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할 의무 - 김 변호사의 행복 아포리즘
김석 지음 / 박영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에 대한 단상들






책을 선택한 이유



사람들은 누구나 행복을 바란다.  행복이 무엇인지


행복해지기 진지하게 생각해본 사람은 드물다.



행복을 모르면서 행복해 질 수 있을까?


행복에 대해 생각해 보기 위해


"행복할 의무"를 선택하였다.




"행복할 의무"는 


나는 누구인가 , 행복에 단방약은 없다


왜 지금 행복론인가, 행복은 최고의 선이다


인류의 가장 오래된 질문, 행복의 제1요소


쾌락과 고통, 행복은 당연하지 않다


철학, 행복의 시작, 행복에 관한 많은 오해들


행복이란 무엇인가, 행복하지 않은 사회


행복론은 정의론이다, 행복론은 수양론이다


매일의 행복을 위하여, 행복을 선고하자


로 구성되었다.






나는 누구인가 에서는


변호사인 저자가 자신과 가족에 대해 이야기 한다.



운명과 숙명에 대해 생각해 본다.


인생은 목적지로 가기 위해 수많은 갈림길을


번민하고 선택해야 한다.




행복론은 정의론이고 수양론이다. 행복을 위해서는


사회의 개선과 개인의 성장이 동시에 필요하다고


이야기 한다.




행복은 최고의 선이다 에서는


우리나라 헌법 10조는 행복 추구권을 선언한다.


행복 추구권은 행복을 누릴 권리도 포함한다.


나의 행복이 타인의 행복의 원인이 되고


나의 불행이 타인의 불행의 원인이 된다.


행복은 권리이자 의무여야 한다고 이야기 한다.




인류의 가장 오래된 질문 에서는


소크라테스, 공자, 견유학파,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에피쿠로스, 스토아 학파,


공리주의 등의 행복에 주장을 살펴본다.




행복이란 무엇인가 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에 대한 정의


그리스어 에우다이모네인을 뜻을 생각해보면서


행복이 무엇인지 생각해 본다.



행복의 네 가지 요소를 살펴보면서


책임이 행복이 될 수 있음을 말한다.




행복하지 않은 사회 에서는


한국 사회가 헬조선으로 불리는 이유를


고비용 사회, 초경쟁 사회, 불안사회,


양극화, 피로사회, 정보화 사회로 정의하고



한국사회의 아킬레스 건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 기업, 노동자 모두의 대타협이 필요함을


이야기 한다.




행복론은 정의론이다 에서는


5포 세대, 분단체제, 한국정치의 문제,


주4일제 등에 대한 생각을 밝힌다.




매일의 행복을 위하여 에서는


일을 즐겁게 하는 방법, 잠과 행복의 관계,


가화만사성, 작은 선행, 불행과 행복의 관계


에 대해 생각해 본다.




"행복할 의무"에서는


인생을 살면서 느끼는 행복에 대한


단상들이 적혀있다.




철학자들의 행복에 대한 이야기 부터


직장생활을 하는 변호사의 애환


가족관계에서 느끼는 행복,





덕, 쾌락, 고통, 불행, 죽음, 유한한 생명,


감정, 자유, 예속, 고통과 권태 등을 


살펴보면서 행복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술은 반취, 꽃은 반개라 한다.


술은 적절하게 취했을 때, 


꽃은 만개하기 전이 최고다.




행복에 "행복할 의무"를 통해


행복에 대한 여러 이야기를 살펴 보면서


진정한 행복의 길을 찾아가는


균형잡힌 삶의 자세를 생각해 보게 된다.




박영사와 문화충전 서평단에서


"행복할 의무"를 증정해 주셨다.


감사드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