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 투쟁 - 청년, 그들의 연대에 홀로 맞서다
정태현 지음 / 열아홉 / 2022년 9월
평점 :
절판


언론은 정의인가








책을 선택한 이유




예나 지금이나 작가는 먹고 살기 힘든 직업이다.


유명 작가가 아니면 생계를 유지하기도 어렵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창작은 


작가에게 고통스러운 인내의 시간을 요구한다.


저작권에 대한 인식이 과거보다 좋아졌지만


아직도 많이 미흡하다.




언론은 사회의 이슈를 선점하며 정의를 부르짖는다.


약자를 대변한다고 주장한다.



낮에는 글을 쓰고, 밤에는 택배 상하차 


일용직으로 일하는 무명작가.



사람들에게 알려지지 않고 돈이 없는 작가는


누가 보더라도 강자는 아닐 것이다.



정의로운 언론은 젊은 작가를 도와 주었을까.






유명 인터넷 언론사가 여행기를 짜깁기해


기사를 게재한 사실을 발견하자


트위터에 표절한 사실을 올린다.




기사 작성자는 개인적 실수라 말하며,


유명 인터넷 언론사는 사실 관계를 


확인하겠다고 응답했지만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




유명 인터넷 언론사는


표절한 기사의 조회수가 떨어지자


저자가 문제 삼은 부분만 


수정한 기사로 변경하여 게재하고, 


작고 잘 보이지 않는 사과문을 


형식적으로 올린다.



수정된 내용도 책의 내용을 오해할 수 있으므로 


표절 기사 게재를 중단하고 사과문을 잘 보이게 


게시해 줄 것을 요청하지만



유명 인터넷 언론사는 과도한 주장이라며


요청을 묵살해버린다.





무명작가는 힘없는 자신의 처지를 깨닫지만


유명 인터넷 언론사가 자신의 권력을 앞세워


힘없는 무명작가에게 피해를 입히는 것을


방치해서는 안된다는 생각을 갖는다.




광화문에서 1인 시위를 하면서,


생소함을 이겨내고, 지독한 추위에 떨면서


1인 시위에 무관심하게 거리를 지나가는


거리의 풍경을 지켜본다.




1인 시위에 귀 기울이는 소수 사람들이 생겨났지만


진보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유명 인터넷 언론사를


편들며 무명작가를 비난한다.



 

1인 시위를 하고, 관계 기관을 찾아가는 등


자신의 억울함을 호소하는 무명작가는



강자에게 관대하고 약자를 무시하는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점을


깨닫게 된다.




펜은 칼보다 강하다.


언론의 힘은 보이는 무력보다 강한 것이다.



언론에 대해 대우를 해주는 것은


권력을 감시하고 견제하면서 


사회의 자정 작용을 기대하기 때문일 것이다.



언론이 자신의 펜을 권력의 도구로 삼고


정의를 져버린다면 언론이라고 할 수 있을까.



권력을 비판하면서


자신이 비판하는 권력으로 변해버린


유명 인터넷 언론의 민낯을 볼 수 있다.



"오마이 투쟁"을 통해 


언론은 권력을 감시하지만


언론은 누가 감시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게 된다.



도서출판 열아홉 과 리앤프리 서평단에서


"오마이 투쟁"을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도서출판열아홉

#리앤프리

#오마이투쟁

#정태현

#표절

#오마이뉴스

#유난떨지말아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