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는 힘이 세다 - 김시습의 금오신화 1218 보물창고 23
강숙인 지음, 김시습 원작 / 보물창고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금오신화가 알려주는 진짜 이야기







책을 선택한 이유




소도 언덕이 있어야 비빈다.


천하의 인재도 시대를 잘못 타고 나면 뜻을 펼치지 못한다.



김시습은 어려서부터 뛰어난 수재로 명성을 날린다.



계유년 단종의 비극은 김시습의 꿈을 앗아간다.



세조에게 무참히 처형당한 사육신의 시신을 수습하고


스님이 되어 입신양명을 포기한다.



김시습은 당대의 문장가로 명성을 떨쳤다.



"이야기는 힘이 세다 – 김시습의 금오신화"는


김시습이 쓴 한국 최초 한문 소설 금오신화를


현대 감각에 맞게 풀어내어 선택하였다.






"이야기는 힘이 세다 – 김시습의 금오신화"는



선행의 결심


첫 수업


두 번째 수업


세 번째 수업


마지막 수업



으로 구성되었다.






선행의 결심 에서는



선행 스님은 머물던 금오산실을 떠나려 생각한다.



효령대군의 부름으로 한양 원각사 낙성식에 갔다


돌아온 설잠 스님은 앓아눕는다.



선행은 아픈 설잠 스님에게 차마 떠나겠다는 말을 하지 못하고,


설잠의 회복을 위해 정성스럽게 약재를 달인다.



설잠 스님은 선행에게 이야기 공부를 제안하는데....




만복사저포기는


남원 땅에서는 혼자 외롭게 사는 양생의 이야기다.



날이 저물어 인적이 드문 만복사 법당.


양생은 불상 앞에 서서 소매 속 저포를 꺼낸다.



양생은 부처님에게 저포놀이를 제안하며,


양생이 저포놀이에게 지면 법연을 올리겠다고 하고,


이기면 아름다운 여인과 혼인하게 해 달라고 청한다.



저포놀이에서 이긴 양생은 불상 아래에서 약속을 기다린다.



선녀처럼 아름답고 단아한 규수가 불상으로 다가와


한숨을 내쉬며 자신의 박복한 처지를 한탄한다.



부부의 연을 맺은 양생과 규수.



규수는 양생에게 은그릇을 주면서


보련사 길목에서 은그릇을 들고 서있으라 하는데.....






첫 수업 에서는




선행 스님은 후세에 남길 빼어난 시를 쓰고 싶다.



김시습은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에 반발해


유학자를 포기하고 승려가 된다.



설잠 스님은 김시습의 법명이다.



선행은 설잠 스님을 스승으로 모셨지만


글 솜씨는 좀처럼 늘지 않는다.



단종은 폐위되어 노산군으로 격하되고


세조는 단종을 모함하기 위해 역사를 날조한다.



만복사저포기를 통해 단종애사를 알리려 한


김시습의 고민을 생각해 본다.




이생규장전은 송도 낙타교 인근에 사는 이생의 이야기다.



선죽리 최씨 가문 규수는 아름답고 뛰어난 재주를 가졌다.




이생은 최씨 집 담장을 지나다 최 규수의 아름다운 모습을


넋을 잃고 바라본다.



이생은 연애시를 써서 담장 안 최규수에게 던지는데.....





두 번째 수업 에서는



선행의 돌봄으로 설잠 스님은 기력을 회복한다.



이생규장전은 사랑과 이별, 재회, 환생까지 이어가는


이생과 최씨 부인의 사랑을 이야기 한다.



수양대군은 백성을 속여 자신을 정당화 한다.


악행이 밝혀지기 위해서는 기록을 남겨야 한다.



이생규장전의 마무리가 막기애언이 아니라


막기의언으로 쓰여진 이유,



이생규장전의 등장인물들의 뜻하는 의미 등을 통해


이야기 속에 숨겨진 의미를 읽어내야 함을 말한다.




취유부벽정기는 평양을 배경으로 한다.



개성 부잣집 도령 홍생은 풍류가다.



홍생은 한가위를 맞이해 평양에 간다.



부벽정 돌층계에서 시를 읊다가


아리따운 여인을 만나게 되는데.....





세 번째 수업 에서는




나라는 망해도 산천은 남아있다.



