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희 외 4인의 한시 24수 - 한자 따라 쓰기 한자를 알면 어휘가 보인다
김정희 외 지음, 큰그림 편집부 기획 / 도서출판 큰그림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시로 한자를 익혀보자






책을 선택한 이유




한시는 한문으로 쓰인 정형시다.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 고대부터


현대까지 한시는 널리 애송되었다.



한시와 함께 한자 어휘를 익히기 위해


"김정희 외 4인의 한시 24수"를 선택하였다.





"김정희 외 4인의 한시 24수"는


추사 김정희, 퇴계 이황, 다산 정약용,


매월당 김시습, 만해 한용훈의


한시를 소개한다.





김정희(秋史 金正喜)의

 

午오 睡수 |낮잠

秋추 庭정 |가을 뜰

安안 市시 城성 |안시성

水수 仙선 花화 |수선화

謝사 菊국 |고마운 국화



 

이황(退溪 李滉) 의


梅매 花화 詩시 |매화시

陶도 山산 月월 夜야 詠영 梅매 |

도산의 달밤에 매화를 읊다



 

정약용(茶山 丁若鏞) 의


夢몽 詩시 |꿈에서 지은 시

訪방 花화 |꽃을 찾아서

驚경 雁안 |놀란 기러기

池지 閣각 絶절 句구 |연못가 누각에서 지은 시

山산 居거 雜잡 興흥(中) |산에 살면서(中) 

梅매 鳥조 圖도 |매조도에 쓴 시



김시습(梅月堂 金時習) 의


乍사 晴청 乍사 雨우 |잠깐 맑았다 다시 비가 오네

小소 言언 |작은 소리

大대 言언 |큰 소리

食식 粥죽 |죽을 먹으며

松송 濤도 |바람에 흔들려 물결치는 소나무 소리

醉취 酒주 |술에 취해



한용운(萬海 韓龍雲)의


春춘 夢몽 |짧은 봄 밤에 꾸는 꿈

獨독 夜야 |홀로 지내는 밤

漁어 笛적 |어부가 부는 피리 소리


를 소개한다.




한시 밑에는 한글로 해석을 달았다.


한시에 나온 한자의 음과 뜻을 달고


한자의 획순을 표시하여 한자를 


쓰면서 익히도록 하였다.


 




한시를 캘리그라피로 쓸 수 있도록


글씨 교본도 제공한다.



한시의 한자를 붓이나 붓펜으로 쓰면서


서예를 경험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김정희, 이황, 정약용, 김시습, 한용운의


멋진 한시를 읽으면서 마음의 양식을 쌓고


한자를 배우며 글씨체도 연습해 볼 수 있다.





한시 또는 시조의 전통을 살린


재치있는 글로 촌철살인하게


세태를 풍자했던 시절이 있었다.




오랜 세월 동안 이어진


한시 만의 함축적 매력 과 여유와 


점차 사라져가는 한 민족의 풍류의


관련성도 생각해 보게 된다. 




"김정희 외 4인의 한시 24수" 는


매화, 소나무, 기러기 등 자연에 빗대어 


내면의 서정적 마음을 글로 표현한


멋들어진 한시가 들어있다.



가을밤 한시를 읽으며


옛사람들의 정취에 젖어보는 것도


즐거운 일이다.



한시를 읽으면서 한자를 배우고

글씨를 함께 연습하는 것도 매력적이다.



도서출판 큰그림 과 컬처블룸 서평단에서


"김정희 외 4인의 한시 24수"를 증정해주셨다.


감사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