촉이 가져오는 공유 경험,
정서의 성차별,
개인주의 문화와 집단주의 문화에 따른,
독립적 자아와 타인과 관련된 관계적 자아,
집단주의 문화의 편견과 차별 문제를 말한다.
4부 인간다움을 완성하는 감정들 에서는
자의식 정서는 나에 대한 이해와 자존감을
기반으로 대인관계 형성에 매우 중요하다.
자기평가 정서, 사회비교 정서, 죄책감과 수치심,
당혹감, 자부심과 오만, 선망과 질투,
행복 추구의 역설, 자기실현과 행복,
행복과 성공의 관계, 사회 비교와 상향 비교,
시시포스 딜레마와 행복의 순간,
일상을 풍부하게 하는 행동,
행복을 안겨주는 사회적 관계,
나의 정서를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을 말한다.
"저, 감정적인 사람입니다" 는
감정에 대해 알아보고, 감정을 조절하며,
집단 문화가 감정에 미치는 영향,
사회 생활을 위한 감정 조절을 다룬다.
감정은 정서와 기분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정서는 환경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심리 상태며,
기분은 개인의 전반적인 심리 상태다.
정서 유발 과정, 두뇌와 정서의 관계,
정서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정서 지능은 정서를 긍정적 방향으로 조절하면서,
올바른 행동을 선택하는 감정 조절 능력의 중요성을 말한다.
정서를 조절하고, 공유하며, 부정적 정서에서 벗어나며,
감정을 조절해야 한다.
집단의 공동 구성원으로서 정서를 공유하면서
생겨나는 정체성과 편견과 차별 문제를 알아본다.
대인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문제를
살펴보면서, 나의 정서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행복한 삶의 근원임을 말한다.
"저, 감정적인 사람입니다" 는
감정을 이해하고 감정의 작동 원리를 살펴보면서
나를 이해하고 감정을 조절하면서 행복한 삶을
사는 방법을 안내한다.
"저, 감정적인 사람입니다" 를 통해
현명한 감정 관리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21세기북스 에서
"저, 감정적인 사람입니다"들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저감정적인사람입니다 #신종호 #유퀴즈신종호 #서가명강
#21세기북스 #공감 #정서지능 #공감능력 #분노조절장애
#감정회복 #인문학 #심리학 #감정 #정서 #서가명강 #거울신경
#공감도지능이다 #집단정서 #자의식정서 #서울대 #서울대강의
#책스타그램 #북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