설잠은 계유정난 후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 과정과


기구한 자신의 일생을 회상한다.



조선을 탈취한 위만이 뜻하는 수양대군 등


취유부벽정기 등장인물,



취유부벽정기 시대 배경 천순 초년의 의미 등을


살펴보고,



작품 독해시 감정이입의 중요성 등을 이야기 한다.




남염부주지는 경주에 사는 박생의 이야기다.



박생은 천당과 지옥에 대해 스님과 이야기 나누다가


천지 외 다른 세계는 없다고 말한다.



한밤 중 주역을 읽다가 꿈속에서 넓은 바다 한가운데


남염부주라는 섬에 도착한다.



사납게 생긴 수문장을 박생을 염마에게 데려가는데.....





네 번 째 수업 에서는




이야기는 창작으로 짓는 것이다.


있는 그대로 쓰는 것은 학문이다.



집현전 사육신의 거사가 미루어지다가


정창손의 밀고로 발각된다.



의금부의 고신과 문초가 끝난 후


백이십 명이 처형당하고,


만여 명의 관련인이 고초를 겪는다.



설잠은 처형 후 버려진 사육신 유해를 수습하고


살아서 진실을 알리려 결심한다.




용궁부연록은 고려 시대 한생의 이야기다.



한생은 뛰어난 문장으로 이름난 선비다.



박연의 용왕이 한생을 초대한다.



용왕은 성년이 된 딸을 위해 누각을 짓기로 하고


한생에게 상량문을 부탁한다.



용왕은 상량문을 칭찬하며, 강의 신령들과


한생을 위해 잔치를 여는데......





마지막 수업 에서는



설잠 스님은 건강을 회복한다.



용궁부연록의 한생의 용궁 방문기는


김시습이 어린시절 세종대왕의 부름을 받아


대궐로 들어간 이야기를 연상하게 한다.



설잠 스님은 원각사 낙성식에 참석한 후


이루지 못한 출사의 꿈을 버려야 함을 깨닫는다.



선행 스님은 금오산실의 매화나무를 쳐다보며


아름다움에 감탄한다.




"이야기는 힘이 세다 –김시습의 금오신화"는


설잠 스님 김시습 과 시자 선행 스님이


금오신화를 읽고 내용에 대해 이야기를 주고받는다.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는


남녀 간 사랑의 이야기지만



김시습이 말하려는 것은 단종 폐위 사건의


진실을 사람들에게 널리 알리려는 노력이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다.



권력을 손에 넣은 자는 자기 입맛대로


역사를 왜곡하고 선동한다.



거짓 소문을 퍼뜨리고 다른 의견은 탄압하며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지금 이 순간에도 끊임없이 역사를 날조하고


왜곡하면서 사람들의 눈과 귀를 속이려 한다.



진실의 모습을 기록하고 후세에 남기는 것은


힘 없는 자의 유일하며 가장 강력한 항거일 것이다.




유학자 였고 승려인 김시습은 


남녀의 사랑 이야기를 소설로 만들었다.



역사의 진실을 알리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남녀의 사랑 이야기에


역사의 진실을 담아 널리 알리려 한다.




김시습은 부정한 권력을 비판하고, 신념을 위해


관료의 꿈을 포기하면서 설담 스님이 된다.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소설 금오신화를 만들어


후세에게 역사의 진실을 전한다.




계유년의 역사적 비극은 김시습의 삶을 바꾸고,


한국의 역사에서 활동할 기회를 빼앗아갔지만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 금오신화라는


문학적 성과를 남기게 된다.



"이야기는 힘이 세다 –김시습의 금오신화"를 통해


불의한 시대를 살아가는 지식인의 고뇌와



후대에 바른 역사 기록을 남기기 위해


살아 남아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한


생육신의 마음가짐,



시대가 흘러가도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이야기의 힘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이야기가 전해지고 잊혀지지 않는 한


거짓은 밝혀지고 진실은 알려진다는 것은


이야기의 강한 힘이 아닐까 싶다.






보물창고 와 컬처블룸 서평단에서


"이야기는 힘이 세다 – 김시습의 금오신화"를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보물창고 #이야기는힘이세다 #김시습의 금오신화


#이야기는힘이세다김시습의 금오신화 #김시습 #강숙인


#금오신화 #컬처블룸 #컬처블룸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