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리뷰 매거진 : VOL.2 제페토
유엑스리뷰 리서치랩 지음 / 유엑스리뷰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페토를 알아보자






책을 선택한 이유




메타버스는 현실과 가상세계가 결합된 인터넷 환경이다.


메타버스는 미래의 플랫폼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페이스북은 상호를 메타로 개명하고 메타버스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제페토는 한국의 대표적인 메타버스 플랫폼이다.


제페토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UX 리뷰 매거진 : VOL.2 제페토"를 선택하였다.






"UX 리뷰 매거진 : VOL.2 제페토"는



Editors’ note


Intro


Report: 아직도 제페토를 안 써 본 분들을 위해 떠먹여 드립니다


User Diary


Survey


Interview A


Report: 제페토의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Interview B


Report: 메타버스는 평등의 장이 될 수 있을까?


Persona


Sketch


UX Place



로 구성되었다.






Editors’ note 에서는



국내 메타버스 플랫폼 중 가장 인지도가 높은


제페토를 사용자 중심으로 탐구한다.




Intro 에서는



메타버스 개요, 제페토의 특징을 소개한다.



Report: 아직도 제페토를 안 써 본 분들을 위해 떠먹여 드립니다 에서는



아바타 생성, 숏폼, 사용자 유형을 소개한다.




User Diary 에서는



제페토 사용 경험이 없는 20대 사용자의


제페토 이용 경험을 소개한다.




Survey 에서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경험한 2030세대 14명에게


제페토의 장점과 단점, 제페토의 차별점,


에피소드, 평가, 건의 사항, 미래 전망을 들어본다.




Interview A 에서는



일본 유학생으로 한국 문화를 알리고,


아바타 스타일링으로 자신을 구현하며,


아바타를 이용한 팬덤 문화를 즐기고,


카캐커뮤로 소통 수단으로 활용하며,


초등학생의 제페토 활용 사례를 인터뷰 한다.




Report: 제페토의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에서는



사용자가 창작과 생산의 주체가 되는 웹3.0 시대다.


국내 메타버스 중 제페토는 창작자 활동이 가장 활발하다.




Interview B 에서는



제페토 맵을 만드는 프리랜서 제작자,


아바타 라이브 디제잉을 진행하는 직장인,


퍼스널 브랜딩으로 아바타 활용하기,


패션 트렌드 분석을 위한 제페토 사용,


미디어 비즈니스 전공자가 보는 메타버스에 대해


인터뷰 한다.



Report: 메타버스는 평등의 장이 될 수 있을까? 에서는


메타버스의 가능성과 취약점,


탈중앙화된 자율 조직 DAO를 통한


의사결정에 대한 논의 등을 소개한다.



Persona 에서는



제페토를 사용하는 주요 사용자들의


이용 형태를 시나리오로 분석해 본다.



Sketch 에서는



제페토 이용시 아쉬운 점에 대한 개선


아이디어를 소개한다.



UX Place 에서는



객원 리서처가 도심 속에 위치한


멋진 아지트를 소개한다.





"UX 리뷰 매거진 : VOL.2 제페토" 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메타버스 플랫폼


제페토를 심층 분석하여 소개한다.



제페토는 2030세대의 놀이공간에서


창작자들의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발전하고 있다.



제페토의 실제 이용상황, 이용시 느낀점,


자기 만족이나 소통의 수단에서 발전하여



퍼스널 브랜딩, 사업관련 정보 수집 등으로


이용 영역이 다양하게 확대되는


제페토에 대해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UX 리뷰 매거진 : VOL.2 제페토" 을 통해


제페토 이용 현황과 미래 발전가능성을 이해하며,



제페토가 가져올 새로운 가능성을 잡기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될지 생각해보게 된다.




유엑스리뷰 에서


"UX 리뷰 매거진 : VOL.2 제페토"를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