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협의 무지개 연구 - 무지개로 푸는 과학의 원리와 역사
김상협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지개에 대한 이성과 감성의 접근





책을 선택한 이유



비가 갠 뒤 하늘에 떠 있는 아름다운 무지개의


아치는 선녀들이 건너다니는 다리를 연상시킨다.



성소수자를 자처하는 게이 문화의 상징이 되면서


무지개는 사회적 갈등의 원인으로 떠오른다.



무지개에 대한 이성과 감성의 탐구 이야기를 알아보기 위해


"김상협의 무지개 연구"를 선택한다.






"김상협의 무지개 연구" 는



1부 무지개에 담긴 이야기


2부 무지개에 숨겨진 과학


3부 무지개의 비밀을 밝힌 과학자들


4부 무지개에 담긴 문화


5부 진짜 무지개를 찾아서



로 구성되었다.





1부 무지개에 담긴 이야기 ·에서는



초기 인류는 화려하고 신비로운 색상과


압도적 크기를 가진 무지개를 탐구하고,


무지개에 대한 간절한 기원을 벽화로 남긴다.



고대인의 무지개에 대한 의미 부여,


무지개와 뱀에 대한 생각, 단어의 어원,


무지개의 신화를 소개한다.




2부 무지개에 숨겨진 과학 에서는



무지개는 사람마다 다르게 보인다.



무지개는 물방울에서 반사된 빛을 보는 것으로,



무지개를 보는 사람들은 각자의 물방울에서 나온


각자의 무지개를 본다.



무지개의 원인은 존재의 의미에 대한 질문을 가져다 준다.



무지개의 과학적 원리를 살펴보면서,


다가서면 무지개가 물러나는 이유를 설명한다.



1차 무지개와 2차 무지개,


물방울 안에서 일어나는 빛의 굴절,


빛의 파동성이 만드는 과잉 무지개,



해무리, 아이스 헤일로 등 가짜 무지개,


반원 보다 커다란 무지개를 소개한다.





3부 무지개의 비밀을 밝힌 과학자들 에서는



그리스 철학자들은 본다는 것의 원리를 논쟁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무지개의 원리가 반사임을 밝힌다.



아리스토텔레스 이론을 뛰어넘기 위해


수많은 과학자들이 무지개의 원리를 탐구한다.



데카르트는 굴절 개념으로 무지개 원리를 설명하지만


종교가 지배하는 사회가 아리스토텔레스를 신봉하는데


염증을 느낀다.



뉴턴은 프리즘으로 빛과 색의 본질을 밝혀낸다.



토머스 영의 이중 슬릿 실험,


무지개의 편광을 밝힌 과학자들,


에어리 함수가 밝힌 색채의 변화,



양자 역학은 빛이 입자와 파동의 성질을 가지고


있음을 밝혀내자, 원자 무지개는 원자 구조를


파악하는 유용한 수단으로 발전한다.




4부 무지개에 담긴 문화 에서는



무지개 색은 광원의 색, 배경의 빛,


빗방울의 크기, 빗방울의 찌그러진 정도,


비가 내리는 수평 깊이 등의 변수에 따라 달라진다.



무지개의 다양한 색처럼 다양한 의미를 갖는다.



광고, 게이 운동, 아동 대상 현수막,


문학과 예술 등에서 무지개의 의미를 살펴본다.




5부 진짜 무지개를 찾아서 에서는



대기 중 이물질 증가는 무지개 관측을 어렵게 한다.



물, CD를 이용한 유사 무지개,


물을 뿌려 만드는 무지개를 알아본다.



플라스크, 유리 구슬로 무지개 만들기,


무지개 관찰에 대해 이야기 한다.



"김상협의 무지개 연구" 는


과학이 발전하기 전 무지개에 대한 생각,


무지개의 과학적 원리, 과학자들의 무지개 탐구,


무지개의 사회적 의미, 무지개 관찰에 대해 다룬다.




초기 인류는 화려하고 신비로우며 거대한 크기를 가진


무지개를 두려워했으며, 무지개를 뱀처럼 생각하면서


신성시 하고 다양한 신화를 만든다.



무지개는 물방울에서 반사된 빛을 보는 것이므로,


각자에게 보여지는 무지개의 모양은 다르다.



무지개의 과학적 원리를 살펴보면서,


다양한 무지개의 종류, 유사 무지개에 대해 설명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무지개의 원리가 반사임을 밝혔으나,


아리스토텔레스의 무지개를 넘어서기 위해


수많은 과학자들이 어려운 도전에 뛰어든다.



데카르트, 뉴턴은 무지개의 본질을 밝혀냈으며,


무지개 연구는 양자 역학을 통해 원자 구조의


탐구까지 발전해 나간다.



다양한 변수에 따라 달라지는 무지개 색 처럼


무지개는 사회에서 다양한 의미를 갖는다.



무지개의 원리를 이용한 무지개 만들기,


빛의 굴절을 이용한 유사 무지개 관찰하기를 알아본다.



낭만주의 시인 윌리엄 워즈워드는


하늘의 무지개를 보고 마음이 뛴다고 고백한다.



감성에 고뇌하는 낭만주의 시인들이


프리즘으로 무지개의 환상을 파괴한 뉴턴을


비난하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과학자들은 기존 고정 관념에서 벗어나기 위해


온갖 고난을 겪으면서 새로운 주장을 펼쳐가고,


혁신적 도약을 통해 인류는 도약한다.



고루한 사고 방식에 젖은 과학계의 구태를 깨고,


무지개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서 과학자들은


엄청난 고통을 겪는다.



작가는 무지개에 대한 아름다움을 찬미하지만,


과학자는 무지개 본질에 담긴 과학적 원리의


미학을 탐구해 나간다.



이성과 감성은 저마다의 방법으로


무지개의 근원을 찾아간다.



"김상협의 무지개 연구"를 통해


감성과 과학의 측면에서 무지개에 대한


서로 다른 생각을 이해하게 된다.



과학 원리를 적용해 무지개를 재현해 보면서


과학적 원리를 실습해 볼 수 있는 것도 즐겁다.



사이언스북스 와 컬처블룸 서평단에서


"김상협의 무지개 연구"를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김상협 #사이언스북스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김상협의무지개연구


#무지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