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광전구 : 빛을 만들다 - 60년 된 전구 회사는 어떻게 리브랜딩에 성공했나 curated by bkjn
bkjn 편집부 지음 / 스리체어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대 변화에 따른 새로운 도전





책을 선택한 이유




전구는 전류로 빛을 만드는 기구다.



에디슨이 상품화한 백열전구는 밤의 어둠을 몰아낸다.



백열전구는 아름답고 편안한 매력적인 빛을 제공하지만


에너지 낭비 주범으로 몰리며 강제적으로 시장에서 퇴출된다.



존폐 위기에 몰린 백열전구 회사의 위기 극복을 알아보기 위해


"일광전구: 빛을 만들다"를 선택하였다.





"일광전구: 빛을 만들다"는



들어가며,


1장 라이트: 일광전구는 어떻게 시작됐나


2장 리브랜딩: 리브랜딩은 어떻게 진행됐나


3장 제품 : 제품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4장 디자인: 제품은 어떻게 디자인되나


5장 마케팅: 일광전구는 어떻게 소통하나


마치며



로 구성되었다.





1장 라이트: 일광전구는 어떻게 시작됐나 에서는



일광전기는 반세기 넘게 백열전구를 만든다.



1990년대 중국산 저가 제품 등장으로 수출이 중단되고


2000년대 LED보급과 백열전구 퇴출 정책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전구회사에서 광원을 가장 잘 다루는 회사로


피보팅하고 있다.



2022년 백열전구 생산라인을 중단하지만


전구를 잘 알고, 다양한 광원 아이템을 취급하는


회사의 본질을 지킨다.



일광전구의 시작을 소개하고,


80년대 해외 수출로 전성기를 맞이하며,


중국과의 경쟁, IMF로 어려움을 겪는다.



경영난에 시달리던 일광전구를 인수한 이유,


조기 정상화의 비결, 제품개발의 중요성,



색온도를 무시한 한국 조명 문화,


LED 과다조명, 조명 문화 변화 움직임,



백열 전구의 미래, 조명 기구의 미래 트렌드,


일광전구의 정체성, 좋은 빛의 조건을 말한다.




백열전구 금지 정책으로 문 닫을 위기에 처하자


회사의 미션, 비전, 코어 밸류를 재정의한다.



많은 전구 업체들이 문을 닫았지만


주력 제품을 전환하고, 클래식 전구로


돌파구를 찾는다.



아이디어 상품에서 독자 디자인으로 넘어가기,


리브랜딩의 의미를 이야기 한다.




2장 리브랜딩: 리브랜딩은 어떻게 진행됐나 에서는



일광전구의 리모델링은 오랜 기간 진행 중이다.


전구 회사는 조명 기구 회사로 전환한다.



전구가 퇴출 당하면서 브랜드 전반을


리디자인 해야 함을 느끼게 된다.



전구에만 매진한 일광전기 스토리를 바탕으로


단계별로 진행된 브랜드 리뉴얼 과정,



역사성과 전통성을 강조한 심벌,


전구가 주는 따뜻한 느낌과 귀여움을


살리는 오브제를 살리며,



회사의 마인드를 바꾸는 슬로건은


구성원들이 변화에 대한 희망을 품게 한다.



조명 기구 시리즈 IK 출시와


조명 기구 시장에 뛰어든 이유를


이야기 한다.



조명 기구 매출이 늘어나며, 기존 직원들은


변화에 대한 거부감을 느낀다.



시스템을 바꾸고 인력 충원과 재배치,


구성원들의 의견충돌 조정하면서


변화하는 기업문화를 이야기 한다.





3장 제품 : 제품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에서는



일광전구의 공장과 광원 전문가들은


조명 기구 시장에 안착한 원동력이다.



전구류의 까다로운 규격, 생산 과정,


품질 관리, 유통구조, 기획, 사용자 설문,



시장조사, 글로벌 진출 전략, 제품개발 계획,


조명 시장의 흐름,



제품 개발 과정, 기획부터 생산까지 기간,


조립, 검수 과정을 소개한다.



오랜 역사 보다 환경에 적응하는 회사가


살아남는 시대가 되면서,



변화에 따른 위험을 감수하겠다는


최고 책임자의 결정이 중요하다.



중소기업의 가업 계승,


축적된 빛의 노하우 활용,


제조 기반의 중요성울 이야기 한다.





4장 디자인: 제품은 어떻게 디자인되나 에서는



롱라이프 디자인은 많은 사람이


오래 쓸 수 있는 제품을 지향한다.



도면을 제품으로 구현하는 디자인의 어려움,


디자인의 의미, 디자인 영감 얻기,



제품 디자인의 핵심, 레트로 디자인,


디자인의 방향성, 조명 디자인의 특수성,



디자이너의 역할, 디자인 과정,


스노우맨 시리즈 탄생에 대해 이야기 한다.




5장 마케팅: 일광전구는 어떻게 소통하나 에서는



조명 기구를 런칭했지만 마케팅 활동이 없는


기존 조직으로는 판매가 부진했다.



오리지날 제품임을 강조하며 하이엔드 매장


입점으로 마케팅을 시작한다.



주요 소비자층, 온라인과 오프라인 전략,


SNS 홍보, 헤리티지를 활용한회사 마케팅,



IK 브랜드의 목표,


콜라보 마케팅, 파티라이트 마케팅,


콜라보의 성공요건,



인천 개항로 라이트하우스,


글로벌 진출 계획, 리더의 역할,



회사 조직 정비 계획, 일광전기의 목표를


이야기 한다.




위기와 위험은 다르다.


위험은 피해야 하지만


위기는 적극적으로 기회를 잡아야 한다.



일광전구는 60년 세월동안 많은 위기를 겪었지만


백열전구 퇴출은 회사 존립을 위협한다.



회사의 미션, 비전, 핵심가치를 생각하고


백열전구만 줄 수 있는 매력과 감성에


승부수를 건 클래식 전구로 위기를 극복한다.



회사의 역량을 집약해 조명기구 회사로


피보팅 하면서, 한국의 조명 문화를


선도하려 한다.



시대가 변하면서, 변화에 적응해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오래된 역량을 시대에 맞게 변화시키며


새로운 활로를 찾아가는 일광전구의


도전 이야기는



시대 변화의 도전에 어떻게 응전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게 한다.



스리체어스 와 리앤프리 서평단 에서


"일광전구: 빛을 만들다"를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일광전구


#빛을만들다


#스리체어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